삼성그룹의 근원지인 옛 삼성상회 터가 기념공간으로 조성 삼성그룹의 근원지인 옛 삼성상회 터가 기념공간으로 조성되어 2011.6.27 오전 10시 50분 대구 중구 인교동 61-1번지 현지에서 준공식을 가졌다. 이 기념공간은 215.9제곱미터 규모로 조성되고 이 기념공간 내에는 과거 삼성상회의 옛 모습을 재현해 낸 높이 5.95m, 너비8.7m의 '삼성상회 재현 벽'.. 대구 2011.07.25
수성못 분수쇼 휴대폰으로 수성못 분수쇼 촬영 2009년 4월부터 가동된 이 수성못 영상음악분수대는 길이90m, 폭 12m의 대형 분수대로 가동시간에 맞춰, 워터스크린 영상과 레이져쇼 등으로 화려한 분수쇼가 펼쳐진다. 영상음악분수대의 공연시간은 5월·8월·9월·10월은 오후 8시와 9시부터 6월·7월에는 오후 8시 30분과.. 대구 2011.07.21
고려 천년의 귀향, 초조대장경 클릭시 원본 크기로 보기 초조대장경은 고련 현종 때 거란의 침입을 불력(佛力)으로 물리치고자 하는 염원을 담아 1011년에 판각을 시작, 70여년 동안 모든 노력을 다해 완성했다. 그 후 목판 경판은 팔공산 부인사에 보관했으나 1232년 몽골의 2차 침입 때 모두 불타버렸다. 초조대장경을 기.. 대구 2011.07.21
진주하씨묘출토유물(晉州河氏墓出土遺物) 진주하씨묘출토유물(晉州河氏墓出土遺物.중요민속문화재 제229호. 대구 수성구 황금동 70 국립대구박물관) 1989년 현풍곽씨(郭氏)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달성군에 있는 12대 조모인 진주하씨(河氏)의 묘를 이장하다가 발견한 유물들이다. 묘 주인인 하씨는, 임진왜란때 의병장으로 유명한 곽재우의 종질(.. 대구 2011.06.30
노변동사직단(盧邊洞社稷壇.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6호 ) 노변동사직단(盧邊洞社稷壇.대구광역시 기념물 제16호.대구 수성구 노변동 407-4 일대) 사직단(社모일 사 ㉠모이다 ㉡제사 지내다 ㉢땅귀신 ">社稷피 직 ㉠피 ㉡곡신 ㉢농관 ">稷壇단 단 ㉠단 ㉡제터 ㉢제단 ">壇) 임금이 백성을 위하여 토신(土흙 토, 뿌리 두 ㉠흙 ㉡땅 ㉢별 이름 ">土神귀신 신 ㉠귀신 ㉡.. 대구 2011.02.23
노태우대통령 생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대구광역시 동구 신용동에 자리한 노태우 전 대통령 생가는 부지 466제곱미터. 건물면적 66.45제곱미터의 1층짜리 목조건물 3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태우 전 대통령은 딩시 경북 달성군 공산면 .. 대구 2011.02.06
구대구의학전문학교본관(舊大邱醫學專門學校本館.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구대구의학전문학교본관(舊大邱醫學專門學校本館.사적 제442호.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대구 중구 동인동 2가 101)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건물은 일제 강점기 때 대구지역 의료인 양성을 위해 지어진 건물로 1933년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개교되었다. 이 건물.. 대구 2011.01.31
구도립대구병원(舊道立大邱病院.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 구도립대구병원(舊道立大邱病院.사적 제443호.대구 중구 삼덕동 2가 50) 구 도립대구병원(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병원 본관)은 일제 강점기 때 1928년 도립 대구의원으로 지은 2층의 붉은 벽돌(조적조) 건물이다. 이 건물은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사적 제442호,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건물과 마.. 대구 2011.01.31
대구근대역사관 대구의 근대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보여줄 대구근대역사관이 2011년 1월 24일 오후 3시 중구 포정동 옛 한국산업은행 대구지점에서개관되었다. 근대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대구도시공사로부터 기증받아 총 사업비 93억4000만원을 투입해 지하1층 지상2층 연면적 1971.. 대구 2011.01.31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韓國産業銀行大邱支店. 현 : 대구근대역사관) 한국산업은행대구지점(韓國産業銀行大邱支店. 현 : 대구근대역사관.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9호.대구 중구 포정동 33) 1931년 조선식산은행 대구지점으로 건립된 2층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남측 도로인 서문로에 면하여 남향 배치되어 있다. 남측과 서측의 출입구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는 건.. 대구 2011.01.30
