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대구 477

동촌유원지 뚝방길에 벚꽃이 피면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동촌유원지(東村遊園地. 대구 동구) 동촌유원지(東村遊園地)는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에 위치한 유원지다. 1965년에 유원지로 지정됐다. 금호강변에 위치해있고, 팔공산이 보이는 유원지다. 대구 동구의 유일한 유원지로 시민들의 문화공간 및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1911년 일본인이 동촌에 처음으로 이주해 와서 살면서 사과나무와 포플러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1918년 일본인들이 대구 사과와 좋은 경치로 유명해진 동촌을 본격적인 유원지로 만들기 시작했다. 1927년 제방을 쌓기 시작했고 일본인 50여 호가 이사를 왔다. 동촌유원지는 1910년대 일본인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다. 8·15 광복 이후 유원지로 정비되어 현재 대구 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다. 한국전쟁 중 ..

대구 2024.04.02

수성못 -벚꽃 피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수성못(壽城못.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 427-2) : 수성못(壽城못)은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에 있는 농업용수 공급용으로 조성된 인공 못이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24년 9월 27일 착공하여 1927년 4월 24일 준공된 저수지로 용지봉[633.8m]에서 법이산[334.2m]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북쪽 사면 해발 100m 정도에 형성되어 있다. 저수량은 70만톤에 달하고 21만 8000㎡의 면적에 제방 높이는 7.0m 길이는 1,050.0m, 못 둘레는 2,020m에 이른다. 수성못 주변에는 벤치와 수목, 산책로 유람선 선착장, 우주선, 유람선, 바이킹, 범버카, 회전목마 등의 놀이시설을 갖춘 수성랜드가 어우러져 수변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연중 풍부한 수량을 ..

대구 2024.03.31

꽃보라동산-벚꽃이 피었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꽃보라동산(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500-60) 대구광역시 북구 8경중 제2경으로 대구시산격청사(구,경북도청) 앞 신천변에 조성된 휴식공간이다. 봄에는 자전거도로와 산책로 주변으로 벚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시민들이 즐겨 찾는 벚꽃명소로 손꼽히고 있으며, 특히, 벚꽃길을 따라 “사랑고백 포토존”을 조성해 가족뿐 아니라 연인들이 즐겨 찾는 데이트 명소이다.

대구 2024.03.30

순국의사 장진홍 선생 흉상 -대구 중구 포정동 58번지-

장진홍(張鎭弘, 별칭 : 장재환張在煥.준극俊極.창려滄旅) 일제강점기 칠곡 출신의 독립운동가. 1895년(고종 32) 6월 6일에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면 옥계동 문림(文林)마을에서 장성욱(張聖旭)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8년에 만주·러시아 등지에서 한인들을 군사 훈련을 시켰으며 1927년 조선은행대구지점에 폭탄을 터뜨리고 체포되어 사형선고를 받자, 1930년 7월 31일에 옥중에서 자결·순국하였다. 인명학교(仁明學校)에서 유학자 장지필(張志必)의 가르침을 받았으며, 1916년에 조선보병대를 제대한 후, 광복단(光復團)에 가입하였다. 1918년 만주로 가서 광복단 동지들과 무장투쟁하기로 하고 러시아령 하바롭스크에서 한인청년 80여명을 군사 훈련시켰다. 이듬해 1919년에 귀국하여 각지의 3·1운..

대구 2024.03.25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을 걷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故김광석金光石은 1964년 1월 22일 대구시 대봉동에서 태어나 5살 때인 1968년 서울 창신동으로 이주했다. 중학교 시절 관현악부 활동을 하면서 선배들로부터 바이올린을 다루고 악보를 보는 법을 배웠고 고등학교 시절 합창부로 활동하면서 음악적 감수성을 키워갔으며, 대학진학 후 연합 동아리에 가입하면서 민중가요를 부르고 선배들과 함께 소극장에서 공연을 시작하였다. 1984년 김민기의 ‘개똥이’ 음반에 참여를 비롯 노래를 찾는 사람들 1집 등을 거쳤고 1988년 학창시절 친구들과 함께 결성한 동물원의 1집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이후 1989년 솔로로 데뷔하여 첫 음반을 내놓았으며, 이후 1991년에 2집, 1992년에 3집을 발표하였고, 19..

