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수목원 국화전시회(2009.11.11) 대구수목원 국화전시회(2009.11.11)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가족 태극 사슴 토끼 오층탑 코끼리 달리지 내일로 황소 대구 2009.11.11
낙안읍성(樂安邑城) 순천시 낙안면에 소재한 낙안읍성 민속마을은 넓은 평야지에 축조된 성곽으로 성내에는 관아와 100여 채의 초가가 돌담과 싸리문에 가려 소담스레 옛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옛 고을의 기능과 전통적인 주거공간에서 생활하는 서민의 모습을 통해 오늘날(현재85세대 229명이 살고 .. 전남 2009.11.03
순천만 순천시를 중심으로 하여 동쪽의 여수반도와 서쪽의 고흥반도에 둘러싸인 호수와 같은 만으로, 광활한 갯벌이 펼쳐져 있으며 크고 작은 섬과 주변의 산과 바다가 어우러져 서해안 등 다른 지역과는 달리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지역이다. 순천시내에서 8㎞ 정도 떨어져 있으며 행정구역상 도사동과 해.. 전남 2009.11.03
팔공산의 가을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대구광역시 북부를 둘러싼 대구의 진산(鎭山)으로 중악(中岳)·부악(父岳)·공산(公山)·동수산(桐藪山)으로 불리기도 했다. 태백산맥에서 남서방향으로 갈라져나온 지맥이 방가산(756m)·화산(828m)·팔공산(1,193m)·도덕산(660m.. 경상북도/팔공산 2009.10.27
주왕산 절골계곡 원시적인 비경을 고스란히 갖고 있는 절골계곡 많은 이들은 절골계곡을 외주왕산에 버금가는 곳으로 극찬을 아끼지 않는다. 절골계곡은 주왕산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계곡으로 원시적인 비경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주왕산의 주등산로가 있는 대전사나 폭포가 있는 쪽 보다는 찾는 이들이 .. 경상북도/청송 2009.10.26
단풍과 신비를 담아 흔들리는 주산지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버드나무와 구름. 안개와 바람.단풍과 신비를 담아 흔들리는 못,주산지 주산지는 조선 경종 원년1720년 8월에 착공하여 이듬해에 완공한 농업용 저수지입니다. 길이 100m, 너비 50m, 평균 수심 7.8m의 조그만 산중 호수라고 말 할 수도 있지요. 이 아름다운 호수는 .. 경상북도/청송 2009.10.26
방호정(方壺亭. 시도민속자료 제51호 (청송군)) 방호정(方壺亭. 시도민속자료 제51호 (청송군).경북 청송군 안덕면 신성리 181 ) 광해군 11년(1619)에 조준도 선생이 생모 권씨의 묘가 바라보이는 곳에 세운 정자로 어머니를 생각하는 뜻에서 사친 또는 풍수당이라 하였다. 그 후 순조 27년(1827)에 방대강당 4칸을 늘려 지었다고 한다. 이곳에서는 창석 이.. 경상북도/청송 2009.10.26
大邱十景(대구십경) 중의 第八景 櫓院送客(노원송객, 노원에서의 송별) 아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八達津(팔달진, 팔달교가 놓이기 전의 금호강 나루)의 옛 터 櫓院送客(노원송객, 노원에서의 송별) 官道年年柳色靑(관도년년류색청) 한양길 버들잎은 해마다 푸르고 短亭無數接長亭(단정무수접장정) 줄이은 주막들이 길게도 늘어섰네 唱盡陽關各分散(창진양관.. 대구 2009.10.26
大邱十景 중 第一景인 琴湖泛舟(금호범주, 금호강의 뱃놀이)을 찾아보니... 아래 사진들 클릭하시면 원본사진이 ... 大邱十景을 노래한 徐居正의 七言絶句 十首가 傳해오고 있다. 第一景인 琴湖泛舟(금호범주, 금호강의 뱃놀이)을 찾아보니 강물은 마르고, 櫓院(노원)의 白沙場(백사장)에는 들꽃과 억새와 갈대만 우거져있다. 第二景 : 笠巖釣魚(입암조어, 입암의 낚시) 第三景 :.. 대구 2009.10.20
모암정(帽巖亭) 모암정 : 옛날부터 자연이 수려하여 고숲정이라 불리었다. 정자 전면에는 신선이 내려와 놀았다는 강선대가 있고 이곳은 조선 명종 선조때의 문신 효자 고사옹 임훈(세칭 갈천선생)의 후손으로 고종때 절추장군 행 용위부호군 및 동지돈령부사 모암 임지예가 공부하며 시를 읊조리던 곳이다. 그는 정.. 경남 2009.10.20
함양 거연정(咸陽居然亭.시도유형문화재 제433호 (함양군))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거연정(居然亭) 현판 함양 거연정(咸陽居然亭.시도유형문화재 제433호 (함양군).경남 함양군 서하면 봉전리 2006 ) 거연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중층 누각건물로 내부에는 벽체(뒷.. 경남 2009.10.20
