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고열녀 춘향묘. 육모정. 용호정 지리산 육모정 계곡에 자리잡은 춘향의 묘는 1962년 춘향 묘지석을 발견하여 복원하였으며, 1993년 다시 확장하였다. 비석에는 "만고열녀 춘향지묘"라 새겨져 있다. 구룡 계곡은 지리산 국립공원 관리사무소 구룡 분소가 있는 주천면 호경리에서부터 구룡폭포가 있는 주천면 덕치리까지 펼.. 전북 2010.03.21
만인의총(萬人義塚.사적 제272호) 忘戰必危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만인의총(萬人義塚.사적 제272호.전북 남원시 향교동 628 ) 조선(朝鮮)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재란(丁酉再亂)때 남원성(南原城)을 지키기 위하여 왜적(倭賊)과 항전하다 전사한 군·관·민(軍·官·民)을 합장한 묘이다. 왜군은 임진란(壬辰亂) 때.. 전북 2010.03.21
가왕 송흥록. 국창 박초월 생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송흥록(宋興祿, 1818년~?)은 조선 말기의 판소리 명창이다. 전북 남원군 운봉면 비전리에서 태어났다.근세 8명창 가운데 한 사람이다. 판소리의 중시조 또는 가왕(歌王)으로 꼽히고 있다. 판소리에 우조, 계면조를 체계적으로 다루었고 진양조를 도입하는 등.. 전북 2010.03.21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사적 제104호) 황산은 남원군 운봉면 동쪽에 자리잡은 해발 약 700m의 바위산이다. 황산대첩기념비 : 1972년에 한글로 황산대첩의 사적(事蹟)을 기술한 기념비가 세워졌있다. 황산대첩비지(荒山大捷碑址.사적 제104호.전북 남원시 운봉읍 화수리 344-2) 고려 말 이성계가 황산(荒山)에서 왜구를 격퇴시킨 사실을 기록한 .. 카테고리 없음 2010.03.20
우륵박물관 우륵박물관(경북 고령군 고령읍 쾌빈리 162번지) 우륵박물관은 가야금을 창제한 악성 우륵과 관련된 자료를 발굴ㆍ수집ㆍ보존ㆍ전시하여 국민들이 우륵과 가야금의 세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건립한 「우륵과 가야금」 테마박물관입니다. 맑고 깨끗한 가야금의 고장 고령에 위치한 '우륵박물관'.. 경상북도/고령 2010.03.05
우륵 기념탑 우륵기념탑 (경북 고령군.경북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15번지) 우리나라 3대 악성(우륵, 박연, 왕산악)중의 한 사람으로 가야말기 가실왕의 명을 받아 고령읍 쾌빈리 (정정골)에서 1년 12달을 본 따 12현금의 가야금을 창제하였으며, 위가 둥그니 하늘을 뜻하고 아래가 평평하여 땅을 본 뜬 것이라 한다. 우.. 경상북도/고령 2010.03.03
김면장군유적(金沔將軍遺蹟) 도암서원 김면장군유적(金沔將軍遺蹟.시도기념물 제76호 (고령군).경북 고령군 쌍림면 고곡리 16외 16필) 조선 선조(재위 1567∼1608) 때의 의병장이면서 학자였던 김면(1541∼1593)을 모신 유적이다. 김면은 일찌기 성리학의 대가인 조식을 스승으로 모셨고, 이황의 밑에서 성리학을 공부하였다. 선조 25년(15.. 경상북도/고령 2010.03.03
어정(경북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128-1 고령초등학교 운동장) 어정(경북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128-1 고령초등학교 운동장) 대가야의 왕들이 마셨다고 하여 어정 혹은 왕정(王井)이라 부르는 우물이다. 뚜껑돌을 덮고 앞을 터놓은 형태로, 그리 깊지는 않지만 사철 일정하게 물이 샘솟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대가야의 어정일 것으.. 경상북도/고령 2010.03.03
김유신장군 기간지주 작원(鵲院) 신라 제29대 무열왕때 김유신(金庾信) 장군이 백제를 정복하고자 군사 5만을 인솔하여 왕성을 떠나 30리 쯤 되는 이곳에서 첫날 진을 치고 있을 때 서쪽에서 까치 한 마리가 느닷없이 날아와 진영의 상공을 날다가 대장기 끝에 앉았다. 군사들은 그것이 불길한 징조라고 생각하여 진중(陳中).. 경주/경주인근자료 2010.03.01
경주석장동암각화(慶州錫杖洞岩刻畵)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사진이 ... 금장대 밑은 물이 깊고 맑아서 과거부터 예기청소(藝岐淸沼)라고 불려졌다. 석장동 암각화는 예기청소 바로 위쪽 암벽에 새겨져 있다. 그림이 새겨진 암면 앞의 공간은 2m 내외의 좁은 공간이지만 인위적으로 편평하게 다듬은 흔적이 있어서 이곳이 .. 경주/경주인근자료 2010.03.01
경인년 정월 대보름 달집태우기 달집태우기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곳에 자리잡는다. 형태는 지방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대개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다. 한 쪽 면만을 터놓고 다른 두 면은 이엉으로 감싼.. 경주/경주인근자료 2010.03.01