대구 2024.03.22

대구 경상감영지(大邱 慶尙監營址. 사적)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구 경상감영지 (大邱 慶尙監營址. 사적) 조선 시대에는 각 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여 지방 통치를 맡게 하였으며, 대구 경상감영은 조선 후기 경상도를 다스리던 지방관청으로 관찰사가 거처하던 곳이었다. 경상도에는 조선 태종대부터 조선 전기까지는 별도의 감영(監營, 조선 시대 각 도의 관찰사가 거처하던 관청)없이 관찰사가 도내를 순력(巡歷, 조선 시대 감사가 도내의 각 고을을 순찰하던 제도)하였으며, 선조 34년(1601년) 대구에 감영이 설치되면서 이곳에서 정무를 보았다.(출처 : 문화재청) 경상감영공원(대구광역시 중구 경삼감영길 99 (포정동)) 고층 빌딩으로 둘러싸인 시내 한복판에 자리잡은 조그마한 공원이다. 이 공원은 주로 인근 직장인들의 휴식처로 이용되며, 주위..

대구 2024.03.20

'대구아리랑' 음반과 축음기

축음기 蓄音機 : 원반에 홈을 판 레코드판에 소리를 녹음하고 바늘을 사용하여 소리로 재생시키는 장치이다. 축음기의 레코드판은 대구아리랑이다. 대구아리랑 음반 : '대구아리랑'의 음반은 1936년 9월 가야금 병창인 최계란이 불렸으며 '밀리언 레코드'사에서 발매하였다. 애수깊은 정서를 담은 '대구아리랑'의 발견으로 지역에서도 아리랑의 존재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대구 2024.03.19

경상감영 선화당 기꽂이 석인상

1905년경 촬영된 사진으로 볼 때, 경상감영 선화당宣化堂 앞마당에는 기단석 아래와 마당 동·서로 마주보며 기꽂이 석인상石人像들이 배치되어 있었다. 이 석인상은 사진에 보이는 것 가운데 하나로 확인되었으며, 지역내 고등학교 교정에 있던 것을 2020년 대구근대역사관으로 기증하였다. 감영의 선화당 석인상이 실물로 확인된 사례는 전국적으로 매우 드물며, 2021년 보존 처리를 거쳐 전시하게 된었다. * 2020년 학교법인 구남학원 이사장 이재명 기증

대구 2024.03.19

봄이 오는 길목 따라 목련木蓮 산수유山茱萸 그리고 진달래 활짝 –달성공원에서-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산수유 꽃은 노란색으로 3월에 잎보다 먼저피고 우산모양의 꽃차례로 20~30개의 작은 꽃들이 뭉쳐 조밀하게 달린다. 꽃잎과 수술은 각각 4개이다. 열매는 길이 1.5~2.0cm 정도의 긴 타원형 핵과로 8월부터 익기 시작하여 10월에는 빨갛게 익는다. 열매는 겨울에도 떨어지지 않고 나무에 그대로 달려있다.

대구 2024.03.19

대구 수성못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은 왔건만 아직 봄이 아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구 수성못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봄은 왔건만 아직 봄이 아니다.- 일제강점기때인 1925년에 축조됐다. 수성들에 홍수와 가뭄으로 피해가 계속되자 일본인 미즈사키 린타로가 조선총독부로부터 지원을 받아 만들어졌다. 린타로는 1939년에 사망했고, 수성못 옆에 묻혔다. 1970년대까지만 해도 수성못 일대는 논과 밭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민가도 거의 없었다. 1975년 들안길 삼거리가 비포장도로로 개설됐다. 1984년에 현재의 두산오거리 자리에 두산네거리가 만들어졌다. 1980년대 후반부터 시내 중심가의 대형식당들이 들안길에 생기면서, 현재의 들안길 먹거리타운이 형성됐다. 1980년대 못 둘레를 따라 포장마차가 불야성을 이룬 유원지였으나 1991년 모두 철거된 ..