반구헌(反球軒.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2호) 반구헌(反球軒.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2호.경남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51 ) 반구헌은 조선 헌종·철종년간에 영양현감을 지낸 야옹 정기필(野翁 鄭夔弼)선생이 기거하던 주택이다. 야옹선생은 목민관 재임시 청렴한 인품과 덕행으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직을 사직하고 고향으로 돌아왔으나 재산과 거.. 경남 2009.10.20
정온선생가옥(鄭蘊先生家屋.중요민속자료 제205호) 솟을대문에 걸린 문간공 동계 정온지문(文簡公桐溪鄭蘊之問)의 현판 정온선생가옥(鄭蘊先生家屋.중요민속자료 제205호.경남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50-1 ) 사랑채 상량대에「숭정기원후사경진삼월(崇禎紀元後四庚辰三月)」의 묵서명(墨書銘)이 있다. 순조 (純祖)20년에 해당되며 서기로는 .. 경남 2009.10.20
거창농산리석불입상(居昌農山里石佛立像.보물 제1436호) 거창 농산리의 낮은 야산 기슭의 논에서 약 100m 지점에 거창 농산리석불입상이 있다. 거창농산리석불입상(居昌農山里石佛立像.보물 제1436호.경남 거창군 북상면 농산리 산53 ) 거창 농산리의 낮은 야산 기슭에 있는 이 석불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다. 입불상으로.. 경남 2009.10.19
인흥서원(명심보감판본(明心寶鑑板本)) 화원읍 본리리에 있는 서원으로서, 추계 추씨(秋溪 秋氏)의 중시조이며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인 노당 추적[고려 고종33년(1246년)∼충숙왕4년(1317)]선생을 봉안한 서원이다. 조선 순조25년(1825년)10월에 팔도 유림과 20대손인 추세문에 의해 창건되었는데 대원군의 서원정리 당시에 화를 면하여 원형을 그.. 대구 2009.10.13
인흥마을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화원읍 본리리에는 남평문씨 본리세거지가 자리잡고 있다. 문익점의 18세손 문경호가 터를 닦은 이곳에는 조선조 말기의 전통한옥 9채와 정자 2채가 들어서 있다. 당시 문경호는 정전법에 따라 구획을 정리하고 집터와 도로를 반 듯하게 닦은 후 집을 지었다. 그 .. 대구 2009.10.13
경주노서리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경주노서리고분군(慶州路西里古墳群.사적 제39호.경북 경주시 노서동 104 ) 경주시 서북쪽 노서동 일대에 자리잡고 있는 신라의 무덤들로 현재 10여 기의 크고 작은 무덤이 남아있다. 그 중 가장 북쪽에 있는 제130호 무덤은 노동동 고분군의 봉황대와..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9.30
경주노동리고분군(慶州路東里古墳群) 봉황대는 높이 22m, 지름 82m로 황남대총 다음으로 규모가 큰 무덤이다. 경주노동리고분군(慶州路東里古墳群.사적 제38호.경북 경주시 노동동 261 ) 경주 중심부인 노동동 일대에 자리하고 있는 고신라시대 무덤들로, 봉황대·식리총·금령총 등이 포함되어 있다. 봉황대는 높이 22m, 지름 82m로 황남대총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9.30
경주노서동석불입상(慶州路西洞石佛立像) 경주노서동석불입상(慶州路西洞石佛立像.문화재자료 제11호 (경주시).경북 경주시 노서동 156-8.황실예식장 부근 )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에 있는 이 석불은 문헌에는 삼랑사(三郞寺) 남쪽 남항사(南巷寺)터에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전설에 의하면 신라 효소왕(재위 692∼702) 때 삼랑사 주지 경..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9.30
예산덕산유품(禮山德山遺品.중요민속자료 제30-2호)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예산덕산유품(2)(禮山德山遺品(2).중요민속자료 제30-2호.충남 예산군 덕산면 읍내리 350 ) 충남 예산군 덕산사무소 후면 서편 소재 유물보호각에 소장하고 있는 유품(遺品)(Ⅱ)으로 인장(印章) 6종(種)(충남예당상무지사인(忠南禮唐商務支社印) 1과(顆),.. 충남 2009.09.27
