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박물관 주소 : 경북 청도군 이서면 이서로 567(청도군 이서면 양원리 129-5번지) 청도박물관은 폐교였던 구 칠곡초등학교를 매입, 리모텔링사업을 통해 청도 최초의 종합박물관으로 재탄생됐다. 박물관은 수장고, 사무실, 전시실, 체험실, 뮤지엄샵, 야외공원 등으로 이뤄졌다. 전시공간은 2층에 위.. 경상북도/청도 2014.07.05
연자방아(硏子방아).디딜방아. 통방아 연자방아(硏子방아) 청도박물관 연자방아 연자방아(硏子방아)는 말과 소의 힘으로 끌어 돌리게 하여 곡식을 찧는 큰 매를 말하는데, ‘연자매’ 혹은 ‘연자마’라고도 일컫는다. 연자매를 설치해 두고 곡식을 찧는 방앗간은 ‘연자간’, ‘연잣간’, ‘연자맷간’ 등으로 부른다. 방아.. 경상북도/청도 2014.07.04
용강서원충열사 및 14의사묘정비(龍岡書院忠烈祠 및 14義士廟庭碑) 용강서원충열사(龍岡書院忠烈祠) 용강서원충열사 및 14의사묘정비(龍岡書院忠烈祠및14義士廟庭碑.경상북도 기념물 제129호.경북 청도군 이서면 모산길 45-4 (학산리) ) 고려 때 문신으로 청도에 터전을 잡아 밀양 박씨의 시조가 된 박익(1332∼1398)과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14의사의 충절을 .. 경상북도/청도 2014.07.03
청도삼베짜기(淸道삼베짜기) 청도삼베짜기(淸道삼베짜기.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4호. 경북 청도군 운문면 정상길 21-12 (정상리)) 삼베는 베라고도 불리며 한자어로는 마(麻)·마포(麻布)·포(布)라고도 한다. 삼베는 신석기시대의 궁산패총에서 뼈로 된 바늘에 마사가 감긴 것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사용된.. 경상북도/청도 2014.07.03
금호서원(琴湖書院).이운룡 선무공신교서 및 관련고문서.이운룡장군영정(李雲龍將軍影幀).식성군문적(息城君 門籍).의령 오천리 이운룡장군 묘 금호서원(琴湖書院.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08호.경북 청도군 이서면 홍선리 44외 3필) 동계 이운룡 장군과 향산 이백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이운룡(1562∼1610)은 선조 18년(158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많은 공을 세워 경상우수사 겸 3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이 서원.. 경상북도/청도 2014.07.02
용천사대웅전(湧泉寺大雄殿) 신라 문무왕 10년(670)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이 절은 최치원에 의해 화엄십찰(華儼十刹) 중 하나로 기록되고 스님만 수천 명에 이르는 대가람으로 위상을 떨쳤다고 한다. 고려 원종 2년(1261)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 스님에 의해 중창된 유서깊은 곳이다. 창건 당시 이름은 옥천사였고 일.. 경상북도/청도 2014.07.01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은 한국 각처의 늪, 연못, 도랑에 나는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근경은 물 밑의 진흙 속에 가로 뻗고, 줄기는 끈 모양으로 길고 굵다. 잎은 마주나며, 잎자루는 길고, 수면에 뜨며, 넓고 둥근 모양으로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뭉뚝한 톱니가 있다. 표면은 녹색, .. 경상북도/경산 2014.06.30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중요민속문화재 지정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 중요민속문화재 지정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청송군 파천면(경북 청송군 파천면 중평리 376)에 있는 ‘청송 평산신씨 판사공파 종택과 분가 고택(靑松 平山申氏 判事公派 宗宅과 分家 古宅)’을 국가지정문화재 중요민속문화재 제.. 경상북도/청송 2014.06.19
영주 무섬마을 영주 무섬마을(중요민속문화재 제278호.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로 732-20 (문수면)) 문수면 수도리는 아름다운 자연과 고가(古家)가 그대로 보존된 전통마을이다. 수도리는 이름 그대로 내성천(乃城川)이 마을의 3면을 감싸안고 흐르고 있으며 그 가운데 섬(島)처럼 떠 있는 마을이다. 안동 화회마을을 연상시키는 이 마을은 휘감아도는 강을 따라 은백색 백사장이 펼쳐지며 맞은편에는 소나무, 사철나무 등이 숲을 이룬 나지막한 산들이 강을 감싸안고 이어진다. 또, 강위로는 견실한 다리가 놓여져 마을과 마을을 잇고 있다. 수도리는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진 전통마을로 옛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해우당(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2호)과 만죽재(경상북도 민속자료 제93호)는 옛 선비들의 단아한 격식이 느껴지.. 경상북도/영주 2014.06.19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 영주 신암리 마애여래삼존상(榮州 新岩里 磨崖如來三尊像.보물 제680호.경북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1439-30, 산106) 경상북도 영풍군 이산면 신암리 길 옆 논 가운데에 있는 마애불로 바위 4면에 모두 불상을 새겼으나 지금은 삼존불(三尊拂) 외에는 형체를 거의 알아볼 수 없다. 본존불은 민.. 경상북도/영주 2014.06.18