대구 2024.03.17

대구국제섬유박람회 프리뷰 인 대구 2024 internationl Textile Fair PREVIEW IN DAEGU 2024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올해로 22회를 맞이하는 ‘대구국제섬유박람회 프리뷰 인 대구 2024 internationl Textile Fair PREVIEW IN DAEGU 2024’ : 세계적인 트렌드에 맞추어 차별화된 원사, 고기능성, 친환경 의류 패션소재, 첨단융복합 산업용 소재, 생활용소재, 섬유기계(자동화), 디지털, 패션완제품, 부자재, 텍스타일 디자인까지 최신 신소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트렌드 포럼관, 프라이빗 상담회, 글로벌 섬유패션 세미나, 체험관 등 다양한 볼거리와 이벤트도 함께 진행됩니다. 전시장 구성 322개사, 617부스 ○ 원사·직물·염색가공 소재 : 원사, 직물, 기능성 소재, 니트, 염색가공 등 ○ 첨단신소재·친환경 소재 : 산업용, 생분해, 리사이클, 국방섬유..

대구 2024.03.14

삼성상회 터와 호암湖巖 이병철李秉喆 선생 동상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호암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옛 제일모직 공장부지인 대구삼성창조캠퍼스에 호암 이병철 선생의 동상 설치하였다. 삼성그룹의 전신인 삼성상회가 북성로에 있었는데 1997년 붕괴 우려로 옛 삼성상회 건물은 철거되고, 2016년 12월에 대구삼성창조캠퍼스에 복원하였다. 근처 도로의 명칭도 호암로로 변경하였다. 호암 이병철 선생은 1910년 경남 의령에서 출생하여 일찍이 사업보국의 큰 뜻을 세우고 1938년 대구시 중구 인교동에 삼성상회를 설립하였다. 이것이 오늘날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 삼성의 모태이다. 선생은 사업보국, 인제제일, 합리추구의 철학을 가진 선구자로 모든 경제인의 귀감이다. 산업 전 분야에 걸쳐 탁월한 업적과 부국의 길을 닦은 선생의 뜻을 높이 기리고 그 ..

대구 2024.03.10

국채보상기념공원-꽃샘 추위 속에 '봄의 전령' 매화 만개(2024.3.4)-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김광제(金光濟,1866 ~ 1920)는 조선 말기의 공무원, 교육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충남 보령 출신. 대구 광문사 사장과 사립보통학교 교장으로 활동했으며, 서상돈과 함께 국채보상회를 조직하고 국채보상운동에 앞장섰다. 충청남도 보령시 웅천읍 평리에서 출생하였다. 의병활동과 일본화폐 유통 반대, 친일파 배척 활동, 사립학교 설립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동래경무관 사직 후 1907 1월 29일 대구에서 출판사인 대구광문사(大邱廣文社)의 사장으로 있으면서 「국채보상운동 발기연설문(國債報償運動 發起演說文)」을 작성, 낭독하고, 부사장 서상돈(徐相燉)과 함께 2월 21일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國債一千三百萬圓報償趣旨)」라는 공함문을 대한매일신보에 발표함으로 국채보상..

대구 2024.03.04

2024 금호강 대보름축제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금호강에서 호강(好江)하자! 보름달 보고 소원성취하세요. -대구 북구청 2024 대보름축제- 대구 북구 문화원(원장 이연희)이 주최하고, 북구청(청장 배광식)이 후원하는『금호강 정월대보름 축제』가 지역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하고 주민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기 위해 2024년 2월 24일(토) 오후 3시부터 금호강 산격대교 둔치(산격야영장)에서 열렸다. 이번 축제는 축하마당, 체험마당, 달빛마당, 먹거리마당 총 4개 마당으로 구성되어, 달집태우기뿐 아니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였다. 먼저, 축하마당은 오후 3시부터 풍물단 길놀이를 시작으로 축제의 흥을 돋우고 무형문화재인 외줄타기와 LED대북 공연에 이어 기원제와 달집태우기, 라인로켓, 불꽃쇼 등으로 진행되었다. 체험마..

