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96

대곡사(大谷寺)

대곡사(大谷寺.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에 있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 대곡사(大谷寺)는 고려 시대인 1368년(공민왕 17)에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왕사인 나옹(懶翁)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태행산(太行山) 대국사(大國寺)라 하였고, 적조암을 비롯하여 9개의 암자가 있었다. 정유재란 때 대곡사와 암자의 대부분이 소실되어 적조암만 남았다. 1605년(선조 38) 탄우(坦祐)가 대웅전을 중창하였고, 1623년(인조 1)에 향적전, 1650년(효종 1)에 범종각, 1656년에 명부전을 중창하였다. 그리고 1687년(숙종 13)에 태전(太顚)을 중건하면서 사찰의 이름을 비봉산 대곡사로 바꾸었..

경상북도/의성 2018.08.18

의성 대곡사 적조암(義城大谷寺寂照庵)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비봉산에 위치한 대곡사에서 산 정상부로 조금 떨어진 적조암에 있다. 소재지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 크기가 나타납니다. 극락전 극락전 내부 산신각(山神閣) 산신각(山神閣)의 내부(나반존자.산신.치성광여래을 모셨다) 산령각에서 본 적조암 대곡사 적조암 구포루(大谷寺寂照庵九苞樓.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626호) 기록에 따르면 19세기 중반에 건립된 것이나 그 유래는 17세기까지 소급되고 18세기에도 중창한 적이 있다. 대곡사는 전성기에 9암자를 가지고 있었으나 지금은 적조암만 남아 있다. 적조암 구포루는 인법당으로 1847년 창건하였는데 누마루를 가진 매우 독특한 양식의 건물이다. 이러한 상황으로 볼 때 이 건물은 대곡..

경상북도/의성 2018.08.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