흑석사(黑石寺) 흑석사(黑石寺. 경상북도 영주시 이산면 석포리 ) 대한불교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다. 신라 때 의상(義湘)이 창건하였다. 조선 전기까지의 자세한 연혁은 알 수 없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재난을 당한 뒤 사세가 급격히 기울어 겨우 명맥만 이어 왔다. 그러.. 경상북도/영주 2014.06.18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및 如來坐像) 영주 가흥동 마애여래삼존상 및 여래좌상(榮州 可興洞 磨崖如來三尊像 및 如來坐像. 보물 제221호.경북 영주시 가흥1동 264-2번지) 영주시 가흥동에서 서천이 내려다 보이는 거대한 암반의 최상부에 있는 마애삼존상이다. 측면에서 보면 삼존이 새겨진 돌이 암반과는 떨어져 있음을 알 수 .. 경상북도/영주 2014.06.17
영주가흥리암각화 (榮州可興里岩刻畵) 영주 가흥리 암각화 (榮州可興里岩刻畵.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8호. 경북 영주시 가흥1동 264-2번지) 암각화란 선사시대 사람들이 바위나 동굴의 벽면돌에 기호나 물건, 동물 등의 그림을 새겨놓은 것을 말하며, 풍요와 생산을 기원하는 주술행위의 결과물로 보고 있다. 가흥리 암각화는 .. 경상북도/영주 2014.06.17
청암사 보광전(靑巖寺普光殿) 청암사 보광전(靑巖寺普光殿.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88호.경북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5번지) 청암사는 통일신라 헌안왕 2년(858)에 도선이 세운 뒤 여러 차례 고쳐 지은 절이다. 보광전을 지은 것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조선 정조 6년(1782)에 고쳐 세운 기록이 있어 그 이전부터 존재한 것.. 경상북도/김천 2014.05.20
김천 청암사 수도암(金泉 靑巖寺 修道庵) 김천 청암사 수도암(金泉 靑巖寺 修道庵)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수도리 512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인 청암사(靑巖寺)의 부속 암자이다. 859년(헌안왕 3)에 도선국사(道詵國師)가 수도도량으로 창건한 사찰이다. 도선은 청암사를 창건한 뒤 수도처로서 이 터를 발견하고 .. 경상북도/김천 2014.05.20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ㆍ서 삼층석탑(金泉 靑巖寺 修道庵 東ㆍ西 三層石塔) 김천 청암사 수도암 동ㆍ서 삼층석탑(金泉 靑巖寺 修道庵 東ㆍ西 三層石塔.보물 제297호. 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암(수도리)) 대적광전을 중심으로 하여 동·서쪽에 서 있는 쌍탑으로, 신라 헌안왕 3년(859)에 도선국사가 세웠다는 설이 전해온다. 앞 뜰이 좁아서 탑과 .. 경상북도/김천 2014.05.20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菩薩坐像)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보살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菩薩坐像.보물 제296호.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암(수도리)) 청암산 수도암 약광전에 모셔져 있는 높이 1.54m의 고려시대 석불좌상이다. 머리에 원통형의 관(冠)을 쓰고 있어서 보살상처럼 보이지만, 광배와 대.. 경상북도/김천 2014.05.20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 김천 청암사 수도암 석조비로자나불좌상(金泉 靑巖寺 修道庵 石造毘盧遮那佛坐像.보물 제307호.경북 김천시 증산면 수도길 1438, 청암사 수도암(수도리)) 청암사 수도암에 모셔진 높이 2.51m의 통일신라시대 석조불상으로 진리의 세계를 두루 통솔한다는 의미를 지닌 비로자나불을 형상화.. 경상북도/김천 2014.05.20
의구총(義拘塚) 의구총(義拘塚.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05호.경북 구미시 해평면 낙산리 산148) 일선리 마을에 자리잡고 있는 개의 무덤이다. 주인을 구하려 목숨을 바친 개의 충직함을 기리고 있는데, 충성스런 개의 행적을 그린 의구도(義狗圖) 4폭이 함께 보존되어 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해평.. 경상북도/구미 2014.04.27
‘의성 만취당(義城晩翠堂)’ 보물 지정 예고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로 옆에 부속 건물이 붙어 있어 건물 평면이 T자형을 이루고 있다. 지붕은 옆모습이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이지만 부속 건물은 단순한 맞배지붕으로 되어 있다. ‘의성 만취당(義城晩翠堂)’ 보물 지정 예고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경상북도 의성.. 경상북도/의성 2014.03.12