대구 2024.02.25

대구 중구 100년 사진전(1890-1990)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구 중구 100년 사진전 전시 기간 | 2024. 1. 16.(화) ~ 2. 3.(토) 10:00~19:00 전시장소 | 봉산문화회관 1, 2 전시실 전시 내용 | 대구 중구 100년의 역사를 보존하고 기억하기 위한 사진전 해방전, 정치와 광장, 관공서, 교육, 시가지, 대구역과 도로, 생활과 문화 7개 주제별로 중구의 옛 모습을 만날 수 있습니다.

대구 2024.02.03

대구 달성(大邱 達城) 탐방(2024. 1.28)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구 달성(大邱 達城. 사적) : 대구광역시 중구 일대에 있는 옛 성으로, 한반도에서 그 역사가 가장 오래된 토성(土城) 가운데 하나이다. 최초 건립 시기는 초기 철기 시대 토착민 세력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삼국시대 신라, 고려, 조선을 거치며 꾸준히 관리・유지되었다. 오늘날에는 달성공원이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구 2024.01.28

고리자루큰칼環頭大刀(대구달성고분大邱達城古墳 출토)

고리자루큰칼環頭大刀 대구달성고분大邱達城古墳. 삼국시대三國時代 고리자루 큰칼은 달성55호에서 줄토되었다. 칼은 칼 자루의 끝에 고리모양이 있고, 고리 안에는 세 개의 잎을 장식하였다. 대·중·소 3개의 칼이 각각 쌍으로 부착된 상태이다. 삼국시대 큰칼의 고리에는 용이나 봉황의 머리 또는 세 개의 잎을 장식하였고, 고리의 형태도 민고리와 세고리가 있다. 칼집은 양측면에 작은 자루칼과 귀이개모양의 장식이 붙은 화려한 칼도 있다.(출처 ;국립대구박물관)

대구 2023.11.07

금동관(대구 달성고분 출토)

금동관金銅冠 대구달성고분大邱達城古墳. 삼국시대三國時代 달성고분은 삼국시대 고분군으로 4세기 즈음에 세력집단이 꾸준히 성장하였음을 알려준다. 일제강점기까지 10내지30m 내외의 대형 봉분 87기가 남아 있었다. 고분군에서는 금동관, 금귀걸이, 은제허리띠, 고리자루칼, 재갈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관은 관테와 세움장식, 내관으로 구성되고, 맞가지형의 세움장식 3개와 엇가지 2개를 조합하였다.(출처 :국립대구박물관)

대구 2023.11.07

대구정원박람회 개막!-‘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동영상)’-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구에서 처음으로 대구정원박람회 개막!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 대구시가 금호강의 가을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는 2023대구정원박람회를 2023년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닷새간 북구 노곡동 하중도에서 열렸다.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를 주제로 열리는 2023대구정원박람회는 금호강 하중도 명소화와 시민참여를 통한 정원문화 확산 계기 마련을 위해 대구에서 처음으로 여는 박람회이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정원전시’, 정원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정원산업전’, 정원에 둘러싸여 쉼을 즐기는 ‘힐링이 있는 정원페스티벌’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금호강 하중도(현지인들은 섬들이라 불렸다)는 2010년까지 비닐하우스..

대구 2023.10.17

대구에서 처음으로 대구정원박람회 개막!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

대구에서 처음으로 대구정원박람회 개막!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 대구시가 금호강의 가을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는 2023대구정원박람회를 2023년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닷새간 북구 노곡동 하중도에서 열렸다. 파워풀 대구, 정원과 함께하는 미래도시를 주제로 열리는 2023대구정원박람회는 금호강 하중도 명소화와 시민참여를 통한 정원문화 확산 계기 마련을 위해 대구에서 처음으로 여는 박람회이다. 이번 박람회에서는 ‘정원전시’, 정원트렌드를 엿볼 수 있는 ‘정원산업전’, 정원에 둘러싸여 쉼을 즐기는 ‘힐링이 있는 정원페스티벌’ 등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 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테마가 있는 정원전시] 금호강 하중도에는 정원전시를 통해 총 59개소의 정원이 조성되어 풍성한 볼거리를 제..

