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주 626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慶州 西岳洞 三層石塔)과 구절초(九節草) 그리고 고분(古墳)

2017 여름에 촬영한 사진 자료 경주 서악동 삼층석탑 (慶州 西岳洞 三層石塔.보물 제65호.경북 경주시 서악동 705-1번지 ) 통일신라시대 모전탑 계열에 속하는 탑으로, 무열왕릉 동북쪽 비탈진 곳에 서 있다. 모전탑은 전탑(전탑:흙으로 구운 벽돌로 쌓은 탑)을 모방한 것으로, 돌을 벽돌 모양..

경주 월성 성벽서 인골 2구 발굴 … 인신(人身) 제의 추정 국내 첫 사례

경주 월성 성벽서 인골 2구 발굴 … 인신(人身) 제의 추정 국내 첫 사례 -‘소그드人’형상 토우 등 월성 발굴 성과 공개 / 5.16. - 경주 월성(사적 제16호)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 중 ▲ 서쪽 성벽의 기초층에서 제물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출토되고, ▲ ‘소그드인’으로 추정되는 터번을 쓴 ..

"백제百濟" - 백제百濟역사유적지구 세계유산등재기념특별전.국립경주박물관에서-

화살촉(475 - 538년. 웅진백제. 공주 공산성. 공주대학교박물관) '정관 9년(645)'이라고 쓴 옻칠비늘갑옷(645.웅진백제.공주공산성. 공주대학교박물관 옻칠말비늘갑옷(475 - 538년. 웅진백제. 공주 공산성. 공주대학교박물관 칠기漆器(475 - 538년. 웅진백제.공주 공산성. 공주대학교박물관) '대통사..

백제 문화를 경주에서 한눈에- 국립경주박물관·(재)백제세계유산센터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개최-

백제 문화를 경주에서 한눈에 - 국립경주박물관·(재)백제세계유산센터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개최- 국립경주박물관과 (재)백제세계유산센터, 특별전 “세계유산 백제” 개막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유병하)과 백제세계유산센터(이사장 남궁영)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세계유산등재..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보물 제666호.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2-6)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있는 이 석조여래좌상으로 화강암을 조각하여 만들었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정수리 부근에는 큼직한 상투 모양의 머..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냉골 석조여래좌상. 삼릉곡 제2사지 석조여래좌상)

삼릉에서 개울을 따라 계곡으로 약 500m쯤 올라가면 길 옆 바위 위에 머리 없는 석불좌상이 앉아 계신다. 높이가 1.6m에 무릎 너비가 1.56m나 되는 큰 좌불이다. 계곡에 묻혀 있다 1964년 발견되어 지금의 장소에 옮겨 놓은 것이기 때문에 마멸이 거의 없고 옷 주름이 생생하게 드러나 있다. 머..

기원정사(舊·왕룡사원.경북 경주시 강동면 국당길 283)

기원정사(舊·왕룡사원.경북 경주시 강동면 국당길 283) 무량수전 기원정사(舊·왕룡사원) 무량수전 사존불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慶州 王龍寺院 木造阿彌陀如來坐像.보물 제1615호.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국당길 283, 왕룡사원) 이 불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환성사미타삼존조성결원문(還城寺彌陁三尊造成結願文)」을 통해 1466년에 조성역사를 시작하여 1474년에 비로소 완성되었으며, 불상의 조성발원에는 왕실종친부 및 지방관료·양반·양민 등 수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였고, 불상의 제작은 양수(良手) 대선사(大禪師) 성료(性了)와 부양수(副良手) 선사(禪師) 혜정(惠正)에 의해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 불상은 무릎이 넓고 둔중한 것에 반해, 어깨는 상대적으로 좁고 허리는 길어져 전반적으로 늘씬한 비례를 ..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慶州 王龍寺院 木造阿彌陀如來坐像)

기원정사(舊·왕룡사원.경북 경주시 강동면 국당길 283) 무량수전 기원정사(舊·왕룡사원) 무량수전 사존불 경주왕룡사원목조아미타여래좌상(慶州 王龍寺院 木造阿彌陀如來坐像.보물 제1615호.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국당길 283, 왕룡사원) 이 불상은 복장에서 발견된 「환성사미타삼존..

황룡사 발굴조사 40주년 기념 사진 전시회

신라 최대규모 사찰, 경주 황룡사지 발굴조사 40주년을 기념하다 전시를 열며 신라 호국 대사찰 황룡사는 1238년 몽고군에 의해 모두 불타버림으로서 700 년이 넘는 오랜 시간 동안 땅속에 묻혔고, 그 터는 민가의 대지나 전답田畓 등으로 변환되어 유허遺墟만 남게 되었습니다. 1971년 확정된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의 일환으로 1976년 4월 황룡사지시 발굴조사가 착수되었습니다. 사역 내 마을을 이루고 있는 민가 100여 호를 철거하고, 연차적으로 56,000여 평의 토지를 매입하여 당초 3년 계획 실시되었던 발굴조사는 1983년 11월까지 8개년 사업으로 모두 마무리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1976년부터 1983년까지 촬영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소장 10,000여장의 황룡사지 발굴조사 관련 사진 중 엄선..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慶州 西岳洞 磨崖如來三尊立像)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慶州 西岳洞 磨崖如來三尊立像.보물 제62호.경상북도 경주시 서악동 산 92-1) 선도산 정상 가까이의 큰 암벽에 높이 7m나 되는 거구의 아미타여래입상을 본존불로 하여, 왼쪽에 관음보살상을, 오른쪽에 대세지보살상을 조각한 7세기 중엽의 삼존불상(三尊佛..

경주 헌안왕릉(慶州 憲安王陵).경주 문성왕릉(慶州 文聖王陵).경주 진지왕릉(慶州 眞智王陵).경주 진흥왕릉(慶州 眞興王陵)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경주 헌안왕릉(慶州 憲安王陵.사적 제179호.경북 경주시 서악동 산92-2번지) 신라 47대 헌안왕(재위 857∼861)의 무덤이다. 헌안왕은 본명이 김의정으로, 45대 신무왕의 이복동생이다. 재위기간 동안 특별한 치적은 없으나 제방을 수리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