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창공(고운 최치원선생) 영당과 영정 문창공영당(文昌公影堂.문화재자료 제20호 (대구 동구).대구 동구 도동 766-4 ) 고운 최치원선생의 영정을 모시고 있는 건물로, 1912년 그의 후손들이 세웠다. 시조가 남긴 업적을 후손에게 전한다는 이유 외에도 옛 현인을 모셔 백성들에게 민족의 정기를 심어주기 위한 뜻도 있었다. 최치원은 신라말의 .. 대구 2009.09.17
국내 최고령 사과나무(평광동 사과나무)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홍옥' 사과나무 "사과나무의 경제수령은 30~35년으로 그 이후가 되면 제대로 된 열매를 맺을 수 없다."며 농가에서 경제수령이 지나면 나무를 베어버리는 점을 감안한다면 '평광동 사과나무'는 1935년에 5년생 홍옥 사과나무를 심었다고 하니, 사과나무로서는가 .. 대구 2009.09.16
월촌공원(월곡역사박물관) 단양우씨 월촌 세거지(世居地) 월촌마을 연혁 월곡역사공원은 월곡공원에 연접한 단양우씨종중 제실 주변의 수려한 자연경관과 역사적 가치가 있는 기념비 등과 연계한 역사공원을 조성하여 역사 교육장 및 특색있는 휴식공간으로 개발되었습니다. 향토의 역사.전통문화유산과 대나무산책로 등의 .. 대구 2009.09.15
건들바위(대구입암(大邱笠巖)) 第二景 : 笠巖釣魚(입암조어, 삿갓바위의 낚시) 烟雨空濛澤國秋(연우공몽택국추) 이슬비 자욱히 가을을 적시는데 垂綸獨坐思悠悠(수륜독좌사유유) 낚시 드리우니 생각은 하염없네 纖鱗餌下知多少(섬린이하지다소) 잔챙이야 적잖게 건지겠지만 不釣金驚鉤不休(부조금오조불휴) 금자라 낚지 못해 자리 뜨지 못하네 건들바위(대구입암(大邱笠巖).시도기념물 제2호 (중구)) 건들바위라는 이름의 유래는 잘 알 수 없으나 예로부터 그 모양이 갓 쓴 노인같다고 해서 삿갓바위라고도 불리었다. 200년 전에는 이 바위 앞으로 맑고 깊은 냇물이 흘러 많은 시인들이 이곳에서 낚시를 하며 풍류를 즐겼던 경치 좋은 명소의 하나였으며, 서거정 선생이 노래한 대구 10경 중 입암조어(笠巖釣魚)의 장소로도 잘 알려져 있다. 조선 정조 때 시가지 일대의.. 대구 2009.09.10
칠곡기성동삼층석탑(漆谷箕聖洞三層石塔) 칠곡기성동삼층석탑(漆谷箕聖洞三層石塔.보물 제510호.경북 칠곡군 동명면 기성리 1028) 법성사(法聖寺)터로만 알려진 곳에 있는 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아래층 기단은 8개의 돌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서리와 가운데에 기둥 모양을 새겨 놓았다. 위층 기단에는.. 경상북도/팔공산 2009.09.09
약천사 조선초기 불교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약천사는 단일사찰로서는 동양 최대를 자랑한다. 법당 내부 정면에는 국내 최대인 높이 5m의 주불인 비로자나불이 4m의 좌대 위에 안치돼 있고, 좌우 양쪽 벽에는 거대한 탱화가 양각으로 조각되어 있다. 법당 앞 종각에는 무게가 18톤이나 되는 범종이.. 제주도 2009.09.06
제주도의 '흑룡만리(黑龍萬里)'라고하는 돌담 대정성지 별방진 내의 집담 별방진 별방진 별방진 별방진 별방진 별방진 내의 마을 별방진 내의 마을 집담과 문주란 별방진 내의 마을 집담 성읍민속마을(정의현) 성읍민속마을(정의현) 성읍민속마을(정의현) 연북정 연북정 성벽 집담(제주시 용강동) 돌담의 쓰임은 다양했으며 그에 따.. 제주도 2009.09.02
사룡산금정암제석탱(四龍山金井庵帝釋幀)와 충효사 사룡산금정암제석탱(四龍山金井庵帝釋幀.시도유형문화재 제299호 (영천시) .경북 영천시 자양면 충효리 660 ) 이 탱화는 조선 영조 40년(1764) 사룡산 금정암에 봉안되었던 것으로, 현재는 충효사에 보존되어 있다. 그림 전체의 크기가 가로 65㎝, 세로 70㎝이고, 화폭의 크기는 가로 54㎝, 세로 55㎝ 인 작은 .. 경상북도/영천 2009.09.02
삼휴정(三休亭) 삼휴정(三休亭.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5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 78번지) 이 건물은 삼휴 정호신(鄭好信)(1605~1649)이 학문을 연구하기 위하여 조선 인조 13년(1635)에 건립하였다고 한다. 정호신의 자는 덕기(德基), 호는 삼휴(三休), 본관은 오천(烏川)으로 17세때 아버지를 여의었으나 형 섬기기..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사의당(四宜堂)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사의당(四宜堂.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4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78번지) 이 건물은 조선 영조 2년(1726)에 정중호(鄭重鎬) 중기(重岐), 중범(重範), 중락(重洛) 4형제의 우의를 돈독히 하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삼귀리에 건립한 것인데 건물이 ..