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대구 474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大邱 桐華寺 三藏菩薩圖) 및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

대구 동화사 삼장보살도 (大邱 桐華寺 三藏菩薩圖.보물 제1772호. 대구 동구 동화사 1길 1 동화사 성보박물관) 삼장보살도는 죽은 이들의 영혼을 천도하기 위한 의식용 불화로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로 구성되는데, 고려시대의 사례로 알려진 것이 없..

대구 2012.09.08

본리 삼층석탑

오래 전 이곳에 인흥사(仁興寺)라는 절이 있었다 하여 남평문씨세거지는 인흥마을이라고도 불리는데 인흥사는 일연스님이 주지로 있으면서 의 역대연표와 불경을 편찬한 이름 높은 사찰이었다고 전한다. 본리 삼층석탑은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높이는 1.5m이고, 토대의 직경은 5m 가량이다. 탑의 기단부가 땅 속에 묻혀 있으며 상대갑석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다. 옥개석(屋蓋石)의 옥석받침이 전부 마멸되어 형체가 없고, 현재 2층의 탑신 남아 있는데 일부 탑재는 남평문씨 문중에서 보관하고 있다. 원래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기의 석탑이 더 있었으나 그 석탑은 1959년 4월 경북대학교박물관으로 옮겨져 현재 박물관 앞뜰에 서 있다.

대구 2012.07.30

관풍루 (觀風樓)

관풍루 (觀風樓.대구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호. 대구 중구 달성동 294 달성공원) 옛날 경상감영의 정문으로, 조선 선조 34년(1601)에 세웠다. 관풍루의 원래 이름은 ‘폐문루(閉門樓)’로 새벽 5시에 문을 열고 밤 10시에 문을 닫는 풍악을 울렸다고 한다. 이름을 바꾼 것은 감사가 이 건물 위에서 세속을 살핀다고 하여 붙인 것이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2층 누각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만든 공포는 새 날개 모양이다. 건물 4면에는 난간을 설치했으며, 뒤편으로는 계단을 만들어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문화재청 자료) 달성공원 대구읍성 모형 대구감영 모형

대구 2012.05.05

이방 정건학유공불망비 (吏房 鄭建鶴有功不忘碑 앞면). 입마절목(立馬癤目후면)

이방 정건학유공불망비 (吏房 鄭建鶴有功不忘碑 앞면). 입마절목(立馬癤目후면) 이방 정건학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정건학은 영문(營門)에 근무하면서 모든 처사를 조리있게 하였으며 민폐를 없애는 등 공적이 컸다. 이 비의 후면에는 범어역의 입마절목(立馬癤目)이 새겨..

대구 2012.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