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홍량유허비(孫洪亮遺墟碑) 손홍량유허비(孫洪亮遺墟碑.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67호. 경북 안동시 일직면 송리 267-1) 유허비는 옛 선현의 자취를 살피어 후세에 전하고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해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고려 후기의 문신이면서, 일직(一直) 손씨의 시조이기도 한 손홍량 선생의 공적을 기리고 있다. 손홍량(1287∼1379)은 원래 순씨였으나 현종의 이름과 같다하여 성을 손씨로 고치었다. 충선왕 대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라, 도첨의찬성사를 거쳐 판삼사사에까지 이르렀으며, 그 이듬해에는 복천부원군에 봉하여졌다. 공민왕 11년(1362)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을 때 난을 평정하자, 왕은 그에게 지팡이와 초상화 등을 내려주며 공을 치하하였다. 비각안에 모셔둔 비는 낮은 받침돌 위로 비몸을 세우고 머릿돌을 올린.. 경상북도/안동 2020.11.01
안동 소호헌(安東 蘇湖軒) 안동 소호헌(安東 蘇湖軒. 보물 제475호. 경북 안동시 일직면 소호헌길 2 (망호리)) 조선 중종 때 문신 서해(徐嶰) 선생이 서재로 쓰기 위해 명종(재위 1545∼1567) 때 지은 별당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부속된 방은 지붕 양식이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배지붕이다. 왼쪽 3칸은 대청, 오른쪽 1칸은 누마루며 앞쪽으로 온돌방 2칸을 붙여 집의 구조가 T자 모양을 이루고 있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기둥 위에 간략한 새부리 모양의 구조를 짜았다. 누(樓)마루와 온돌방 뒤쪽으로 난간을 둘렀고 건물 안쪽은 민가 건축에서 볼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여 지붕 맨 윗부분에 있는 재료를 받치고 있다. 기와에 새겨진 용.. 경상북도/안동 2020.10.27
상여(喪輿 Funeral Carrier) 안동민속박물관 상여(喪輿 Funeral Carrier) 일반적으로 장례 행렬 가운데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영여靈輿와 상여喪輿이다. 영여는 죽은 이의 영혼을, 상여는 주검을 운반하는 가마이므로 장례 행렬에서 필수적이다. 상여의 모양은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나 보편적으로 가마와 비슷한데 그.. 경상북도/안동 2019.09.29
국보 하회탈 안동민속박물관 전시 1964년 고향 안동을 떠나 국립중앙박물관에 위탁 보관돼 오던 ‘하회탈’을 2018년 12월 말 안동민속박물관으로 이관한 이후 첫 선을 보이는 것이다. 상설 전시되는 하회탈은 각시, 양반, 선비, 부네, 초랭이, 이매, 중, 할미, 백정, 주지(2점) 등 하회탈 10종 11점과 병산탈 2점 등 국보로 지정.. 경상북도/안동 2019.09.28
망호리 남씨 영모사(望湖里南氏永慕祠) 망호리 남씨 영모사(望湖里南氏永慕祠.문화재자료 제212호.경북 안동시 일직면 망호리 166번지) 영양 남씨인 남태백(1559∼1601)·남태화(1565∼1591)·남태별(1568∼1635) 등 3형제의 위패를 모시고 있는 사당이다. 첫째인 남태백은 벼슬이 진사였고, 셋째인 남태별은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 경상북도/안동 2018.03.01
안동 상여집(安東 喪輿집) 안동 상여집(安東 喪輿집. 시도민속문화재 제161호. 경상북도 안동시 망호한길 76 (일직면, 상여집)) 상여와 장례에 쓰이는 용구들을 보관하는 곳으로 곳집으로도 불린다. 19세기 초에 지은 것으로 전하는 이 건물은 전국에 남아 있는 몇 동 안되는 상여집의 하나로 매우 소박하고 간결하게 .. 경상북도/안동 2018.03.01
병산서원(屛山書院)의 달팽이 뒷간(化粧室) 병산서원(屛山書院)의 달팽이 뒷간(化粧室) 병산서원 밖 주소(廚所 주소=부엌) 앞에 있는 화장실이다. 진흙 돌담의 시작 부분이 끝 부분에 가리도록 둥글게 감아 세워 놓았는데, 그 모양새에서 이름을 따왔다. 출입문을 달아놓지 않아도 안의 사람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배려한 구조.. 경상북도/안동 2016.10.30
국외에서 찾아낸 한국 고대 문화의 발자취- 연해주 발해 유적ㆍ카자흐스탄 고분군 발굴조사 완료 - 국외에서 찾아낸 한국 고대 문화의 발자취 - 연해주 발해 유적ㆍ카자흐스탄 고분군 발굴조사 완료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최근 러시아 연해주 남부에 있는 시넬니코보-1지역의 발해보루와 카자흐스탄 소재 카타르토베 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마쳤다. 발해보루 조사는 러시아.. 경상북도/안동 2016.10.19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安東 松仕洞 소태나무) 안동 송사동 소태나무(安東 松仕洞 소태나무.천연기념물 제174호.경북 안동시 길안면 송사리 100-7번지 4필) 소태나무는 나무 껍질에 쓴맛을 내는 콰시인(quassin)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매우 쓰다. 우리말에 ‘소태처럼 쓰다’란 말은 이것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가지와 열매는 소화불량.. 경상북도/안동 2016.10.19