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오회당(五懷堂) 오회당(五懷堂.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6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78번지) 이 건물은 오회당 정석현(五懷堂 鄭碩玄)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영조 3년(1727) 관찰사 권대규의 후원으로 건립하였으며, 영천댐 건설공사로 1977년 3월 현 위치로 이전·복원하였다.소박하게 짜여진 건물로 지붕의 형..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오회공종택(五懷公宗宅) 오회공종택(五懷公宗宅.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2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78번지) 이 가옥은 임진왜란때 의병의 활약으로 영천, 경주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정세아의 넷째 아들인 수번이 그의 셋째 아들 호신의 분가주택으로 조선 광해군 12년(1620)경에 건립한 것이며 묘우(廟宇)는 효종 6년 (.. 경상북도/영천 2009.09.01
하천재(夏泉齋) 하찬재 하천재 현판 하천재(夏泉齋.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3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 78번지) 이 묘재는 오천정씨(烏川鄭氏) 문중의 묘소와 강의공(剛義公) 정세아(鄭世雅)의 신도비를 수호하기 위하여 진주목사인 정호인(鄭好仁)이 조선인조 15년(1637년)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강의공은 임진.. 경상북도/영천 2009.09.01
강호정(江湖亭) 강호정(江湖亭.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75.8.18).영천시 자양면 성곡리 산 78번지) 이 건물은 조선 선조 32년(1599)에 의병장 정세아(鄭世雅)가 임란후 고향에 돌아와 선조 32년(1599) 자호(紫湖) 언덕에 정자를 짓고 여러 교우와 학문을 강론하였던 곳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 홑처마 맞배지..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 영천 정각리 삼층석탑(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69호(92.7.18.).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78-1번지) 이 석탑은 고려시대 일반형으로 이층기단 위에 삼층 탑신부를 올린 고려시대의 석탑으로서 화강암으로 만든 석탑이다. 옥신,옥개는 각각 단석(單石)으로 각조(刻造)되어 있다. 하기단은 4개의 석..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영천자천교회 영천자천교회(문화재자료 제 452호 (2003.12.15).영천시 화북면 자천리 773번지 ) 자천교회는 약100년전 개신교 전파의 교회사적 유산이며, 경상북도에서 현존하는 거의 유일한 한옥 교회당 건물로서 비교적 원형이 잘 보전되고 있으며 우진각지붕 목조 단층으로 한국목조건축양식을 따르고 ..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자양서당(紫陽書堂) 자양서당(紫陽書堂.유형문화재 제78호(75.8.18).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281-5번지) 이 건물은 조선 명종 원년(1546) 호조참의 김응생(金應生), 정윤양(鄭允良), 노수(盧遂)가 향리의 후진교육을 위해 자양면 노항동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현재의 건물은 훨씬 후대에 중건된 것으로 보이며 1976년 7월 영천댐 수.. 경상북도/영천 2009.09.01
동린각(東麟閣) 자양서당과 동린각 동린각 사적비 동린각(東麟閣.시도유형문화재 제77호 (영천시).경북 영천시 임고면 삼매리 281-5 ) 이곳은 임진왜란(壬辰倭亂)때 큰 전공(戰功)을 세운 이충무공(李忠武公)과 부장(部將) 김완(金完) 장군(將軍)을 추모하기 위하여 원래는 자양면(紫陽面) 노항동(魯巷洞)에 세웠으나 정..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용계서원(龍溪書院) 용계서원(龍溪書院.시도유형문화재 제55호 (영천시).경북 영천시 자양면 용산리 303 ) 경은 이맹전(1392∼1480)의 학덕과 충절을 추모하기 위하여 지은 서원이다. 이맹전은 조선 단종(재위 1452∼1455)을 위하여 수절한 생육신의 한분으로, 수양대군이 어린 단종의 왕위를 탐내자 벼슬을 버리고 .. 경상북도/영천 2009.09.01