윤봉길의사 기념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매헌 윤봉길의사 어록탑 1930.3.6(23세):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유서를 남기시고 조국독립을 위해 중국으로 망명 '장부출가 불생환'(丈夫出家 不生還. 사내 대장부는 집을 나가 뜻을 이루기전에는 살아 돌와오지 않는다.) 매헌 윤봉길의 .. 충남 2009.09.27
충의사(매헌 윤봉길의사 사당) 매헌 윤봉길의사 사적비 홍살문 충의사(忠義祠) 충남 예산군 덕산면 시양리 (국가문화재 사적 제229호 / 사적보호면적:41,993평) 충의사는 우리 민족사 천추(千秋)에 길이 새겨야 할 숭고한 의사의 애국정신을 추모하기 위하여 의사의 영정을 모신 곳이다. 1932년 상해 홍구공원에서 일본수괴.. 충남 2009.09.27
저한당(매헌 윤봉길의사 생가) 매헌 윤봉길의사 의거 기념탑 저한당 저한당은 의사가 성장하신 집의 당호이다. 1911년 3월에 광현당으로부터 이 집으로 이사와 1930년 2월 7일 중국으로 망명할 때까지 이 집에서 거하면서 신체와 학문과 사상이 성장하였고, 일제에 항거하는 애국운동을 전개하였다. 현재 이 경내에 의사.. 충남 2009.09.27
추사 김정희선생 유적(金正喜先生遺蹟) 김정희선생유적(金正喜先生遺蹟.시도기념물 제24호 (예산군).충남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799외 13필) 이 곳은 조선후기 위대한 실학자이며 서예가인 추사 김정희(1786∼1856) 선생의 유적지이다. 선생은 순조 9년(1809)에 생원이 되고 그후 규장각 대표 충청우도 암행어사, 헌종 2년(1836)대사성 .. 충남 2009.09.24
이응로선생 사적지(李應魯先生事蹟地) (수덕여관) 이응로선생사적지(李應魯先生事蹟地.시도기념물 제103호 (예산군).충남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산41) 호는 고암(顧菴) 근대의 정병조 선생의 동진의 명화가 "고개지"처럼 되라는 의미로 지어준 이름이다.수덕여관은 고암이 1944년에 구입하여 6.25동란시 피난처로도 사용하였으며, 수덕사 일.. 충남 2009.09.24
수덕사(修德寺) 수덕사 일주문 덕숭산 수덕사 현판 동방제일선원 현판 일주문에 걸려 있으며 , '壬寅淸秋 素筌孫在馨' 이란 관지가 있다. 素筌 孫在馨은 書와 文人畵를 모두 잘 했으며, 惺堂 金敦熙의 제자로 현대 한국 서예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 글씨는 1962년에 쓴것으로, 唐楷의 뼈대위에 전서의 .. 충남 2009.09.23
옻골마을(경주최씨 종가) 최동집 나무(회화나무) 최흥원 정려각(대구광역시 문화재 자료 제40호) 최씨 종가 가는 길의 골목 수구당(골목에서 본 광경)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수구당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경주최씨 종가 대문 옻골마을(경주최씨종가) 및 보본당 사당(대구 민속자료 제1호 .대구 동.. 대구 2009.09.17
최흥원 정려각(崔興遠旌閭閣) 최동집 나무( 보호수.회화나무) 최흥원 정려각(崔興遠旌閭閣. 문화재자료 제40호 (대구 동구).대구 동구 둔산동 375) 百弗庵 崔興遠(1705-1786)은 경주최씨 匡靖公派 鄲을 중시조로 하고, 현재 둔산동 옻골에 입향한 臺巖 崔東 집(1586-1622)의 후손이다. 百弗庵 崔興遠은 字를 太初·汝浩라 하였고, 初號를 數.. 대구 2009.09.17
첨백당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첨백당(문화재자료 제13호. 대구광역시 동구 평광동 979 ) 동구 불로동의 입구에서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약 2㎞ 정도 올라가면 계곡을 사이에 두고 좁은 길이 있다. 이 좁은 길을 지나면 확 트인 넓은 평야에서 세거를 이루고 있는 평광동이 있다. 이 동네 안에서 .. 대구 2009.09.17
효자 강순항(姜順恒) 정려각(旌閭閣) 효자강순항정려각(孝子姜順恒旌閭閣.문화재자료 제35호 (동구).대구 동구 평광동 1180-5번지 ) 동구 평광동 마을 앞 도로변에 있는 ‘효자 강순항 정려각’은 조선 후기 인물인 강순항(1745∼1830)의 효행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 현판과 정려각이다. 강순항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매우 가난한 .. 대구 2009.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