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계림(慶州鷄林) 경주계림(慶州鷄林.사적 제19호.경북 경주시 교동 1 ) 계림은 경주 김씨의 시조인 김알지가 태어난 곳이라는 전설을 간직한 숲이다. 원래 신라를 건국할 때부터 있던 숲으로, 시림이라고 하던 것을 알지가 태어난 뒤로 계림이라 하였다. 탈해왕 4년(60)에 왕이 금성 서쪽 시림 숲 사이에서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
신라내물왕릉(新羅奈勿王陵) 봉분 앞에는 혼유석(魂遊石)이 놓여 있는데 후대에 설치된 것이다 신라내물왕릉(新羅奈勿王陵 사적 제188호 ) 경주 반월성(半月城) 북서쪽 계림(鷄林)에 인접하여 있다.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으로 지름 22m, 높이 5.3m이다. 봉분의 밑부분에 자연석이 드문드문 보이고 있는데, 이는 경주시내 평지의 적..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5
경주 연꽃 안압지 주변의 연꽃 안압지 주변의 연(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뿌리는 둥근 막대형으로 옆을 향해 길게 뻗으며 마디가 많다. 연녹색을 띠는 둥근 형태의 잎은 지름이 40㎝ 정도이고 뿌리줄기에서 나와 물 위를 향해 1m 정도 높이 솟는데, 물에 젖지 않는다. 잎맥은 방사상으..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7.14
태종대유원지 문화재청 자료 사진 문화재청 자료 사진 부산대교를 지나 영도해안을 따라 9.1㎞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있는 태종대. 태종대는 신라 29대 임금이자 삼국통일의 초석을 다진 태종무열왕(김춘추)이 전국을 순회하던 도중 울창한 소나무 숲과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기암절벽 등 이곳의 빼어난 해안 절경.. 부산 2009.07.12
신비의 섬 오륙도 오륙도(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부산항을 들어오는 배들이 가장 먼저 만나는 섬이자, 예부터 부산 바다를 상징하는 섬으로 사랑 받아온 오륙도. 오륙도는 육지에서 가까운 것부터 방패섬, 솔섬, 수리섬, 송곳섬, 굴섬, 등대섬으로 부르고 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밀물 때는 다섯개로 되.. 부산 2009.07.11
UN기념공원 이곳 유엔기념공원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로서, 세계평화와 자유의 대의를 위해 생명을 바친 유엔군 전몰 장병들이 잠들어 있는 곳이다. 이곳 묘지는 한국전쟁이 일어난 이듬해인 1951 년 1 월, 전사자 매장을 위하여 유엔군 사령부가 조성하였으며, 같은 해 4 월 묘지가 완공됨에 따라 개성, 인천, .. 부산 2009.07.11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 경주남산칠불암마애석불(慶州南山七佛庵磨崖石佛 보물 제200호) 가파른 산비탈을 평지로 만들기 위해서 동쪽과 북쪽으로 높이 4m 가량되는 돌축대를 쌓아 불단을 만들고 이 위에 사방불(四方佛)을 모셨으며, 1.74m의 간격을 두고 뒤쪽의 병풍바위에는 삼존불(三尊佛)을 새겼다. 삼존불은 .. 경주/남산자료실 2009.07.07
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경주 남산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경주남산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慶州南山神仙庵磨崖菩薩半跏像. 보물 제199호) 이 불상은 칠불암(七佛庵) 위에 곧바로 선 절벽 꼭대기에 새겨져 있어 마치 구름 위에 앉아 있는 듯이 보이는데 머리에 삼면보관(三.. 경주/남산자료실 2009.07.07
파계사 대비암. 성전암 파계사 대비암 파계사 대비암(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대비암 입구 게시판에 있는 글 대비암 대비암 삼층석탑 대비암 관세음보살상 대비암 대웅보전 파계사 성전암 파계사 성전암(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파계사 성전암(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성전암 가.. 경상북도/팔공산 2009.07.05
