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구박물관 실외 전시물 국립대구박물관(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구박물관 정도사터5층석탑(정도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약목역 일대) 기단의 명문 기단의 안상문 보당 보당의 용두 이수 석탑재(통일신라 8세기. 대구 백안동) 삼층석탑(고려시대 10새기. 대구 매여동) 문지방돌(경북 영주 소수서원) 옥산.. 대구 2009.07.03
정도사지오층석탑(淨兜寺址五層石塔보물 제357호 ) 정도사지오층석탑(淨兜寺址五層石塔보물 제357호 ) 원래 경상북도 칠곡군 정도사터에 있었던 5층 석탑으로, 1934년에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에 국립대구박물관으로 다시 옮겨 세워 놓았다. 기단(基壇)은 2단으로,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3구씩 조각하였는데 무늬의 .. 대구 2009.07.03
대구도동측백나무숲(大邱 道洞 측백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호)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구도동측백나무숲(大邱 道洞 측백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동구 도동 산180 ) 측백나무는 중국 및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단양, 대구, 안동, 영양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절벽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숲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대구 2009.07.01
민족저항 시인 이상화 고택 계산성당에 이상화 고택 가는 옛 골목 길 <이상화 연보> 1901 : (음)4/5 대구시 서문로 2가 12번지에서 부 이시우(李時雨)의 차남으로 출생. 1907~1918 : 8세 때 부친 작고, 이후 백부 이일우의 가내에 설치한 사숙에서 공부함. 1915~1918 : 경성중앙학교(현 중동) 입학, 수료함. 1919 : 3.1운동 당시 .. 대구 2009.06.24
국채보상운동의 거장 서상돈 고택 국채보상기념공원에 있는 서상돈 상 서상돈 : 민족운동가. 서울 출생. 가톨릭교도로 신유박해·기해박해 등의 고난으로 문중에서 쫓겨나고 여러 곳을 옮겨다닌 집안의 내력으로 어려서부터 생계를 위하여 일을 하였다. 1871년 대구에서 독학을 하며 지물(紙物) 행상과 포목상을 하였다. 18.. 대구 2009.06.24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국채보상운동 취지서 지금 우리들은 정신을 새로이 하고 충의를 떨칠 때이니, 국채 1천 3백만원은 우리나라의 존망에 직결된 것입니다. 이것을 갚으면 나라가 보존되고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함은 필연적인 사실이나, 지금 국고에서는 도저히 갚을.. 대구 2009.06.18
두류공원 인물동산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목우 백기만 시비 시인. 호는 목우(牧牛), 필명 백웅(白熊)·흰곰. 대구 출생. 대구고등보통학교와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에서 공부하였다. 양주동(梁柱東)·이장희(李章熙) 등과 문예지 《금성(金星)》 동인으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다. 1924년 1월 .. 대구 2009.06.07
두류산 금용사 건립연도 : 1931년 3월 규 모 - 부지면적 : 1,980㎡ - 건물면적 : 330㎡ - 창건자 : 본심스님 대웅전 대웅전 내부 금용사 5층석탑 금용사 석등 삼성각 (칠성탱화. 산신탱화. 나반존자 모셔져 있습니다.) 두류산 금용사 대웅전 벽화 심우도 인간의 본성을 찾아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을 목동이 소를 찾는 것에 비.. 대구 2009.06.06
읍내동(안양동) 마애불 대구 북구 읍내동(안양동) 마애불 화강암(花崗岩)으로 병풍처럼 된 바위에 불상(佛像)과 함께 왼쪽에는 탑(塔), 오른쪽에는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협시보살 성중 비구 등을 조각해 놓았다. 신라시대(新羅時代)의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는 조각된 상태가 분명하지 못하다. 원래는 이곳이 못이었는데 .. 대구 2009.04.21
