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민속관 1992년 개관한 영천민속관에는 예로부터 영천지역에서 사용하였던 관혼상제 관련 유물, 농기구류, 생활용품, 고서적류, 화폐류 등 민속자료 1천여 점이 보관, 전시되어 있다. 옛 조상들의 생활상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용도별로 분류, 진열되어 있는 민속자료들은 자라나는 청소년들.. 경상북도/영천 2009.08.06
양계정사(暘溪精舍) 양계정사(暘溪精舍 민속자료 제88호) 인조 23년(1645)에 양계 정호인(鄭好仁)이 관직에서 일시 향리로 돌아와겨관이 좋은 현 위치로 초가 수칸을 짓고 후학을 양성하여 주자서와 근시록을 연구하던 학당이였다. 선생의 호는 양계, 관은 오천이며 임진왜란시 영천의병장을 지낸 호수 정세아 선생의 손자.. 경상북도/영천 2009.08.06
숭렬당(崇烈堂) 숭렬당(崇烈堂 보물 제521호) 숭렬당은 조선세종 15년(1433년)에 건립된 중국식(中國式) 건물로서 그 구조와 형태가 아름답고 특이하다. 이 건물은 세종 원년(1419)쓰시마 정벌과 야인토벌 등에 혁혁한 공적을 남겨 일명 복장군(福將軍)이라 불리었던 명장(名將) 위양공 이순몽(威襄公 李順蒙).. 경상북도/영천 2009.08.06
영천선원동철불좌상 영천선원동철불좌상(보물 제513호) 이 불상은 견실한 철불좌상이며, 상자체(像自體)는 비교적 완전한 편이지만 양손은 결실(缺失) 되었고 주조(鑄造)후에 때움한 흔적이 곳곳에 있을 뿐 그 외에는 완전한 편의 철불상(鐵佛像)이다. 높직한 육계(肉鷄)에 중앙계주(中央髻珠)가 뚜렷한 나발(螺髮)의 머리.. 경상북도/영천 2009.08.06
영천매산고택및산수정(永川 梅山 古宅 및 山水亭)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영천시 임고면 소재지에서 북으로 7km쯤에 위치하며 이 마을의 초입(初入)오른쪽 산기슭에 서남향으로 자리한 집이다. 마을 자체는 중첩(重疊)된 나직한 산봉(山峰)으로 둘러싸여 풍수설(風水說)로는 꽃술을 에워싼 꽃잎과 같은 형국이고 이집의 배.. 경상북도/영천 2009.08.06
명고영정(鳴皐影幀)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명고영정(鳴皐影幀 시도유형문화재 제179호 (영천시) 영천시 녹전동 519번지) 정간(鄭幹)은 조선조의 문신으로 자는 도중(道中), 호는 명고(鳴皐) 이다. 영조 원년(1725). 증광문과에 급제, 청양군수, 경주부윤, 선천· 동래부사 등을 역임. 청백리로 녹선되고 영조33.. 경상북도/영천 2009.08.06
선덕여왕 행차 선덕여왕 행차 : http://www.sunduk.co.kr/ 신라 제27대 선덕여왕은 자비롭고, 슬기롭고, 멋을 아는 영특한 임금이었다. 여왕의 행차를 알리는 깃발과 의장대와 악대와 비단 천정에 사방 고운 발을 드리운 수레를 타고 납시었다. 여왕의 주변에는 색동치마에 은요패를 드리운 궁녀들이 애워싸고, 다시 그 둘레..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8.01
신라 선덕여왕이 노닐던 곳, 나왕대(羅王臺)와 부운못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부운못(운대못)둑의 왼쪽에 보이는 봉곳한 산으로 선덕여왕이 하루를 즐겼다 간 자리를 기려 돌 좌대에 羅王臺(나왕대)를 놓은 곳이다. 또한 산세는 노루가 엎드려 잠자는 모양으로 생긴 작은 산이 병풍처럼 둘러 싸여 있다...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8.01
금척리고분군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경주에서 건천으로 가는 국도를 달리면 도로 양쪽에 30여 기의 크고 작은 고분들이 솟아 있다. 경주 시내의 평지 고분들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인위적인 흔적 없이 들판에 천연 그대로인 듯 솟아 있는 1500년의 고분이 보다 원..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8.01
달성공원(대구 달성: 사적 제62호) 달성공원 정문 달성공원 정문(안쪽에서...) 달성공원 정문에서 본 시가지 위의 사진 클릿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릿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릿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릿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구 달성(사적 제62호) 대구 달성(사적 제62호) 대구 달.. 대구 2009.07.30