대구 2023.10.17

2023 대명유수지(大明遊水池) 가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대명유수지(大明遊水池, 대구 달서구 대천동 816) 대명유수지는 1992년 성서산업단지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258,000㎡ 규모로 조성된 유수저류 시설이다. 2011년 8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Ⅱ급 맹꽁이 최대 서식처로 발견됨에 따라 국내 최대 맹꽁이 서식처로 알려졌다. 대명유수지는 낙동강, 금호강, 대명천, 진천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달성습지 옆에 위치하고 있어 맹꽁이 이외 삵, 족제비, 황조롱이, 고라니 등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자원의 보고이다. 2015년부터 3년간 대명유수지 일원에 맹꽁이 서식환경개선 및 전망데크, 생태탐방로, 포토존 등 맹꽁이 생태학습장이 조성되었다. 이 곳은 탐방데크를 중심으로 억새와 갈대가 펼쳐져있어 가을철 인생샷 ..

대구 2023.10.12

2023. 금호강 하중도(섬들)의 가을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2023. 금호강 하중도(섬들)의 가을 대구광역시 북구 8경중 제1경으로 북구 팔달교와 노곡교 사이에 위치한 섬이며 전체 면적이 22만3800㎡(약 6만7800평) 중 하중도의 상류 쪽 16만6000㎡(약 5만300평)에는 금호강을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고, 봄에는 유채꽃, 가을에는 코스모스 등을 식재하여 계절별 아름다운 볼거리를 제공, 주말이면 연인, 가족단위의 관광객들로 붐비는 명소이다. 특히 금호강에 서식하고 있는 수달의 보호 및 안정적 서식을 위해 하중도 하류에 5만6천㎡(1만 8천 평)을 원형대로 보존하면서 주변에 15곳의 대형 자연석 돌을 쌓고 은신처를 만들어 수달과 철새들의 보금자리를 제공해 자연과 사람이 함께 공존하는 공간을 조성했다. 코스모스(C..

대구 2023.10.06

광해군 태실(光海君 胎室)

2019.12.16 광해군 태실(光海君 胎室) 답사에서 촬영한 사진들 연경동 들판에서 본 태봉 광해군 태실(光海君 胎室.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 654)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있는 조선 15대 임금 광해군의 태실. 태실(胎室)은 조선 왕실에서 자녀가 태어날 경우 아이의 태를 길한 곳에 묻던 곳을 말한다. 아이의 태를 소중히 하는 것은 아이의 성장에 중요하다고 여겼고, 특히 왕실의 경우에는 국운과도 연관이 있다고 여겼다. 광해군왕 태실(光海君王 胎室)은 조선 15대 임금 광해군(光海君. 1575~1641)의 태실인데, 1609년에 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연경동에 조성된 가봉 태실(加捧胎室)이다. 가봉 태실이란, 태실의 주인이 왕위에 오르고 나서 추가로 석물을 올려 치장한 태실을 말한다. 광해군왕 태실은 대..

대구 2023.08.17

서계서원(西溪書院)

서계서원(西溪書院.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서계서원(西溪書院)은 오천(烏川) 이문화(李文和)·태암(苔巖) 이주(李輈)[1556~1604]를 제향하는 서원으로 인천이씨(仁川李氏) 공도공파(恭度公派)의 대표 서원이다. 서계서원에는 조선 말 명필인 윤용구(尹用求)가 쓴 현판이 아직 남아 있다. 본래는 동재와 서재가 모두 있었으나 지금은 사우, 강당, 환성정(喚惺亭)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성정은 본래 동화천과 금호강이 합수하는 인근 창포리[지금의 대구광역시 북구 서변동 무태성당 서쪽 산기슭]에 있던 것을 이건한 것으로, 당대 유명인들의 편액과 시판들이 많이 걸려 있다. 서계서원 입구에는 조선시대 인천이씨 문중 여인들의 열부 정려각 3개가 있다. 이문화의 본관..

대구 2023.08.17

용연사龍淵寺 극락전極樂殿 벽화 이야기

용연사 극락전(龍淵寺極樂殿.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용연사길 260 (옥포읍, 용연사)) 비슬산 용연사는 통일신라 신덕왕 원년(912)에 보양국사가 처음 지었다고 전한다. 조선 세종 1년(1419)에 천일대사가 다시 지었고, 임진왜란으로 불탄 것을 여러 해에 걸쳐 다시 지었다. 이렇게 지어진 건물은 200여 칸이 넘고 승려도 500여 명이나 되는 큰 절이었다고 한다. 아미타불을 모신 극락전은 영조 4년(1728)에 다시 지었다.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간결한 맞배지붕집이다. 지붕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배치된 다포 양식으로 조선 후기 건축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다.(출처 : 문화재청) 혜가단비도..