모고헌(慕古軒) 모고헌(慕古軒.시도유형문화재 제271호 (영천시).경북 영천시 화북면 횡계리 457-3 ) 이 건물은 조선(朝鮮) 숙종시(肅宗時) 성리학자(性理學者)인 지수 정규양(鄭葵陽)(1667∼1732) 선생이 숙종 27년(1701) 대전동(大田洞)에서 이 곳으로 이사하면서 집을 짓고 태고와(太古窩)라 하였으나 영조(英祖) 6년(1730) 문.. 경상북도/영천 2009.09.01
영천공덕동삼층석탑(永川公德洞三層石塔) 영천공덕동삼층석탑(永川公德洞三層石塔.문화재자료 제103호 (영천시).경북 영천시 화북면 공덕리 173-1) 동덕사라는 절에 있던 3층 석탑으로, 절이 없어진 후 서씨 문중 소유인 송계정사에 옮겨졌다가 1973년 동네 입구로, 1974년 다시 지금의 자리로 옮겨 왔다. 형태는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 탑신(塔身).. 경상북도/영천 2009.09.01
혼인지(婚姻池) 혼인지(婚姻池. 시도기념물 제17호 (서귀포시).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1693) 삼성혈에서 나온 삼신과 벽랑국의 세 공주가 혼례를 올린 800여평의 연못인 혼인지는 지방기념물 17호입니다. 동쪽 바닷가에서 나무함이 떠밀려와 열어보니 또 석함이 있었습니다. 나무함 속에서는 망아지 및 오곡의 씨.. 제주도 2009.08.27
해녀박물관 해녀박물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3204-1) 해녀의 역사는 패총유적으로 볼 때 기원전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潛女(잠녀)"라고 처음 기록된 문헌은 1629년 이건의 『제주풍토기』,『규창집』이다. 나약한 여자의 몸으로 물질을 하거나 농사를 지어서 가정경제를 도맡아 왔던 제주 .. 제주도 2009.08.27
제주항일기념관 3.1독립운동기념탑 김봉각선생 공덕비 애국선열추모탑 창열사(위패 봉안실) 창열사 현판 제주항일기념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1156번지) 제주항일기념관 사이트 : http://www.jejutour.go.kr/contents/index.php?mid=0112&cat=TUTUTU13&page=3&act=detail&seq=50044 평화의 기둥 독립유공자비 5인의 군상 상징조형.. 제주도 2009.08.27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濟州항파두리抗蒙遺蹟址) 항파두성(토성) 항파두성(토성) 항파두성(토성) 항파두성(토성)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제주항파두리항몽유적지(濟州항파두리抗蒙遺蹟址.사적 제396호.제주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1126-1외) 고려 원종 14년(1273) 김통정 장군과 삼별초 대원들이 여몽연합군과 마지막까지 싸운 .. 제주도 2009.08.27
한림공원 한림공원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협재리 2487번지 하늘을 찌를 듯이 치솟아 오른 야자수길! 희한한 식물의 왕국 아열대식물원!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 제236호인 협재·쌍용동굴의 지하세계! 세계 여러나라의 돌과 분재예술의 세계 제주 석·분재원! 제주전통 생활상을 볼 .. 제주도 2009.08.27
제주 삼양동 선사유적(濟州三陽洞先史遺蹟) 제주삼양동선사유적(濟州三陽洞先史遺蹟. 사적 제416호. 제주 제주시 삼양1동 1660-5외) 삼양동선사유적은 기원전.후 1세기를 중심으로 한 시기의 집자리 약 230여기가 확인된 대단위 마을 유적이다. 이 마을 안에서는 크고 작은 집자리, 창고, 저장공, 야외토기요지, 불땐자리, 마을 공간을 .. 제주도 2009.08.27
불탑사 오층석탑(佛塔寺五層石塔) 불탑사에서 불탑사 오층석탑(佛塔寺五層石塔)으로 가는 문 불탑사 오층석탑은 우리 흔히 보는 화강암의 탑이 아니고, 제주도 현무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제주도에 현존하는 유일의 고려시대 석탑으로 , 높이는 약 4m 정도에 이른다. (불탑사 오층석탑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제공하는 관련 .. 제주도 2009.08.27
연북정(戀北亭) 연북정(戀北亭.시도유형문화재 제3호 (제주시).제주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2690 ) 바닷가 평지에 자리잡고 있는 정자로 조선 선조 23년(1590)에 조천관 건물을 새로 지은 후 쌍벽정이라 하였다가 선조 32년(1599)에 건물을 보수하고 이름을 연북정으로 고쳤다. ‘연북(戀北)'이라는 정자의 이름.. 제주도 2009.08.26
신비의 도로(도깨비 도로) 이 곳 신비의 도로는 공항에서 11.5km 떨어진 해발 500m 지점인 제주시 산록도로 변에 위치, 5.16도로와 1100도로를 연결하는 곳에 있다. 내라막길에 차를 세워두면 아래로 내려가야 하는 차가 내려가지 않고 오히려 오르막쪽으로 뒷걸음치는 기이한 곳이다. 이는 착시현상으로 주위 환경에 의해 시각적으.. 제주도 2009.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