민족문화의 원류 삼국유사 목판으로 되살아나다.(경북신청사 로비 전시물) 사진출처 : 문화재청 삼국유사 (三國遺事. 국보 306호) : 고려말의 승려 일연(一然)이 1281년(고려 충렬왕 7)에 지은 삼국시대의 역사서이다. 체재는 5권 2책으로 되어 있으며, 내용은「왕력(王歷)」, 「기이(紀異)」,「흥법(興法)」,「탑상(塔像)」,「의해(義解)」,「신주(神呪)」,「감통(感通).. 경상북도/안동 2016.06.29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사적 제170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도산서원길 154 (토계리))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 선생이 도산서당을 짓고 유생을 교육하며 학문을 쌓던 곳이다.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면서 백운동서원의 운영,.. 경상북도/안동 2016.04.18
하회 옥연정사(河回玉淵精舍) 1586년 서애 류성룡이 평소 가깝게 지내던 탄홍 스님의 도움을 받아 지은 정사이다. 문간채·바깥채·안채·별당까지 두루 갖추고 있으며, 화천이 마을을 시계 방향으로 휘감아 돌다가 반대 방향으로 바꾸는 옥소의 남쪽에 있다 서애 선생은 호를 서애(西厓:서쪽 벼랑)로 짓고 마을의 번.. 경상북도/안동 2015.10.02
탄생에서 죽음까지(안동시립민속박물관) 기자(祈者)기자는 아들을 낳지 못한 부인들이 아들을 점지해 달라고 소원을 비는 습속이다. 남아선호사상이 강했던 전통사회에서 부인들의 한결같은 바램은 아들을 낳는 것이다. 이러한 염원에서 비롯된 기자속에는 일정한 대상물에 기원하는 치성기자와 특정한 사물을 지니거나 특별.. 경상북도/안동 2015.10.02
파리통(파리잡이 통) 파리통 시대 : 1900년대 중반 크기 : 밑지름 18.0cm 높이 16.3cm 파리를 잡을 때 쓰는 물건입니다. 1960년대에는 집집마다 하나씩 있는 파리잡이통입니다. 바닥에 밥이나 음식물을 놓고, 그 위에 물을 넣은 파리통을 올려놓으면 바닥 틈으로 들어온 파리가 도망가지 못하고 파리통의 물에 빠져서 잡히도록 만들었다. 1960년대에는 집집마다 하나씩 있는 파리잡이통입니다.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서 파리잡이통을 보고... ..., 아 - 그 때는 파리도 무척 많았지..., 파리 퇴치 운동으로 성냥갑에 파리를 모아 학교에 제출한 기억도 나고..., 그 때의 그 파리잡이 통이 지금은 박물관에 있네요 !! 경상북도/안동 2015.10.01
祭具, 그리움을 담아 정성으로 갖추다 - 2015년 안동민속박물관 정기 기획전 - 2015년 안동민속박물관 정기 기획전 ‘祭具, 그리움을 담아 정성으로 갖추다’개최 안동민속박물관(관장 송승규)은 2015년도 정기 기획전으로 제사에 사용하는 제구를 소개하는 『祭具, 그리움을 담아 정성으로 갖추다』를 2015년 9월 23일(수)부터 12월 20일(일)까지 안동민속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으로 제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그와 관련된 제구祭具에도 정성을 담아 신성하게 여기고 소중하게 관리하였다. 후손들의 정성을 담는 제구들은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일반 그릇이나 도구와는 달리 평상시에도 제구를 보관하는 창고를 따로 만들어 보관하거나, 제기궤 ․ 제기함 등에 제기를 담아 정성스럽게 보관하였다. 《예기禮記》에 의하면“군자는 가난할지라도 제기를 일상.. 경상북도/안동 2015.10.01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 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安東 法興寺址 七層塼塔.국보 제16호.경북 안동시 법흥동 8-1번지) 전탑(塼塔)이란 흙으로 만든 벽돌을 이용하여 쌓아 올린 탑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법흥사에 속해있던 탑으로 추정된다. 탑은 1단의 기단(基壇)위로 7층의 탑신(塔身)을 착실히 쌓아올린 모습.. 경상북도/안동 2015.10.01
영의정문충공서애류선생지묘(領議政文忠公西厓柳先生之墓) 묘소에는 ‘領議政文忠公西厓柳先生之墓(영의정문충공서애류선생지묘)’ 라는 묘전비만 있고 신도비는 유명(遺命)으로 인해 세우지 않았다. 정경부인(貞敬夫人) 이씨(李氏)가 부장(祔葬)되었다. 비는 손자 졸재(拙齋) 류원지(柳元之)의 묘갈명(墓碣銘)과 1764년(영조40) 외6대손 대산(.. 경상북도/안동 2015.03.29
조선판 사랑과 영혼,400년전의 편지 원이 아버님께 올리는 편지 당신 늘 나에게 말하기를 둘이 머리가 세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시더니, 그런데 어찌 하여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나와 자식은 누가 시킨 말을 들으며, 어떻게 살라고 다 던져버리고 당신 먼저 가셨나요? 당신은 날 향해 마음을 어떻게 가졌으며 나.. 경상북도/안동 2015.02.22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 (安東 泥川洞 磨崖如來立像) 안동 이천동 마애여래입상(安東 泥川洞 磨崖如來立像.보물 제115호.경북 안동시 이천동 산2번지 ) 자연암벽에 신체를 선으로 새기고 머리는 따로 올려놓은 전체 높이 12.38m의 거구의 불상이다. 이러한 형식의 불상은 고려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는데,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보물 제93호).. 경상북도/안동 2014.11.21
