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 관덕동 석사자 (義城 觀德洞 石獅子) 가장 흥미 있다고 말 할 것은 상층기단 위의 네 귀퉁이에 놓여 있는 네 개의 석사자이다. ... 암사자는 겨드랑 밑에 새끼사자를 넣고 젖을 빨게 하였다. 암사자를 곁들임은 중국에서도 송대 이상으로 오래된 것을 구하기 힘들며 조선에서는 각 대를 통하여 그 예가 없고 ... ... 동양에서 아.. 대구 2012.02.03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장엄구 (漆谷 松林寺 五層塼塔 舍利莊嚴具.보물 제325호.국립대구박물관) 송림사는 진흥왕 5년(544) 명관(明觀)이 중국에서 가져온 사리를 모시기 위해 세운 절로, 여기에는 우리 나라에 몇 개밖에 남아 있지 않은 벽돌로 만든 송림사 오층전탑(보물 제189.. 대구 2012.02.03
금동 당간 용두 (金銅幢竿龍頭)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금동 당간 용두 (金銅幢竿龍頭.보물 제1410호.대구박물관.1977년 경북 영주 풍기에서 발견) 금동용형당간두는 금방이라도 튀어나올 듯 두 눈을 크게 부릅뜬 채 윗입술이 S자형을 이루며 위로 길게 뻗친 입을 벌려 여의주를 물었으.. 대구 2012.02.03
그림으로 보는 6.25전쟁 아래 모든 그림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그림이 보입니다.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전쟁의 실상을 보여주고, 이 땅에서 다시는 6·25와 같은 비극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교훈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일시 : 2012년 1월17일 - 22일 장소: 대구문화예술회관 주최 : 6.25전쟁미술대전조직위.. 대구 2012.01.22
강정고령보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강정고령보는 경북 고령과 대구 달성을 연결하여 놓인 보로, 후기 가야시대의 중심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해 디자인된 보와 다리에는 대가야를 주제로 한 시설물이 많아 관광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다. 우륵교의 중간에 설치.. 대구 2011.11.27
흙에서 찾은 영원한 삶 전시에서는 구석기부터 조선까지 시대를 망라하는 400여점의 유물을 선보인다. 전시주제는 제1부 하늘 땅 그리고 삶, 제2부 선사인의 보금자리, 제3부 영원한 안식처-고분, 제4부 가마터와 장인의 숨결, 제5부 구법의 길-불교로 이루어져 있다. 경주에서 많은 수의 오리모양토기와 .. 대구 2011.11.20
수릉향탄금계표석 (綏陵香炭禁界標石)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수릉향탄금계표석 (綏陵香炭禁界標石.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1호. 대구 동구 용수동 39-1 ) 수릉(조선 헌종 부친인 익종의 묘)의 보호와 향탄(왕릉에 사용하는 목탄)의 생산을 위해 국가에서 지정한 일정구역의 출입을 금하고 있는 일종의 .. 대구 2011.09.05
한솔 시비(詩碑)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한솔의 10주기를 맞아 그를 기리는 시비가 오는 1999년 6월 18일 대구 팔공산 자연공원에 세워졌다. 시비에는 대표작인 「산」 전문이 새겨져 있다.(원로 시인 구상님 글) 산언제 보아도 침묵을 지키고 언제 보아도 늠름한 기색이요 바위와 시내.. 대구 2011.09.05
팔공산 승시(僧市) 축제 승시는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번성했던 승려들의 장터로, 승려들이 필요한 물자를 조달하고 사원에서 만든 물품을 유통시키는 시장이었다. 2011년 9월1~5일 5일간 열리는 승시 축제는 다양한 볼거리와 먹을거리 그리고 경험거리가 넘쳐난다. 체험과 다양한 공연은 물론 풍등 날리기와 1만개 등으.. 대구 2011.09.05
고모역(顧母驛). 고모령(顧母嶺) '비 내리는 고모령’으로 널리 알려진 대구 수성구 경부선 고모역(顧母驛). 동대구역에서 부산방향으로 5.1㎞ 떨어진 이 역이다.고모역은 2004년 7월에 여객업무가 중지됐고 2006년 9월초에는 화물영업도 끝났다. 2006년 11월 1일 역 업무를 인근 가천역에 이관한 후 문을 닫았다. 81년간의 수많은 사연을 간.. 대구 2011.08.31
