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 시루봉 시루봉 위치 : 장복산 동쪽 산봉우리 2개중 오른쪽에 위치 시루봉은 지도에는 웅산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웅암이 마치 시루를 얹어 놓은것 같다 하여 시루봉으로 부르고 있다. 웅산은 진해시,창원시,김해시에 걸쳐있는 산으로 북서쪽으로 장복산,남서로는 산성산 ,남으로는 천자봉과 연결된다. 웅산은 .. 경남 2008.11.23
오도재(지리산 제1문) 마천면 삼정리 영원사(靈源寺) 도솔암에서 수도하던 청매(靑梅) 인오조사(印悟祖師)(서기1548~1623년의 西山의 弟子)께서 이 고개를 오르내리면서 득도한 연유로 오도재라는 이름을 얻었다. 오도재(773m)는 삼봉산(1,187m)과 법화산(991m)이 만나는 지리산 관문의 마지막 쉼터로 예로부터 영남학.. 경남 2008.11.18
상림 상림(천연기념물 제154호 ) 상림은 함양읍 서쪽을 흐르고 있는 위천의 냇가에 자리잡은 호안림이며 신라진성여왕때 고운 최치원 선생이 함양태수로 있을 때에 조성한 숲이라고 전한다. 당시에는 지금의 위천수가 함양읍 중앙을 흐르고 있어 홍수의 피해가 심하였다고 한다. 최치원선생이 뚝을 쌓아 강.. 경남 2008.11.18
상족암 군립공원 상족암 군립공원 하이면 덕명리, 월흥리에 위치한 상족암군립공원은 남해안 한려수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고 해면의 넓은 암반과 기암절벽이 계곡을 형성한 자연경관이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루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8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이곳은 바위가 밥상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는 데서 그 이.. 경남 2008.11.15
평사리 최참판댁 평사리의 들판(무딤이들)지리산 거대한 능선이 남으로 가지를 친 남부능선의 대미에 해당되는 성제봉 아래 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진다. 미점리 아미산 아래에서 동정호까지의 넓은 들판, 만석지기 부자를 서넛은 낼만 한 악양 '무딤이들'이 그것이다.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토지」의 .. 경남 2008.11.12
표충비와 홍제사 조선 영조 때(1742년) 사명대사 5대 법손이 당대의 명재상과 명유를 찾아다니며 비문과 글씨를 얻어 경주산의 검은 대리석에 사명대사의 한평생 행적과 임란시 구국의 충렬을 찬양한 내용, 서산대사, 기허대사의 공적과 사적을 새긴 비각이다. 국가의 큰 사건이 있을때를 전후하여 .. 경남 2008.10.26
사명대사생가터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일대는 학계 등 전문가들의 고증을 통해 “사명대사 유적지”로 선정되어 지난 1992년 10월 지방기념물 제11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은 수백년 동안 풍수사(風水師)들이 찾아와 전하기를 뒷산은 천리를 달려온 목마른 말이 엎드려 물을 먹는 형상이요, 주.. 경남 2008.10.26
영산정사 영산정사는 무안면 가례리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로 탑의 형태로 지어진 7층 성보박물관이 있으며,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진신사리 100만과와 10만 패엽경 그리고 2천여점의 각국의 불상이 전시되어 있어 불교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높이 3.9m, 둘레가 8.5m, 무게 27톤.. 경남 2008.10.26
사명대사 유적지(사명대사 기념관)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일대는 학계 등 전문가들의 고증을 통해 “사명대사 유적지”로 선정되어 지난 1992년 10월 지방기념물 제11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은 수백년 동안 풍수사(風水師)들이 찾아와 전하기를 뒷산은 천리를 달려온 목마른 말이 엎드려 물을 먹는 형상이.. 경남 2008.10.26
밀양호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밀양 다목적댐은 밀양시 동쪽 16km 지점인 밀양강 지류 단장천에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으로 밀양,양산 및 창녕지역의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홍수조절을 위해 개발한 다목적 댐입니다. 댐의 유역면적은 95.4㎢으로 1991년 11월에 착공하여 2000년도에 완공하였으며 아름다.. 경남 2008.10.26
금시당 백곡재(今是堂栢谷齋) 금시당백곡재(今是堂栢谷齋. 문화재자료 제228호 (밀양시)) 금시당과 백곡재 2채로 된 건물이다. 금시당은 조선시대 문신인 금시당 이광진 선생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이광진(1517∼?)은 명종 1년(1546)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종실록』, 『인.. 경남 2008.10.26
추원재(점필재 김종직선생 생가) 추원재(追遠齋 문화재자료 제159호 (밀양시) )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학자인 김숙자(1389∼1456) 선생이 터를 잡고 그의 아들인 김종직(1431∼1492) 선생이 평생을 보낸 집터이다. 김숙자 선생은 12세 때부터 길재에게 글을 배우고 세종 1년(1419) 문과에 급제한 뒤 현감 등의 벼슬을 지냈다. 16세기 성리학을 보급하고 사림이 확립한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길재의 학문을 그의 아들인 김종직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으며, 김종직은 현재 성리학의 거두(巨頭)로 인정받고 있다. 이 건물은 여러 차례 전쟁을 겪으면서 파손된 것을 순조 10년(1810) 사림들과 그의 후손들이 다시 고쳐 세운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고령 대가야박물관에 있는 점필재 김종직선생 관련 유물 김종직선생의 유품으로는 당 후일기.. 경남 2008.10.26