하회탈. 턱의 비밀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安東 河回탈 및 屛山탈.국보 제121호.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5가,임향한의원)) 경상북도 안동군 하회마을과 그 이웃인 병산마을에 전해 내려오는 탈로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탈놀이 가면이다. 하회탈로는 11개가 전해지는데 주지 2개, .. 경상북도/안동 2014.09.15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安東 禮安李氏 忠孝堂)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安東 禮安李氏 忠孝堂.보물 제553호.경북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73 (하리1리))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 경상북도/안동 2014.02.21
하리동일성당 (下里洞日省堂) 하리동일성당(下里洞日省堂.중요민속문화재 제178호.경북 안동시 풍산읍 중마길 11 (하리1리))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풍산으로 내려온 이웅의 후손으로 숙종 때 사람인 이문한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 이름을 '일성당(日省堂)'이라 한 것은 '외당에 독서실을 만들어 하루하.. 경상북도/안동 2014.02.20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7호. 경북 안동시 풍산읍 하리1리 207-1) 하리마을 한 민가의 돌담 안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 이 지방에서는 보기드문 모전석탑(模塼石塔)이다. 모전석탑이란 흙벽돌로 쌓아올린 전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 경상북도/안동 2014.02.19
체화정(棣華亭) 체화정(棣華亭.경북 유형문화재 200호. 경북 안동시 풍산읍 상리 2리 447) 조선 효종(재위 1649∼1659) 때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이다. 그 후 순조(재위 1800∼1834) 때 국가에서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 정문을 세우는 정려를 받은 이한오 선생이 늙은 .. 경상북도/안동 2014.02.18
징비록(懲毖錄) : 임진왜란. 그 반성의 기록 징비록 징비록(懲毖錄.국보 제132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 때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징비란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뜻이다. 유성룡은 퇴계 이황의 문인이며,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명종 2.. 경상북도/안동 2014.01.18
다시불러보는 '청포도' (동아방송 연속드라마 청포도 주제곡) 청포도 이육사 내 고장 七月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주절이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 꾸며 알알아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 경상북도/안동 2014.01.16
의성김씨학봉종택(義城金氏鶴峰宗宅) 의성김씨학봉종택(義城金氏鶴峰宗宅.경상북도 기념물 제112호.경북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856) ★ 조선 중기 문신 학봉 김성일(1538∼1593) 선생의 종가이다. 김성일은 선조 1년(1568) 과거에 급제하여 정언과 수찬 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경상도 초유사로 관군과 의병을 화.. 경상북도/안동 2013.11.16
우리나라 최초의 안경 1577년 학봉이 중국에 사신으로 가서 가져온 우리나라 최초의 안경이다, 안경알은 옥돌이며, 안경테는 거북등뼈로 만들었다. 안경(眼鏡) : 시력이 나쁜 눈을 잘 보이게 하기 위해서나 바람, 먼지, 강한 햇빛 따위를 막기 위하여 눈에 쓰는 물건. 초창기 안경은 수정을 깎아서 만들었다. 중국.. 경상북도/안동 2013.11.16
퇴계종택 (退溪宗宅) 퇴계종택 (退溪宗宅.경상북도 기념물 제42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468-2) 조선 중기 문신이며 대학자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종가이다. 원래 있던 집은 없어지고 이 건물은 1926∼1929년 사이에 선생의 13대손 하정 공이 옛 가옥의 규모를 따라 새로 지었다. 앞면 6칸·옆면 5칸 규.. 경상북도/안동 201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