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박물관(황금칼의 나라 다라국) 합천박물관은 합천의 전통문화와 역사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제2차 가야문화권 정비 계획에 따라 1998년 건립 계획을 수립하여 2004년 10월 완공하고, 같은 해 12월 9일 개관하였다. 전시 유물의 내용은 가야시대 다라국의 지배자 묘역으로 알려진 옥전고분군의 유.. 경남 2008.01.29
황매산 영암사지 합천영암사지(陜川靈岩寺址)(사적 제131호 ) 황매산 남쪽 기슭, 좁은 대지에 자리하고 있는 이 절터의 창건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나 1014년에 적연선사<寂然禪師>가 이곳에서 입적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중앙박물관에 있는 홍각선사비<.. 경남 2008.01.26
지리산제일문 오도재에 있는 지리산제일문 공사 중인 지리산제일문 휴게 시설 지리산제일문에서 본 마천면 쪽 오도재 산신각 오도산령신지위 성벽에 있는 나방이 아름답게 보여서 촬영 경남 2007.07.24
함양상림(咸陽上林) 함양상림(咸陽上林 천연기념물 제154호) 함양읍(咸陽邑)의 서쪽을 흐르고 있는 위천(渭川)가를 따라서 조성(造成)된 호안림(護岸林)이다. 소나무 측백나무 및 노간주나무 등의 나자식물(裸子植物)을 비롯하여 임관(林冠)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수종(樹種)은 다음과 같다. 갈참나무, 갈졸참.. 경남 2007.07.24
해인사 홍제암 홍제암은 해인사서 서쪽으로 일주문에서 한 200미터 남짓 떨어진 곳에 있는 곳에 있는 암자이며, 특히 사명대사가 입적한 곳으로 유명하다. 임진왜란이 끝난 이곳에 은거하던 사명대사는 광해군 2년에 속세 나이 예순 일곱으로 입관하였는데 광해군은 스님의 열반을 애도하여 자통홍제존자라는 시호.. 경남 2007.02.13
청량사 청량사에서 본 남산(매화산) 청량사는 황산리 매화산 기슭에 있는 사찰로 삼국사기에 의하면 최치원(857~?)이 즐겨 놀았던 곳이라 한다. 경내에는 보물 제265호인 석조석가여래좌상과 보물 제253호인 석등 등 우수한 석조 유물이 전하고 있다. 석탑은 대웅전 앞에 건립되었는데, 2중 기단에 3.. 경남 2007.02.12
월광사지 월광사지 아득한 풍경소리 어느 시절 무너지고 태자가 놀던 쌍탑 위에 물이 들어 모듬내 맑은 물 줄기 새 아침을 열었네 월광태자 : 가야산 여신인 정견모주의 10세손이며, 아버지는 이뇌왕(異腦王. ?∼?. 대가야의 제9대왕 . 재위 ?∼?), 이뇌왕은 신라에 청혼하여 이찬 비지배의 딸을 맞아 월광태자를 .. 경남 2007.02.12
통영 향토역사관 위 치 : 경상남도 통영시 태평동(세병관 맞은편) 통영시의 역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향토역사관은 연건평 169평으로 이곳에는 선사시대부터, 가야, 신라, 고려, 조선, 근대 등 시대별로 선조들이 사용하던 생활용품과 각종문헌, 사진 등 1,000여점을 전시, 통영역사를 한 눈에 바라보고 이.. 경남 2007.01.03
남망산공원 남망산공원에 있는 청마 유치환의 깃발 시비 경상남도 통영시 동호동에 있는 공원. 면적 0.12㎢, 높이 80m의 남망산을 중심으로 조성된 공원이다. 사방을 둘러싼 소나무·벚나무 숲이 울창하며, 산정에서는 통영 시가지의 전경과 한려수도의 아름다운 경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기슭에는 조선시대 때 .. 경남 2007.01.02
해저터널 해저터널 충무교를 잇는 양쪽의 교각 옆으로 슬레이트 지붕의 해저터널 입구가 눈에 들어온다. 1927년 일제에 의해 착공돼 5년 만에 건설된 동양 최초의 바다 밑 도로다. ‘용문달양’(龍門達陽). ‘용궁의 문으로 들어가면 빛 고을 산양(山陽)에 이른다’는 내용의 현판이 걸려 있다. 시공.. 경남 2007.01.02
한산도(제승당) 忘戰必危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남망산 공원에서 본 한산도 앞 바다 한산도 수로에서 본 한산도 앞 바다 통영항 한산도는 임진왜란 당시 삼도수군통제영이 최초로 자리잡은 곳이고 앞바다 한산해역은 세계해전사에 찬연히 빛나는 한산대첩을 이룬 역사의 현장이다. 이곳 지명(.. 경남 2007.01.02
통영 충렬사 (統營 忠烈祠) 忘戰必危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임진왜란 중에 수군통제사로서 가장 큰 업적을 남긴 충무공 이순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으로 충무공의 활동무대가 한산도를 중심으로 한 통영 근처였기 때문에 남해 충렬사와 함께 이곳에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게 된 것이다. 선조 39.. 경남 2006.12.30
청마 문학관 청마 류치환(柳致環) 선생의 문학정신을 보존·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00년 2월 14일 바다가 내려다 보이는 망일봉(望日峰) 기슭 1,220평의 부지에 문학관(전시관)과 생가(본채,아래채)를 복원·개관하였다. 전시관에는 청마의 삶을 조명하는「청마의 생애」편과 생명추구의 시작을 감상하고 작품의 변.. 경남 2006.12.30