화령장지구전적비 상주화령장전투 전사(戰史) 전투기간 : 1950. 7. 17 ~ 7.21 전투지역 : 경북 상주시 화서면 화령장 참가부대 : 국군 (보병 제 17연대), 적군 (보병 15사단) 경과 - ‘50.6.25일 불법 기습남침 이후 파죽지세로 밀고 내려오던 북한군은 국군의 방어선을 와해시키기 위해 적 15사단을 대구방향으로 긴급.. 경상북도/상주 2014.03.06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安東 禮安李氏 忠孝堂) 안동 예안이씨 충효당(安東 禮安李氏 忠孝堂.보물 제553호.경북 안동시 풍산읍 우렁길 73 (하리1리)) 이 집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다가 순국한 이홍인 부자의 충과 효가 얽혀있는 유서 깊은 집이다. 이홍인 공의 후손들이 사는 집으로서 명종 6년(1551)에 지은 것으로 보아 조선 중.. 경상북도/안동 2014.02.21
하리동일성당 (下里洞日省堂) 하리동일성당(下里洞日省堂.중요민속문화재 제178호.경북 안동시 풍산읍 중마길 11 (하리1리)) 이성계의 역성혁명에 반대하여 풍산으로 내려온 이웅의 후손으로 숙종 때 사람인 이문한이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 이름을 '일성당(日省堂)'이라 한 것은 '외당에 독서실을 만들어 하루하.. 경상북도/안동 2014.02.20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 안동하리동모전삼층석탑(安東下里洞模塼三層石塔.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07호. 경북 안동시 풍산읍 하리1리 207-1) 하리마을 한 민가의 돌담 안에 자리하고 있는 3층 석탑으로, 이 지방에서는 보기드문 모전석탑(模塼石塔)이다. 모전석탑이란 흙벽돌로 쌓아올린 전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 경상북도/안동 2014.02.19
체화정(棣華亭) 체화정(棣華亭.경북 유형문화재 200호. 경북 안동시 풍산읍 상리 2리 447) 조선 효종(재위 1649∼1659) 때 진사 만포 이민적이 세운 정자로 학문을 닦던 곳이다. 그 후 순조(재위 1800∼1834) 때 국가에서 충신, 효자, 열녀를 기리기 위해 마을에 정문을 세우는 정려를 받은 이한오 선생이 늙은 .. 경상북도/안동 2014.02.18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義城 生松里 磨崖菩薩坐像)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의성 생송리 마애보살좌상(義城 生松里 磨崖菩薩坐像.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2호. 경북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 산175-13) 이 보살상은 낙동강살리기사업 제32공구 현장의 낙단보 통합관리센터부지 조성공사 중에 발견된, 전체높이 213㎝, 像 높이 164㎝ 크기의 마애보살좌상이다. 좌우로 약간 벌어진 三山形의 보관을 쓰고 한 손에는 연꽃가지를 쥐고 있다. 평면적으로 線刻된 佛身 위의 着衣상태는 알 수 없으나, 등 뒤쪽에는 원형의 頭光과 身光이 얕게 새겨져 있고, 臺座도 이중선으로 새겨진 複葉의 연화대좌이다. 이 보살상의 제작기법은 신체를 線刻에 가깝게 평면적으로 새긴 반면에 얼굴부분은 사실적으로 정교하게 低浮彫하였다. 이와 같은 조각기법은 고려 전기에.. 경상북도/의성 2014.02.10
초전리고인돌유적지 위치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초전리 567 거석(巨石)문화의 대표적인 유물로 전해오는 고인돌(지석묘)이 여러 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나 초전리에 고인돌은 지방도(927번. 금성=봉양선)변에 위치하여 수십개가 산재해 있었으나 현재에는 10여개의 고인돌만 남아있다.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그.. 경상북도/의성 2014.02.10
징비록(懲毖錄) : 임진왜란. 그 반성의 기록 징비록 징비록(懲毖錄.국보 제132호.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 이 책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서애 유성룡(1542∼1607)이 임진왜란 때의 상황을 기록한 것이다. 징비란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뜻이다. 유성룡은 퇴계 이황의 문인이며, 김성일과 동문수학하였다. 명종 2.. 경상북도/안동 2014.01.18
다시불러보는 '청포도' (동아방송 연속드라마 청포도 주제곡) 청포도 이육사 내 고장 七月은 청포도가 익어가는 시절 이 마을 전설이 주절이주절이 열리고 먼데 하늘이 꿈 꾸며 알알아 들어와 박혀 하늘 밑 푸른 바다가 가슴을 열고 흰 돛단배가 곱게 밀려서 오면 내가 바라는 손님은 고달픈 몸으로 靑袍를 입고 찾아 온다고 했으니 내 그를 맞아 이 .. 경상북도/안동 2014.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