인동 향교 (仁同 鄕校) 인동 향교 정문에 걸린 현판 명륜당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인데, 중앙 3칸은 마루이고 좌우 측칸은 온돌방이다. 고려말에서 조선 초기에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인동향교이다. 임진왜란 때 불타버린 후 선조(宣祖) 34년(1601)에 안태동의 옥산 북쪽으로 옮겼다. 그러나 지형이 좋지 않다 하여,.. 경상북도/구미 2009.07.27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龜尾 黃桑洞 磨崖如來立像) 구미 황상동 마애여래입상(龜尾 黃桑洞 磨崖如來立像 보물 제1122호) 이 불상은 속칭 석현(石峴)이라 불리는 고갯길 좌측으로 솟아있는 암벽 전면에 조각된 높이 7.3m의 여래입상이다. 암벽 위에는 별도의 판석을 얹어 불상의 머리 부분을 덮고 있다. 이는 야외에 노출된 고려시대 불상에서 흔히 나타나.. 경상북도/구미 2009.07.27
구미 척화비 (龜尾 斥和碑) 구미 척화비 (龜尾 斥和碑)가 있는 석현 고개(천혜사 표시판이 있음) 구미 척화비 (龜尾 斥和碑) 구미 척화비 (龜尾 斥和碑 문화재자료 제22호 ) 이 비석은 병인양요(丙寅洋擾)와 신미양요(辛未洋擾)를 치른 후 서양을 배척하고 그들의 침략을 국민들에게 경고하기 위하여 1871년 4월에 대원군(大院君) 이.. 경상북도/구미 2009.07.27
인동입석(仁同立石) 인동입석(仁同立石 문화재자료 제184호) 이 선돌은 선사시대의 거석기념물이다. '괘혜암(掛鞋岩)'이라 새겨진 글자 때문에 일명 '신 걸이 바위'라고도 한다. 조선 선조(宣祖) 17년(1587)에 인동 현감으로 부임한 이등림(李鄧林)이 선정을 베풀고 임기가 끝나 돌아갈 때, 한 계집종이 아전에게서 짚신 한 켤.. 경상북도/구미 2009.07.27
의우총(義牛塚) 의우총 비 의우총(義牛塚 민속자료 제106호 산동면 인덕리 104-1) 이것은 호랑이로부터 주인을 구한 의로운 소의 무덤이다.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었는데『의열도, 義烈圖』의우전(義牛傳) 부분의 그림을 화강암 8폭에 조각하여 새롭게 정비하였다. 문수점(文殊店)에 살던 김기년(金起年)이 암소 한 마리.. 경상북도/구미 2009.07.27
박정희대통령 생가(朴正熙大統領 生家)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박정희대통령 생가(朴正熙大統領 生家 기념물 제86호 ) 이 건물은 제5대∼제9대 대통령을 역임한 박정희(朴正熙, 1917∼1979) 대통령이 태어난 가옥이다. 1917년 11월 14일 아버지 박성빈과 어머니 백남이 여사의 5.. 경상북도/구미 2009.07.27
동락서원 문루 문루 뒤면 대강당에서 본 동재. 문루. 서재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문루에서 본 서재. 대강당. 동재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동락서원 강당(東洛書院 講堂 문화재자료 제21호) 이 서원은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 1554∼1637)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 경상북도/구미 2009.07.27
지주중류비와 야은 길재선생 묘소 지주중류비 지주중류비각 지주중류비각 현판 지주중류비 지주중류비(砥柱中流碑.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이 비석은 조선 선조(宣祖) 20년(1587)에 인동현감(仁同縣監) 류운룡(柳雲龍)이 야은(冶隱) 길재(吉再, 1353∼1419)의 높은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비 앞면에는 중국 .. 경상북도/구미 2009.07.26
경주 연꽃 2 안압지(임해전지) 부근 연꽃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서출지 연꽃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남산리 쌍탑 부근의 연꽃 경주온천관광호텔 연꽃못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연꽃 촬영하..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9
한가지 소원은 꼭 성취한다는 신비의 돌, 돌할배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돌할배 입구( 돌할배 주소: 경북 영천시 북안면 자포리 613번지) 소원을 빌기 전에는 번쩍 들리고, 소원을 빌고 난후에는 지남철되는 돌 한가지 소원은 꼭 성취한다는 신비의 돌, 돌할배 안내 말씀(소원성취를 위하여 자세히 읽어 보시기를 ...) 장군 미륵 돌미륵의 .. 경상북도/영천 2009.07.18