대구 부영(府營)버스 타고 서문시장에서 대구부청까지... 부영(府營)버스 영상체험실은 옛날 대구의 거리를 보여 줍니다. 아래 사진은 대구근대역사관 일층 부영(府營)버스 영상체험실에서 촬영한 것 입니다. 관람하신다면 좋은 추억이 될 것 입니다. 강력 추천합니다..... 대구근대역사관 바로 가기 : http://blog.daum.net/bosar/13431271 대구 2011.01.30
상동지석묘군(上洞支石墓群) 상동지석묘군(上洞支石墓群.시도기념물 제12호(수성구).대구 수성구 상동 501) 대구광역시 수성구 상동 501번지 일대에 분포했던 지석묘군으로 현재는 상석 4개가 이동되어 임의로 배치되어 있다. 1998년 국립대구박물관에서 발굴조사한 바에 의하면 지상의 상석은 이동되어 원위치는 파악.. 대구 2010.12.22
대구방짜유기박물관 대구방짜유기박물관(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399번지) 방짜유기박물관은 전국 유일의 방짜유기를 테마로 한 전문박물관으로서 자랑스러운 고유문화유산인 방짜유기와 그 제작기술을 전승 보존하며 후손들에게 '우리 것'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알리고 지역문화 발전을 이루고자 2007년 5월 25일 개관.. 대구 2010.11.05
동화사 비로암(桐華寺毘盧庵)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大邱 桐華寺 毘盧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보물 제244호.대구 동구 도학동 30) 민애왕(재위 838∼839)의 명복을 빌기 위해서 만든 동화사 비로암 3층석탑(보물 제247호)과 동시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높이 1.29m의 불상이다. 둥근 얼굴은 풍만하고 눈·코·입이 작아지고 있으며, 미소가 사라지고 단아한 모습이다. 8세기 불상에 비해 어깨는 뚜렷하게 좁아졌으며, 가슴은 평평하고, 하체의 처리도 역시 둔화되었다. 이러한 위축되고 둔화된 표현은 9세기 중엽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불상양식이다. 손모양은 비로자나불이 일반적으로 취하고 있는 모습으로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싼 형태이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데, 규칙적으로 얇은 평행의 옷주름선이 있고, 아랫도리.. 대구 2010.11.03
동화사 금당암(桐華寺金堂庵) 동화사극락전(桐華寺極樂殿.시도유형문화재 제11호 (동구).대구 동구 도학동 36) 동화사는 팔공산 남쪽 기슭에 있는 신라시대의 절이다. 언제 처음 지었는지는 정확하지 않으며, 통일신라 경순왕 8년(934)에 영조선사가 다시 지은 후에도 여러 차례 다시 지었다. 극락전은 아미타불을 모시.. 대구 2010.11.03
충익공 곽재우장군 묘소 곽재우 장군 묘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에 소재한다. 자는 계수요, 호는 망우당인 곽재우 장군은 조선 명종 7년(1552)에 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천리에서 출생하여 임진왜란때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켜 큰 공을 세웠고 여러 벼슬이 제수되었으나 관직에 오래 머물지 않고 귀향하여 낙동강변에 .. 대구 2010.09.04
대구 팔달동 유적 대구 팔달동유적지(강 건너 오른쪽 아파트 일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대구 팔달동유적지(강 건너 오른쪽 아파트 일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대구 팔달동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19동, 초기철기시대~삼한시대 목관묘와 토광묘 103.. 대구 2010.07.22
대구무술명오작비(大邱戊戌銘塢作碑) 대구무술명오작비(大邱戊戌銘塢作碑.보물 제516호.경북대학교박물관) 1946년 대구시 대안동에서 처음 발견되었다가 7, 8년 동안이나 행방을 알 수 가 없었는데, 그 후 다시 경북대학교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비(碑)는 길쭉한 모양의 자연석으로, 아래는 직선으로 잘려 있고 윗부분은 원형으.. 대구 2010.07.21
신천. 금호강의 자전거 길에서 본 풍경:대구에서 가장 자전거 타기 좋은 길 신천 자전거 길 및 산책로(경대교 부근) 신천과 금호강 합류 지점 부근 자전거 길에는 장승도 있고 ... 왕사마귀 보리 밭에서 먹이 활동하는 비들기 체험학습 중인 유치원생(신천. 금호강 합류 지점 부근) 잘 다듬어 놓은 자전거 길(자전거 타기는 아주 좋은 상태 임. 자동차는 통행 금지 구.. 대구 2010.06.05