소매물도의 등대섬 매물도는 한산면 매죽리(每竹里)에 속한 대매물도, 소매물도, 등대도(일명 글씽이섬) 3섬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소매물도와 등대도의 해안암벽이 장관이다. 본 섬인 소매물도는 면적이 2.51㎢에 불과한 작은 섬으로 행정구역상으로는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에 속하며 소매물도 이외에도 대매물도, 홍.. 경남 2006.12.30
통영 세병관 (統營 洗兵館) 세병관은 17세기초에 건립된 목조단층 건물. 세병관은 이경준(李慶濬) 제6대 통제사가 두릉포에서 통제영을 이곳으로 옮긴 이듬해인 조선 선조 37년(1604)에 완공한 통제영의 중심건물이다. 이 건물은 창건 후 약 290년 동안 3도(경상·전라·충청도) 수군을 총 지휘했던 곳으로 그 후 몇 차.. 경남 2006.12.30
통도사 영축산문 영축산 가지산 도립공원 구역 내에 있는 해발 1,059m인 영축산은 경관이 수려하여 영남알프스라 불리며 일명 취서산이기도 하다. 이 산은 가지산에서 남쪽으로 뻗은 줄기가 능동산에 이르러 두 줄기로 갈라지는데, 남서진하는 줄기는 밀양의 천황산에서 제약산으로 이어지고, 동.. 경남 2006.11.05
화왕산 화왕산은 선사시대 화산으로 지금 3개의 못(용지)은 화산의 분화구가 있으며, 이못과 전설이 있는 창녕 조(曺)씨의 득성비가 있고 정상부 둘레에는 화왕산성(사적64호)이 있으며 성내는 잡목이 없는 억새로 이루어진 약 5만 6천여 평의 초원이 펼쳐져 있어 사시사철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 경남 2006.10.21
일붕사 일붕사 천혜의 자연 요건을 갖춘 봉황산에 소개한 일붕사는 세계 최대 동굴법당으로 영국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으며 서기 727년 신라의 혜초스님이 창건한 성덕암이 현재 일붕사의 전신이다. 일붕사 창건유래 이곳은 약 1330년 전에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공할 때 최고의 격전지였으며 .. 경남 2006.10.09
통영의 벽방산(벽발산) 가섭암 가섭암 석불 가섭암의 건물은 붕괴 일전 직전에 있었다. 안정사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 벽방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신라 태종무열왕 원년 갑인년(서기 654)에 우리나라의 해동 화엄종 초조인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현재까지 1400여년동안을 면면히 그 법맥을 이어가고 있다. 1309년(충선왕1년)에 회.. 경남 2006.10.09
용추계곡 덕유산장수사조계문(용추사 일주문 도유형문화재 제 54호 ) 이 건물은 신라 소지왕 9년(487)에 각연대사가 장수사를 창건할 때 건립하였다고 전하는 문으로써 측면으로 기둥이 하나로 된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사찰로 진입할 때 제일 먼저 통과하는 문으로 일반적으로 기둥 하나로 지탱하.. 경남 2006.03.29
통영수산과학관 수산과학관은 진주를 품에 안고 태평양으로 웅비하는 듯한 건물과 우리 통영의 수산업과 수산물의 발달사를 고대로부터 일목요연하게 전시하였다. 전시실 내부에는 통영에서 생산되는 굴, 우렁쉥이, 진주 등 바다의 풍성한 수확물과 어부의 땀방울이 송송히 맺혀 있어 바다의 학습장으로서 그 역할.. 경남 2006.03.27
경남 통영시 산양읍 당포와 당포성지 당포성지(唐浦城址) 이 성은 고려 공민왕 때에 왜구의 침략을 막기 위해 최영장군이 수많은 병사와 주민들을 동원하여 쌓았다고 전한다. 그후 이 성으로하여 왜구의 침략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었고 임진왜란이 일어난 그해(1592년) 왜적에게 당포성이 점령당했으나 6월 2일 이충무공이 다시 탈환.. 경남 2006.03.27
이날 장유사는 구름 속에 있었다. 안개 속의장유사 대웅전 경상남도 김해시 불모산에 있다. 가락국(駕洛國) 질지왕이 동왕 2년(452)에 시조비 허왕후(許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왕후사(王后寺)를 세웠고. 5백년 뒤 그 자리에 창건된 절이 장유사이다. 한편 가락국 수로왕 7년(48)에 인도 아유타국(阿隃陀國)의 태자이자 승려인 장유(長.. 경남 2006.03.16
장유사 장유사(長遊寺) 경상남도 김해시 불모산(佛母山•長遊山)에 있는 절. 가락국(駕洛國) 질지왕이 동왕 2년(452)에 시조비 허왕후(許王后)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왕후사(王后寺)를 세웠음. 5백년 뒤 그 자리에 창건된 절이 장유사임. 이 때 장유사에는 3백결의 전지(田地)가 있었는데, 왕후사가 이 안에 있었.. 경남 2006.03.15
진주성 답사 진주성(晋州城 사적 제118호 ) 진주성은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진주의 성지(聖地)이다. 본시 토성이던 것을 고려조 우왕 5년(1379)에 진주목사 김중광(金仲光)이 석축하였다. 조선조 선조 24년(1591) 7월, 경상감사 김수(金수:1537∼1615)는 진주성을 수축하고 외성(外城)을 쌓았다. 동 25년(1592) .. 경남 2006.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