대구 2023.08.06

비에 젖은 사문진沙門津

사문진역사공원(沙門津歷史公園.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화원읍 성산리에 있는 수변 공원. 사문진(沙門津)은 과거 경상도 관아가 있었으며, 낙동강 하류로부터 유입되는 물산을 대구 지역 일원에 공급하고, 다시 이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물산을 운송하는 중심 역할을 담당한 사문진 나루터가 있어 옛날 보부상들이 부산에서 낙동강을 거슬러 대구로 오는 뱃길로 이용되었다. 사문진 나루터는 1900년 3월 26일 미국 선교사 사이드 보탐에 의하여 그 당시 '귀신통'이라 불리던 한국 최초의 피아노가 유입된 곳이기도 하다. 사문진교(沙門津橋)가 완공되고 4대 강 살리기 사업으로 사문진 나루터의 기존 식당가가 철거되는 등 사라질 위기에 처하자 2013년 사문진 주막촌 복원 등 도심형 수변 공원 조..

대구 2023.07.19

운무雲霧에 싸인 옥연지(玉淵池. 별칭 : 기세못/송해공원宋海公園)

옥연지(玉淵池. 별칭 : 기세못/송해공원.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있는 저수지.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읍 기세리에 위치한 옥연지(玉淵池)는 기세곡천의 상류 지역인 비슬산과 주변 산지에서 발원한 기세곡천을 막아 조성된 저수지이다. 옥연지 또는 기세못으로 불린다. 옥연지는 옥포의 옥(玉) 자와 용연사(龍淵寺)의 연(淵) 자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옥연지는 농업 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축조한 농업용 저수지로, 1942년 4월 10일 설치 확정 승인을 받아, 1943년에 착공하던 중 8·15 광복을 맞아 중단되었다. 6·25 전쟁 이후 달성군 화원읍·논공읍·옥포읍 일대의 논농사를 위하여 공사를 재개하여 1964년 12월 30일 준공하였다. 총공사비는 3417만 9000원..

대구 2023.07.18

사문진 한국 첫 피아노

1899년 사이드보탐(Sidebotham·한국명 사보담) 선교사가 부산을 거쳐 대구로 부임했는데, 그의 아내 에피 선교사는 고향에 두고 온 피아노를 몹시 그리워했다. 결국 사이드보탐 선교사는 미국에 있는 피아노를 대구로 옮기는 엄청난 작전을 감행한다. 선교사의 피아노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해서 부산을 거쳐,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와 1900년 3월 26일 사문진 나루터에 도착했다. 그런데 또 하나의 문제가 있었다. 사문진 나루터에서 무려 16km나 떨어져 있는 대구 종로(지금의 약전골목)의 선교사 자택까지 무거운 피아노를 어떻게 운반하는가 하는 문제였다. 결국 20~30여 명의 일꾼들이 막대기를 피아노 아래에 넣고, 마치 상여를 메는 것처럼 어깨에 메고 옮겼는데 선교사 자택으로 옮기기까지 무려 사흘이 걸렸..

대구 2023.07.01

인흥마을 능소화

능소화(凌霄花. 학명 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 학명이명 Bignonia grandiflora Thunb.) 현삼목 능소화과에 속하는 관속식물이다. 길이는 8~10m쯤이며, 곳곳에서 공기뿌리가 나와 다른 물체를 붙잡고 줄기는 덩굴진다. 잎은 마주나며, 작은잎 5~9장으로 된 깃꼴겹잎으로 길이 10~20cm이다. 작은잎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 길이 3~6cm, 폭 1.5~3.0cm, 가장자리에 고르지 않은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새로 난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리고 지름 6~7cm, 노란빛이 도는 붉은색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기둥 모양, 2개로 갈라지고 9~10월에 익는다. 민가 주변에 관상용으로 식재하며, 꽃은 약용으로 쓴다. 개오동나무에 비..

대구 2023.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