삼릉의 아침 배리삼릉(拜里三陵.사적 제219호.경북 경주시 배동 73-1) 배리삼릉은 경주 남산의 서쪽 기슭에 동서로 3개의 왕릉이 나란히 있어 붙여진 이름으로, 밑으로부터 신라 8대 아달라왕, 53대 신덕왕, 54대 경명왕 등 박씨 3왕의 무덤이라 전하고 있다. 무덤은 모두 원형으로 흙을 쌓아올린 형태를 .. 경주/남산자료실 2010.02.24
대가야 박물관 대가야박물관(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460) 상설전시실 대가야의 역사를 중심으로 고령지역의 역사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구석기시대부터 근대에 이르는 역사ㆍ문화에 대한 설명과 유물을 전시해 놓았다. 전시실의 내용은 대가야의 여명, 대가야의 성립, 대가야의 성장과 발전, 대가야이후의 고령.. 경상북도/고령 2010.02.18
대가야왕릉전시관 대가야왕릉전시관(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460번지) 대가야왕릉전시관은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된 대규모 순장무덤인 지산동고분군 제 44호분의 내부를 원래의 모습대로 재현한 것입니다. 관람객들이 실물크기로 만든 모형 44호분 속에 직접 들어가, 무덤의 구조와 축조방식, 주인공과 순장자들의 .. 경상북도/고령 2010.02.18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一括.국보 제138호)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一括.국보 제138호) 경상북도 고령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가야의 금관과 부속 금제품이다. 금관은 높이 11.5㎝, 밑지름 20.7㎝로 머리에 두르는 넓은 띠 위에 4개의 풀꽃 모양 장식이 꽂혀 있는 모습이다. 넓은 띠에는 아래위에 점을 찍었으며, 원.. 경상북도/고령 2010.02.17
고령지산동당간지주(高靈池山洞幢竿支柱.보물 제54호 ) 고령지산동당간지주(高靈池山洞幢竿支柱.보물 제54호.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3-5)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게 되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 경상북도/고령 2010.02.17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高靈開浦洞石造觀音菩薩坐像)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高靈開浦洞石造觀音菩薩坐像.시도유형문화재 제118호 (고령군).경북 고령군 개진면 개포리 87) 경상북도 고령군 개진면 개포동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로, 배모양의 평평한 돌에 새겼다. 전체적인 윤곽은 돋을새김하고 옷주름이나 연꽃무늬 등은 선으로 긋.. 경상북도/고령 2010.02.17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보물 제635호.경주 계림로 14호묘)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보물 제635호.경주국립박물관) 삼국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고리자루칼(환두대도)과 그 형태와 문양이 다른데, 이러한 형태의 단검은 유럽에서 중동지방에 걸쳐 발견될 뿐 동양에서는 발견되는 일이 없어, 동·서양 문화교류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는.. 경주/경주인근자료 2010.02.12
청송장전리향나무(靑松 長田里 향나무) 청송장전리향나무(靑松 長田里 향나무.천연기념물 제313호.경북 청송군 안덕면 장전리 산18외 1필) 수령(樹齡)은 400여년이며, 나무의 크기는 높이가 7.4m, 갈라진 가지의 가슴높이 둘레는 각각 2.2m, 1.7m, 1.6m 및 1.5m로서 이것이 합쳐진 둘레는 4.2m이다. 뿌리 주변의 둘레는 5.2m, 가지 밑의 높이는 1m, 수관폭.. 경상북도/청송 2010.02.06
화지재(花池齋)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인데 그 양쪽 끝 칸에 날개를 단 듯 지붕을 덧달았다. 따라서 전체로 보면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과 비슷한 팔작지붕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모양은 맞배지붕이 팔작지붕으로 변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는 지붕 형식이다. 화지재(花池齋.문화재.. 경상북도/청송 2010.02.06