제례상(사대부 제례상. 대종교 제례상. 불교 제례상) 대구방짜유기박물관의 제례상 차림 전시물 사대부가에서는 관혼상제 중에서도 상제를 인륜의 대사로서 엄격한 규범아래 치렸다. 이 때 유기. 목기. 백자로 만든 제기 등을 사용했으며 특히 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사대부가의 제기는 특별한 장식 없이 단조로운 모양을 하고 있다. 단군을 신.. 대구 2011.08.21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夫人寺逸名庵址石燈) 부인사(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부인사 일명암지 석등(夫人寺逸名庵址石燈.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22호. 대구 동구 신무동 356) 부인사 절마당에 놓여 있는 석등으로, 이 절에서 200m 가량 떨어진 일명암이라는 암자터에 쓰러져 있던 것을, 이 곳으로 옮겨 복원해 놓은 것.. 대구 2011.08.21
영남대로(현대백화점 북편. 약령시장 수협중앙회 뒷편 길)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영남대로는 부산동래포에서 한양(서울)까지 걸어서 열나흘 정도 걸리는 천리에 가까운 길이며, 조선시대 9대 간선도로 중 하나였고 주요 지선이 이어져 있다. 영남대로는 '경상대로(慶尙大路)', '경상충청대로(慶尙忠淸大路)'로 불리기도 했으.. 대구 2011.08.18
나의 조국.나의 마라톤. 마라톤 영웅 손기정 2011년 8월 9일부터 2011년 9월 9일까지 대구박물관 특별전시실에서 '나의 조국 나의 마라톤, 마라토너 손기정'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에서는 손기정 선수가 1936년 베를린올림픽 마라톤에서 우승하고 받은 금메달과 우승상장, 월계관을 비롯해 부상으로 주어진 그리스 투구(보물 제9.. 대구 2011.08.17
단산지(봉무공원)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단산지 제방에 해안수리조합기념비(解顔水利組合記念碑) 총알 자국(누군가 표적판으로 사용한 듯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동구 봉무동 135 - 2 (문의전화 053-662-2624. 무료 입장) 시민의 건전한 생.. 대구 2011.08.08
선교사챔니스주택(宣敎師챔니스住宅)과 의료 박물관 선교사챔니스주택(宣敎師챔니스住宅.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대구 중구 동산동 424) 선교사 Reiner가 살던 집으로 191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Reiner 후로 Chamness, Sawtell 등의 선교사가 살았고, (1984~1993)까지는 동산병원 의료원장인 H.F Moffett가 거주 하였었다. 현재는 의료박물관으로 활용되고 .. 대구 2011.08.01
남산초등학교강당(南山初等學校講堂) 남산초등학교강당(南山初等學校講堂.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4호. 대구 중구 남산동2가 122) 1936년 일제 강점기에 지은 대구 남산정 공립보통학교의 강당 건물로 현재까지 당시의 건물 유형과 특징이 잘 보존 유지되고 있다. 전체적으로 붉은 벽돌쌓기 단층건물로 지붕은 4각형의 석면 슬레이트를 마.. 대구 2011.08.01
계성학교핸더슨관(啓聖學校핸더슨館) 계성학교핸더슨관(啓聖學校핸더슨館.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호.대구 중구 대신동 277-1) 계성학교 제4대 교장이었던 핸더슨이 블레어 선교사가 미국에서 염출한 자금으로 1931년 건립한 건물이다. 건물의 설계는 핸더슨이, 건축공사는 핸더슨 교장의 감독하에 학생들이 기초공사를 하고, 상부공사.. 대구 2011.08.01
계성학교아담스관(啓聖學校아담스館) 계성학교아담스관(啓聖學校아담스館.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5호.대구 중구 대신동 277-1) 대구 최초의 선교사인 아담스(Adams)가 미국 선교부로부터 건축비를 지원받아 1908년에 건립한 영남 최초의 양옥(洋屋) 교사(校舍)이다. 건축의 설계는 아담스 선교사가 직접하고 건축공사는 그의 감독하에 중국.. 대구 2011.08.01