탁영거문고(濯纓거문고.보물 제957호) 탁영거문고(濯纓거문고.보물 제957호.조선시대 15세기. 길이 160.0cm 너비 19.0cm 높이 10cm.국립대구박물관) 조선 초기의 학자인 탁영 김일손이 사용하던 거문고이다. 거문고 중앙부분에 탁영금(濯纓琴)이란 글자가 새겨져 있고, 학 그림이 거문고 아래쪽에 그려져 있다. 거문고의 머리 부분인 용두(龍頭)와,.. 대구 2010.06.02
이헌국 호성공신교서(李憲國扈聖功臣敎書.보물 제1617호) 이헌국 호성공신교서(李憲國扈聖功臣敎書.보물 제1617호.조선시대 1604년(선조37) 가로 155.0cm 세로 36.5cm.대구 수성구 황금로 200번지 국립대구박물관) 이 호성공신교서(扈聖功臣敎書)는 임진란에 이헌국이 선조와 세자를 모시고 함께 따라간 공로로 난후인 1604년에 이헌국에게 내린 것이다. 호성공신은 .. 대구 2010.06.02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보물 제1410호) 금동 당간 용두(金銅幢竿龍頭.보물 제1410호.높이 68.0cm. 경북 영주시 풍기읍 성내2리 출토.국립대구박물관) 금동용형당간두는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듯 두 눈을 크게 부릅뜬 채 윗입술이 S자형을 이루며 위로 길게 뻗친 입을 벌려 여의주를 물었으며 아래 위의 송곳니가 모두 위쪽을 향해 날카롭게 휘어.. 대구 2010.06.02
국보 제182호.제183호.제184호(모례의 땅 .선산에서 출토된 삼존상) 금동여래입상(金銅如來立像.국보 제182호.대구 수성구 황금1동 산41 국립대구박물관) 1976년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봉한 2동 뒷산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관음보살입상 2구와 함께 출토되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이 불상들은 발견되기 70여 년전에 어느 농부에 의하여 부근 대밭골이라는 곳에서.. 대구 2010.06.02
송정동석불입상(松亭洞石佛立像) 송정동석불입상(松亭洞石佛立像)(시도유형문화재 제22호 (동구).대구광역시동구 송정동 363 ) 팔공산 순환도로의 파계사 삼거리에서 칠곡쪽으로 500m가량 가면 송정동 부락이 있고 여기서 북으로 골짜기를 따라 300m쯤 올라가면 석불입상이 있다. 이 불상은 화강암을 이용하여 조각한 것으로 비록 마멸이.. 대구 2010.05.11
2010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 1658년 무렵부터 해마다 열리던 대구약령시는 개시 때마다 藥商과 醫員을 비롯한 전국의 한의약업인과 전체 지역민이 함께 어울려 약재를 사고 팔며 인심과 문물을 전하던 축제 그 자체였다. 약령시 개시일이 다가오면 旅閣과 客主집은 전국에서 몰려오는 손님 맞을 준비에 여념이 없었으며 전국의 출.. 대구 2010.05.05
약령시한의약문화관(Yangnyeongsi Oriental Medicine Cultural Center) 2008년 11월 25일 -- 대구시는 지난 11월 20일 새롭게 리모델링사업을 추진하고 있는「약령시전시관」의 명칭을「약령시한의약문화관」으로 변경하였다. 약령시한의약문화관은 단순한 전시관이 아니라 한의약 및 약령시의 역사, 문화에 대한 입체적 전시·영상물과 체험공간 위주로 구성되었다. 대구 2010.05.05
2010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 공연 이모저모 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는 조선시대 약령시 개장행사를 현대적으로 승화시켜 1978년 제1회 달구벌 축제 행사의 일환으로 개장행사가 개최된 것을 기점으로 매년 5월초 전통 한의약 축제로 대구 약전골목 일원에서 개최된다. 향긋한 약초 내음과 더불어 현대사회 도시민들의 건강에 대한 호기심을 전.. 대구 2010.05.05
대구수목원의 봄 대구수목원은 행정구역상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곡동에 소재하고 있으며 대구시에서 운영하는 공립수목원으로 내방객에게 무료로 개방되고 있습니다. 수목원내에는 약초원, 활엽수원, 침엽수원, 야생초화원, 화목원, 방향식물원, 괴석원, 죽림원 등 21개의 주제를 가진 전문수목원으로 구성되어 있으.. 대구 2010.05.03
대구진천동입석(大邱辰泉洞立石.사적 제411호) 대구진천동입석(大邱辰泉洞立石.사적 제411호대구 달서구 진천동 470-38외) 입석은 큰 돌을 세워 놓은 것으로 선돌이라고도 하며, 고인돌이 있는 지역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진천동에서 선돌을 세운 주위로 석축을 네모난 형태로 둘러 쌓아 놓았고, 선돌 앞에서 제사의식을 지낸 것으로 짐.. 대구 2010.05.03
국채보상운동 국채보상운동의 발상지 광문사터 광문사터의 현재의 모습(대성사라는 절이 있음) 광문사터가 있는 거리(북성로. 수창초등학교 부근) 광문사터의 스카이뷰(다음 지도 스카이뷰에서)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광문사가 있던 북성로 거리(일정시 사진) 광문사가 있던 북.. 대구 201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