파계사 파계사 일주문 동화사에서 서쪽으로 3㎞쯤 떨어진 곳에 있는 파계사는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채 팔공산 서쪽에 자리하고 있다. 이 절은 심지왕사에 의해 창건되었고, 임진왜란으로 불타자 계관법사가 중창하였으며, 그후 숙종연간에 현응스님이 새로 고쳐지었다고 한다. '절의 좌우계곡.. 경상북도/팔공산 2009.07.04
망우당공원 영남제일관(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영남제일관은 대구읍성 4개 성문중 하나로 1590년(선조 23)에 축조된 토성으로, 임진왜란 때 허물어진후 1736년(영조 12)에 석성으로 재건됐다가 1906년 대구읍성이 철거될 당시 성문들도 함께 철거됐다. 이후 대구 상징물 건립의 필요성에 .. 대구 2009.07.03
팔공산 동화사 특별전(2009.4.18 - 8.16, 국립대구박물관) 불연 염불암 극락구품도 감로도 업경대 석가모니불 발원문 팔공산 동화사 사적기 패다라(다라수) 잎으로 만든 경전 불조종파지도 16 나한상 아홉 마리 용이 달린 거북 모양 받침 <대구 동사(大丘桐寺)>가 새겨진 향로 용 모양 의식구 연꽃.연잎 모양 의식구 전패(주상전하수만세) 복장주머니 업경.. 대구 2009.07.03
국립대구박물관 실외 전시물 국립대구박물관(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구박물관 정도사터5층석탑(정도사 : 경상북도 칠곡군 약목면 약목역 일대) 기단의 명문 기단의 안상문 보당 보당의 용두 이수 석탑재(통일신라 8세기. 대구 백안동) 삼층석탑(고려시대 10새기. 대구 매여동) 문지방돌(경북 영주 소수서원) 옥산.. 대구 2009.07.03
정도사지오층석탑(淨兜寺址五層石塔보물 제357호 ) 정도사지오층석탑(淨兜寺址五層石塔보물 제357호 ) 원래 경상북도 칠곡군 정도사터에 있었던 5층 석탑으로, 1934년에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에 국립대구박물관으로 다시 옮겨 세워 놓았다. 기단(基壇)은 2단으로, 아래층 기단에는 각 면에 안상(眼象)을 3구씩 조각하였는데 무늬의 .. 대구 2009.07.03
대구도동측백나무숲(大邱 道洞 측백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호)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구도동측백나무숲(大邱 道洞 측백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호. 대구 동구 도동 산180 ) 측백나무는 중국 및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단양, 대구, 안동, 영양 등지에서 자라고 있다. 절벽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숲을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주변.. 대구 2009.07.01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新武洞三省庵址磨崖藥師如來立像) 신무동삼성암지마애약사여래입상(新武洞三省庵址磨崖藥師如來立像시도유형문화재 제21호 (동구)) 대구광역시 동구 신무동 암벽에 조각되어 있는 약사여래상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커다랗게 솟아있고, 귀는 길게 늘어져 있다. 불상의 어깨는 자연스럽게 처리되었고, 단조로운 .. 경상북도/팔공산 2009.06.30
불국사 대웅전의 앞의 석가탑과 다보탑은 왜 비대칭일까? 불국사에 가면 늘 하나의 의문점이 있었습니다. 대웅전의 앞의 석가탑과 다보탑은 왜 비대칭일까? 아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석가탑(검소하고) 대웅전(부처님) 다보탑(화려하고) 아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범영루(화려하고) 자하문 경루(검소하고) 청운교. 백운교..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6.29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八公山磨崖藥師如來坐像)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八公山磨崖藥師如來坐像 시도유형문화재 제3호 (대구.동구) ) 대구 팔공산 중앙봉의 정상 가까운 절벽에 새겨진 거대한 크기의 마애약사불상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이 큼직하며, 탄력있고 우아한 얼굴은 이목구비가 세련되고 단아하다. 둥근 어깨는 탄력있어 보이며, 허리는 잘록하게 표현되었다. 