백촌 김문기선생 유적비와 태충각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 태충각의 정면인 유의문 유의문 현판 태충각(대구 북구 노곡동 201) 특성 : 비각은 정면 3칸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조선시대 단종 때 충신인 백촌 김문기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충의공 김백촌 유적비를 세우면서 비의 보호하기 위해 1900년(고종 37.. 대구 2009.04.14
신숭겸장군 유적지 파계사 방면으로 401번 버스가 지나다가, 파군재 삼거리에서 파계사쪽으로 120여m쯤 가면 조그만 지묘교 다리가 보인다. 다리 건너 우측 동화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우뚝 솟은 홍살문이 이곳이 유적지임을 알려준다. 또한, 뒤편으로 가는 길은 104, 105, 131번을 타고 파군재 삼거리를 지.. 대구 2008.11.14
경상감영공원 경상감영공원내에 현존하는 선화당은 경상감영의 정청으로 쓰이던 건물로 우리나라 전체에서 현존하는 관아건물의 실례들이 별로 없다는 점에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현재의 건물은 1966년 경상북도 청사가 산격동으로 이전하고 난 후 1970년 중앙공원 조성 때 보수되었다. 1601년(선조3.. 대구 2008.09.08
함지산 조야동에서 본 함지산 조양동에서 함지산 쪽으로 가는 길에 조야동 골짜기의 마지막 집(재실) 골짜기의 도랑에 모여 있는 노랑나비들 옻골(조야동 골짜기)의 샘 옆에 있는 장승 조야동에서 칠곡으로 넘어 가는 길에는 장승 등 목각 작품들이 많이 있었다. 조야동에서 칠곡 넘어 가는 재 .. 대구 2008.08.07
육신사(묘골마을) 사육신의 충절을 깊이 되새기는 묘골마을 입구의 충절문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 묘리, 묘골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은 사육신의 한분이신 취금헌 백팽년의 후손이 모여 사는 순천 박씨의 집성촌이다. 육신사의 외삼문 외삼문 현판 송산 박준규 (국회의장) 송덕사 홍살문 육신사 정원에 .. 대구 2008.02.21
도동서원 도동서원 입구 전하는 바에 의하면 한 나무가 아니고 여러 나무가 뭉쳐 한 나무로 되었다 함 도동서원의 비석들 수월루 수월루 안쪽에서 바깥쪽으로촬영 환주문 환주문 올라가는 계단의 끝 부분의 꽃봉오리 모양 환주문의 여닫이 가운데에 있는 꽃봉오리 모양의 돌 계단 아래쪽에 있는 .. 대구 2008.02.03
남지장사 남지장사는 684년(신라 신문왕4년)랑개조사가 창건한 사찰로, 동화사 부근의 북지장사와 짝을 이루고 있다. 창건 당시에는 3천여 명의 승려들이 수도하던 대찰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고즈넉한 산사로 남아 있다. 이곳은 조선조에 고승 무학대사가 수도한 곳이며, 임란때는 사명대사가 거.. 대구 2007.03.31
현풍 석빙고 현풍면 상리 동산 밑 구천변(龜川邊)에 있는 현풍석빙고는 조선시대의 석축 얼음 창고로 깊은 계곡의 물이 얼면 그 얼음을 떠다가 저장하던 곳이었다. 석빙고의 입구는 개울이 흐르는 쪽에 설치하지 않고 능선쪽(남향)으로 향하도록 하였으며 외기를 막기 위해 옹벽을 쌓았다. 석빙고의 .. 대구 2007.02.07
비슬산 유가사 유가사 일주문 유가면 양리 비슬산 천왕봉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이 사찰은 신라 혜공왕(768~780)때의 창건설과 흥덕왕 2년(827)의창건설이 있으나 확실하지 않다. 흥덕왕 때의 창건설로는 당시 도성국사가 창건에 주력하였다고 전해오고 있다. 그 후 진성여왕 3년(889)에 탄잠선사가 중건하.. 대구 2007.02.07
용연사 용연사 일주문 용연사 일주문의 연화문 용연사 일주문 공포 용연사 일주문(뒷쪽에서) 옥포면 반송리에 소재하며, 옛날 이 절터의 동구에 용추가 있어 승천했다 하여 붙이게된 용연사는 신라 신덕왕때 보양국사가 창건하였으며 세종1년(1419)에 해운당 천일대사 가 중건하였다. 그 후 임진.. 대구 2007.02.07
비슬산(소재사,암괴.대견사지.용봉석불입상) 비슬산 자연휴양림 입구 비슬산 휴양림의 계곡 소재사 앞 돌탑 소재사 일주문 소재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고 전하나 자세한 연대는 알 수 없다. 사기(寺記)에 의하면 1358년(공민왕 7년) 진보법사(眞寶法師)가 중창하였으며 그 후 몇차례의 중수를 거쳐 지금에 이르고 있다. 사찰은 비.. 대구 2006.10.28
대구 시민의 빛과 희망인 「컬러풀 루미나리에 축제」 2006년 9월 25일 신천둔치(수성교~대봉교)에서 대구를 밝혀주는 대구 시민의 빛과 희망인 「컬러풀 루미나리에 축제」점등식 행사가 9월 25일 오후 6시 30분 신천둔치(수성교~대봉교)에서 개최되었다. ○「루미나리에」는 총 길이 360m, 높이 22m의 규모로 환상적인 빛 터널이다. 대구 2006.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