우포늪 우포늪은 다양한 습지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 최대의 내륙 자연늪으로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1m - 2m의 낮은 수심을 유지하는 곳으로 면적에 비해 종다양성이 대단히 높은 지역이다. 이러한 원인은 정수 환경원인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의 늪지와 토평천이 있으며 각 늪.. 경남 2008.10.17
망우당 곽재우장군 생가.의령 세간리 현고수.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宜寧 世干里 懸鼓樹(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493호.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1000 )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마을에는 .. 경남 2008.10.17
충익사 의병교를 건너면 양쪽 기둥을 세워 둥근 고리로 층층이 쌓은 의병탑이 남산의 푸른 숲을 뚫고 그 위용을 자랑한다.1972년 군민의 성금으로 건립하였으며, 탑의 18개 백색고리는 곽재우장군과 17장령을 상징하고, 양기둥은 전의충전하는 의병의 햇불을 상징함 충의문 다포팔작식 목조건물.. 경남 2008.10.17
정암(솥바위) 남해 고속도로 군북 IC에서 내려 10분 가량 달리면 충의의 고장 의령의 관문에 다다르고 남강물 유유히 흐르는 철교아래 가마솥을 닮은 바위 하나가 물위에 유유자적 하니 그 이름이 바로 솥바위이다. 물에 드러난 형상만 보고도 금방 솥 모양임을 알 수 있을진대 더구나 물아래 감춘 형상.. 경남 2008.10.17
호암 이병철선생 생가 호암이병철선생(湖巖李秉喆先生) 호암 이병철선생 생가 호암 이병철 선생이 결혼 후 분가한 집 1. 호암생가(湖巖生家) 호암생가는 삼성그룹의 창업자이자 우리나라의 경제발전을 이끈 대표적 기업가인 호암 이병철 선생이 태어난 집이다. 1851년 호암선생의 조부께서 대지 면적 1,907㎡에 .. 경남 2008.10.17
거제포로수용소 거제포로수용소(巨濟捕虜收容所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9호(1983.12.20)) 1950.11.27 거제도 고현, 수월, 양정지구를 중심으로 360만평에 포로수용소를 설치하여 인민군 15만, 중공군 2만, 여자포로와 의용군 3천명등 최대 17만 3천명을 수용하였으며 1953. 7.27 휴전 협정조인으로 수용소는 폐쇄 되.. 경남 2008.07.27
사등성 사등성 사등성지(沙等城址 시도기념물 제9호 (거제시) ) 사등성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사등리 평지의 들판에 돌로 쌓은 성으로, 둘레 986m, 높이 6.1m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고려 원종 12년(1271) 왜적의 침입으로 거제도민이 진주·거창 방면으로 피난했을 때, 수월리에서 나무.. 경남 2008.07.25
보덕암 연화봉 남쪽의 가파른 비탈에 자리한 보덕암은 무엇보다 바다 전망이 시원스럽고 호방하다. 바다 전망만 놓고 본다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음도량인 남해 보리암, 양양 홍련암, 여수 향일암에 결코 뒤지지 않는다. 특히 보덕암의 해수관음보살상과 통영팔경 중 하나인 용머리해안이 .. 경남 2008.07.24
연화사 연화사 일주문 낙가산 연화사 현판 연화도의 불교 역사는 500여년전 연산군(1496-1506)의 억불정책으로 피신하여 은신한 연화도인이 제자들과 연화봉 밑에 토굴를 짓고서 전래석(둥근 돌)을 부처님 대신으로 모셔 놓고서 예불을 드리며 수행을 하셨다...는 것으로 시작된다. 연화도사가 "내.. 경남 2008.07.24
삼천포 대방진굴항 대방진 굴항 비석 대방진굴항의 유래에는 몇 가지의 설이 있다. 첫째, 1302년(고려 충렬왕 28)에 건립되었다는 설이다. 잦은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 어선이나 군선을 숨겨두기 위해 인공으로 축조하여 병영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임진왜란 때 이충무공이 사천대첩을 숭리로 이끌 .. 경남 2008.05.25
남해 충렬사 忘戰必危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남해 충렬사 충렬사 정문 남해충렬사(南海忠烈祠 사적 제233호 ) 임진왜란이 끝나던 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통영의 충렬사와 함께 충열(忠烈)이란 액호(額號)를 처음부터 같이 사용해.. 경남 2008.05.25
삼천포에서 유람선 한려수도호를 타다 유람선 한려수도호 유람선이 출발하자 선내에서는 쇼를 시작 연륙교 유람선 3층 갑판 화력발전소 바람 바위 코끼리 바위 삼천포항 삼천포대교 삼천포대교 경남 2008.05.25
수승대에 있는 구연서원 구연서원 앞의 은행나무 관수루 동쪽에는 구연서원이 있는데, 이 서원은 요수 선생이 중종(1540년)때에 서당을 세워 제자들을 가르친 곳으로 숙종(1694년)때에 구연서원으로 명명되었는데, 요수 신권, 석곡(石谷) 성팽년(成彭年), 황고 신수이 세 분을 배향하고 있다 구연서원 현판 구연사당 경남 2008.04.27
수승대 위천면 황산리 황산마을 앞 구연동에 위치한 수승대는 삼국시대에는 신라와 백제의 국경지대였고 조선 때는 안의현에 속해 있다가 일제 때 행정구역 개편으로 거창군에 편입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수승대는 삼국시대 때 백제와 신라가 대립할 무렵 백제에서 신라로 가는 사신을 전별하던 곳으로 .. 경남 2008.04.27
금원산 가섭암지 가섭암지의 일주문에 해당하는 문바위 거창군 위천면 상천리 산6-2 해발 1353m의 금원산 지재미의 문바위는 단일 바윗돌로는 국내 최대 크기 사각형 모양이며 신의 도끼로 만든 것처럼 반듯하다 .지재미는 문바위를 오르는 골짜기를 일컫는 이름으로 옛날 이 골짜기에 지장암이 있었다고 .. 경남 2008.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