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분류 전체보기 6296

어정(경북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128-1 고령초등학교 운동장)

어정(경북 고령군 고령읍 연조리 128-1 고령초등학교 운동장) 대가야의 왕들이 마셨다고 하여 어정 혹은 왕정(王井)이라 부르는 우물이다. 뚜껑돌을 덮고 앞을 터놓은 형태로, 그리 깊지는 않지만 사철 일정하게 물이 샘솟는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대가야의 어정일 것으..

경상북도/고령 2010.03.03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一括.국보 제138호)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傳 高靈 金冠 및 裝身具一括.국보 제138호) 경상북도 고령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는 가야의 금관과 부속 금제품이다. 금관은 높이 11.5㎝, 밑지름 20.7㎝로 머리에 두르는 넓은 띠 위에 4개의 풀꽃 모양 장식이 꽂혀 있는 모습이다. 넓은 띠에는 아래위에 점을 찍었으며, 원..

경상북도/고령 2010.02.17

고령지산동당간지주(高靈池山洞幢竿支柱.보물 제54호 )

고령지산동당간지주(高靈池山洞幢竿支柱.보물 제54호.경북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 3-5)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세워두는 것으로,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 두게 되는데 이 깃발을 걸어두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이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

경상북도/고령 2010.02.17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보물 제635호.경주 계림로 14호묘)

경주 계림로 보검(慶州 鷄林路 寶劍.보물 제635호.경주국립박물관) 삼국시대의 무덤에서 출토되는 고리자루칼(환두대도)과 그 형태와 문양이 다른데, 이러한 형태의 단검은 유럽에서 중동지방에 걸쳐 발견될 뿐 동양에서는 발견되는 일이 없어, 동·서양 문화교류의 한 단면을 알 수 있는..

영천화남동 석불좌상(永川華南洞石佛坐像) . 삼층석탑(三層石塔)

영천화남동삼층석탑(永川華南洞三層石塔. 보물 제675호 경북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 498) 옛 한광사의 불전 앞에 동서로 서 있던 쌍탑 중 하나로, 이 탑의 기단석 한 면을 열자 그 안에서 석불좌상(보물 제676호)이 발견되었다. 1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을 받치던 받침돌만 남아있다. 기단은 네 모서리와 가운데에, 탑신의 몸돌에는 네 모서리에 각각 기둥 모양을 본떠 새겼다. 지붕돌은 밑면에 4단의 받침을 두었으며, 낙수면은 약한 곡선을 그리며 경쾌하게 표현되었다. 이 탑은 통일신라시대인 9세기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각 층의 지붕돌과 몸돌은 하나의 돌로 조각한 전형적인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양식을 따르고 있다. 탑의 높이는 2.7m이다.(문화재청 자료) 영천..

경상북도/영천 201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