여근곡(女根谷)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선덕여왕지기삼사설화(善德女王知幾三事說話.선덕여왕설화)에 등장하는 여근곡 첫 번째 이야기는 향기 없는 모란에 관한 일화 두 번째 이야기는 개구리 울음을 듣고 전쟁의 조짐을 미리 알아차린 일화 세 번째 이야기는 여왕이 자신의 죽을 날을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8
영월 장릉(寧越 莊陵) 영월 장릉(寧越 莊陵.사적 제196호.강원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산133-1) 조선 6대 단종(재위 1452∼1455)의 무덤이다. 단종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긴 뒤, 충신들이 그를 다시 왕으로 복위시키려는 계획이 밝혀져 영월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세상을 떠났다. 단종이 죽자 후환이 두려워 시신.. 강원도 2009.07.18
청령포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영월군 남면 광천리 남한강 상류에 위치한 단종의 유배지로, 1971년 강원도 기념물제5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제6대 왕인 단종이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상왕으로 있다가,그 다음해인 1446년 성삼문 등 사육신들의 상왕복위의 움직.. 강원도 2009.07.17
선암마을 한반도 지형 한반도 지형 가는 길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맑고 청명한 서강의 물줄기는 서면 선암마을변에 우리땅을 그대로 복원하듯 한반도 지형을 만들어 놓았다. 마을 사람들이 옛날부터 한반도를 닮았다 하여 찾아간 선암마을의 한반도지형은 삼면이 바다인 우리땅을 그대로 옮겨.. 강원도 2009.07.17
선돌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날골과 남애마을 사이에 높이 70m 정도의 큰바위가 서있는데 이 바위를 선돌이라 한다. 선돌은 일명 신선암이라고도 하는데 선돌은 푸른 강과 층암절벽이 어우러져 마치 한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선돌은 영월읍 방절리 서강 안에 절벽을 이룬 곳에 .. 강원도 2009.07.17
난고 김삿갓 문학관 난고 김삿갓의 문학 세계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백일장에서 조부를 욕되게 하는 시를 썼다는 자책감으로 평생 방랑 시인을 지낸 방랑시인 김삿갓의 업적을 기리고, 그의 문학적 위상을 재조명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이곳에는 시비와 문학의 거리가 조성되어 있으며, 김삿갓의 묘와 생가가 있다.. 강원도 2009.07.17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국보 제29호)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다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유두를 사각형의 유곽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
재매정(김유신장군께서 살던 집터의 우물) 재매정(김유신장군께서 살던 집터의 우물. 사적 제246호) 재매정(財買井)은 신라 명장 김유신(金庾信)장군께서 살던 집터라고 전해지는 이곳에 남아 있는 우물이다. 월성(月城)에서 서쪽으로 약 400m 거리에 남천(南川)을 바로 앞에 두고 위치해 있다. 삼국사기에 김유신 장군이 백제와 싸워..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
경주향교 경주향교(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강당인 명륜당과 동재·서재는 학생들이 공부하고 기거하는 시설이다. 경주향교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경주향교 우물 경주향교에 있는 폐석탑재 석조 명륜당 명륜당 뒷면 존경각 명륜당..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
경주사마소 경주사마소(문화재자료 제2호) 사마소는 조선시대 과거에 합격한 그 지방의 생원(生員)과 진사(進士)들이 유학(儒學)을 가르치거나 정치(政治)를 토론하던 건물이다. 사마소라는 현판은 영조 38년(1762) 당시의 부윤(府尹) 홍양한(洪良漢)이 쓴 것이다. 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뒤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