대구 동산병원 구관(大邱 東山病院 舊館) 현관을 청라언덕으로 이전 후의 모습 대구 동산병원 구관(大邱 東山病院 舊館.등록문화재 제15호.대구 중구 동산동 194 외 22필지) ­지상 3층 적벽돌 조적조로 정면 중앙포치 중심 좌우대칭 구조 ­대구 최초의 서양의학병원 현관이 있을 때의 모습 대구 동산병원 구관 현관 현관이 이전 후의 현관 .. 대구 2011.08.01
우현서루(友弦書樓) 옛터 우현서루(友弦書樓)는 현 대구은행 북성로 지점의 터에 민족시인 이상화의 조부인 금남 이동진 선생이 을사늑약(乙巳勒約) 이후 민족지사양성을 위해 사재(私財)를 털어서 세우고, 그의 장자인 소남 이일우 선생이 운영한 곳이다. 우현서루의 옛 터는 지금의 서성로와 북성로가 교차되는.. 대구 2011.07.30
대구제일교회(大邱第一敎會) 대구제일교회(大邱第一敎會.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30호.대구 중구 남성로 50) 경북지방에 처음 생긴 기독교회로, 선교사들이 이 지방을 개화시키기 위해 근대적 의료 및 교육을 전개했던 곳이다. 고종 32(1895) 부산에 있었던 북장로교 선교본부가 대구로 옮겨지고, 광무 2년(1898)에 기와집 4동을 교회.. 대구 2011.07.30
진골목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중앙시네마 뒤편 골목이다. 골목이 길어서 진골목이라고 한다. 달성서씨들 부자들이 모여 살아 풍채 좋은 서씨들의 한옥들이 그대로 남아있다.일제시대에 한국식, 중국식, 일본식으로 혼합되어 지어진 한옥의 느낌을 그대로 만날 수 있다. 요.. 대구 2011.07.30
대구 동촌역(大邱 東村驛) 대구 동촌역(大邱 東村驛.등록문화재 제303호.대구 동구 검사동 990번지) 동촌역은 1917년 11월1일 보통역으로 영업개시하여, 1928년7월1일 국철로 편입되어 1938년 대구-영천간 광궤선으로 개량되었다 . 박공지붕과 조정실의 작은 박공이 균형을 이루고 있다. 대합실의 천장은 ‘ㅅ’형태로 마감되어 있으.. 대구 2011.07.29
청라 언덕과 동무생각(思友) 청라언덕 계단길(3.1독립운동길) 청라언덕을 오르는 길은 여러 갈래가 있으나, 이상화 고택. 서상돈 고택을 거쳐 계산성당 답사 후 길을 건너 제일교회가 바라 보이는 정면에서 왼편으로 난 계단길이 가장 운치가 있으며, 이 계단길은 대구 3.1독립운동길이기도 하다. 계단길 양 벽면에는 .. 대구 2011.07.26
선교사블레어주택(宣敎師블레어住宅) 선교사블레어주택(宣敎師블레어住宅.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6호. 대구 중구 동산동 424) 선교사인 블레어(Blair)와 라이스(Rice)가 살던 집으로 1910년경에 지어진 건물이다. 현재는 교육·역사 박물관으로 사용 되고 있다. 붉은 벽돌로 지은 2층집이며, 남북방향으로 긴 형태이고 안의 건축재료를 일부.. 대구 2011.07.26
선교사챔니스주택(宣敎師챔니스住宅) 선교사챔니스주택(宣敎師챔니스住宅.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5호. 대구 중구 동산동 424) 선교사 Reiner가 살던 집으로 1910년경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Reiner 후로 Chamness, Sawtell 등의 선교사가 살았고, (1984~1993)까지는 동산병원 의료원장인 H.F Moffett가 거주 하였었다. 현재는 의료박물관으로 활용되고 .. 대구 2011.07.25
선교사스윗즈주택(宣敎師스윗즈住宅) 선교사스윗즈주택(宣敎師스윗즈住宅.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4호.대구 중구 동산동 194 ) 미국인 선교사 Miss Marttha switzer, H.H.Henderson, Archibad campbel 등이 살았던 주택으로 1910년 또는 그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인다. 1981년 동산의료재단에서 인수하여 현재는 선교박물관으로 활용 되고 있다. 붉은벽돌.. 대구 2011.07.25
청라언덕 계단길(3.1독립운동길) ‘청라언덕’은 푸를 청(靑), 담쟁이 라(蘿)를 쓰고 있는데, 이 ‘청라’가 지금도 푸른 담쟁이로 뒤덮은 동산병원내 선교사 사택 일대의 언덕을 말한다고 한다. 계산성당에서 동산병원 선교사 사택 가는 3.1독립운동길 3.1운동길(계단길)에서 본 계산성당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 대구 2011.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