청송 얼음골의 빙벽 청송군 부동면 내룡리 얼음골의 인공폭포에서는 2004년 2월에 시작된 ‘청송주왕산 전국빙벽등반대회’가 매년 개최되고 있습니다. 직경 1㎝의 로프에 의지한 채 빙벽을 오르는 모험가들이 62미터짜리 인공폭포의 얼음벽에서 아슬아슬 모험을 즐기는 모습은 빙벽을 등반하는 사람뿐만 아니라 구경하.. 경상북도/청송 2010.02.06
영천화남동 석불좌상(永川華南洞石佛坐像) . 삼층석탑(三層石塔) 영천화남동삼층석탑(永川華南洞三層石塔. 보물 제675호 경북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 498) 옛 한광사의 불전 앞에 동서로 서 있던 쌍탑 중 하나로, 이 탑의 기단석 한 면을 열자 그 안에서 석불좌상(보물 제676호)이 발견되었다.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받침돌만 남아있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의 몸돌에는 네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은 약한 곡선을 그리며 경쾌하게 표현되었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각 층의 지붕돌과 몸돌은 하나의 돌로 조각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다. 탑의 높이는 2.7m이다.(문화재청 자료) 영천.. 경상북도/영천 2010.02.02
간월암 간월도는 당초 섬이었으나 대규모 간척사업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간월도에는 이성계를 도와 조선건국에 기여한 무학대사가 도를 깨우쳤다는 간월암이 있다. 또한 매년 음력1월15일에는 굴풍년을 기원하는 간월도굴부르기제가 열리기도 한다. 드넓은 갯벌이 펼쳐져 있어 시원한 청량감을 느끼고 .. 충남 2010.01.31
해미순교성지 (여숫골) 해미순교성지 (여숫골.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866년부터 1882년 사이 천주교 박해 때 1천여 명의 신자를 생매장한 곳으로 천주교인들의 순례가 끊이지 않는 순교성지이다. 많은 천주교도들을 처형하기 힘들자 해미천에 큰 구덩이를 파고 모두 생매장 한 곳이다. 해미천 옆에는 박해당시 생매장 당.. 충남 2010.01.31
해미읍성(海美邑城) 해미읍성(海美邑城 사적 제116호 충남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 16) 이 성은 고려 말부터 국정이 혼란한 틈을 타서 왜구가 해안지방에 침입하여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바, 이를 효과적으로 제압하기 위하여 조선 태종17년(1417)부터 세종3년(1421) 사이에 당시 덕산(德山)에 있던 충청병마도절제.. 충남 2010.01.30
홍성조류탐사과학관 서해바다가 한눈에 훤히 내다보이는 전망좋은곳에 위치한 홍성의 조류탐사과학관은 철새들의 군무를 감상하기 위한 차원을 넘어 철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새와의 교감을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일깨워 주고 있다. 홍성조류탐사과학관 앞 천수만 간월호 간월호 얼음 위의 물새 충남 2010.01.30
안면도 할미, 할아비 바위를 배경으로 낙조. 안면도 시장 풍경 수려한 할미, 할아비 바위를 배경으로 붉은 태양이 바다 속으로 빨려들어가며 빚어내는 황홀한 저녁놀 풍경은 서해안 최고의 낙조임에 틀림이 없다. 충남 2010.01.30
한라산 백록담 파노라마 한라산 정상에는 화산폭발로 형성된 산정호수 백록담 (白鹿潭)이 있는데 화구륜의 능선둘레는 대략 1.7㎞, 화구호의 깊이는 110여 미터이고 그 넓이는 6만평이 조금 넘습니다. 장마철 집중호우가 내려 만수가 되면 화구호의 삼분의 이가 물에 잠기나 요즘에는 자연적인 증발로 인해 수량이 많이 줄어 보.. 제주도 2010.01.26
덕유산 향적봉 관광곤도라를 타고 해발 1천5백22m 설천봉에 오르면 덕유산 정상 향적봉을 20분만에 쉽게 오를 수 있다. 산이 험하지 않아 노부부나 가족들이 쉬엄쉬엄 오르기에 좋으며,정상에 오르면 적상산, 마이산, 가야산, 지리산, 계룡산, 무등산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파노라마 조망이 빼어나다 덕유.. 전북 2010.01.26
비슬산 소재사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소재사대웅전(消災寺大雄殿.문화재자료 제43호 (달성군).대구 달성군 유가면 용리 4) 대웅전 내부에는 우물마루를 깔았으며 내진기둥을 세우고 후불벽을 설치하고 그 앞에 수미단을 두었다. 수미단위에는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삼세불(약사여래와 연.. 대구 2010.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