무릎에서 밖으로 내려뜨린 오른손과 무릎 위에 얹어 약 그릇을 들고 있는 왼손의 세련성 등은 이상적인 사실주의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왼쪽 어깨를 감싼 옷은 몸의 굴곡이 드러날 정도로 얇은 편인데 옷주름은 자연스럽고도 규칙적이며, 가슴에서 옷깃이 한번 뒤집히는 등 8세기 불상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광배(光背)는 불꽃이 타오르는 모습으로, 머리광배와 몸광배가 표현되어 있으며 연꽃무늬와 덩..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7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八公山東峰石造藥師如來立像)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八公山東峰石造藥師如來立像 시도유형문화재 제20호 (대구.동구)) 대구 팔공산 중앙봉의 정상에 위치하고 있는 전체 높이 6m에 달하는 거대한 석불입상이다. 얼굴은 두 볼이 풍만하고 입가에 약간의 미소를 띠고 있어서 자비스러움을 느끼게 한다. 신체에 비해 큰 오른팔..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7
민족저항 시인 이상화 고택 계산성당에 이상화 고택 가는 옛 골목 길 <이상화 연보> 1901 : (음)4/5 대구시 서문로 2가 12번지에서 부 이시우(李時雨)의 차남으로 출생. 1907~1918 : 8세 때 부친 작고, 이후 백부 이일우의 가내에 설치한 사숙에서 공부함. 1915~1918 : 경성중앙학교(현 중동) 입학, 수료함. 1919 : 3.1운동 당시 .. 대구 2009.06.24
국채보상운동의 거장 서상돈 고택 국채보상기념공원에 있는 서상돈 상 서상돈 : 민족운동가. 서울 출생. 가톨릭교도로 신유박해·기해박해 등의 고난으로 문중에서 쫓겨나고 여러 곳을 옮겨다닌 집안의 내력으로 어려서부터 생계를 위하여 일을 하였다. 1871년 대구에서 독학을 하며 지물(紙物) 행상과 포목상을 하였다. 18.. 대구 2009.06.24
동화사 비로암 동화사 비로암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높이 3.71m로 규모는 작으나 각 부분의 비례가 신라 석탑의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상륜부에는 노반, 복발, 보주만이 남아 있다. 탑신부의 옥개석과 옥신석은 각각의 돌로 만들었고 옥개석 받침은 각층 모두 4단이다. 기단은 2중 기단인데 하층 기..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4
동화사 염불암 염불암 가는 길의 돌탑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염불암 동화사염불암청석탑(桐華寺念佛庵靑石塔시도유형문화재 제19호 (동구) ) 동화사에 딸린 암자인 염불암 안마당에 서 있는 탑으로, 원래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청석탑이란 벼루를 만들던 점판암을 이용해 만든 ..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4
동화사 통일기원 약사대불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대지위치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33,34번지 지역지구 전통 사찰지역, 자연환경 보전지역, 공원지역 부지면적 33,050㎡ (10,000평) 불사착공일 1990년 10월 26일 통일약사대불 점안 대법회일 1992년 11월 27일 석조대불 규모 석조대불 높이 : 17m 석조대불 최대..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3
동화사 동화사입구마애불좌상(桐華寺入口磨崖佛坐像 보물 제243호) 동화사 입구 오른쪽의 암벽을 다듬어서 조각한 불상이다. 지상에서 높이 위치한 이 불상은 구름을 타고 하늘에서 내려오는 듯한 개성있는 모습이다. 얼굴은 부피감을 느낄 수 있는 비교적 풍만한 모습인데, 세부표현은 평면적.. 경상북도/팔공산 2009.06.23
양동마을 관가정 양동마을(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양동마을(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관가정(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사진이 ...) 관가정(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사진이 ...) 관가정(보물 제442호) 이 건물은 조선 성종(成宗) 때 이조판서를 지낸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