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총(薛聰)이 태어나 자란 천년고찰(千年古刹) 반룡사(盤龍寺) 九龍山 아래에 있다. 문무왕 원년(661)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라 왕을 비롯하여 왕녀가 이 절을 자주 찾아 불공을 드렸는데 그 고개를 ‘왕재’라고 한다. 고려 문종 때 천태종 고승 圓應國師가 중창하였으나 임란 때 大伽藍이 소실되었다. 인조 19년(1641) 戒云·明彦大師가 중창하.. 경상북도/경산 2009.04.08
고운사 등운산 고운사 일주문 일주문의 조계문 현판 일주문의 등운산 고운사 현판 일주문의 기둥(비툴 비툴한 기둥이 아주 멋짐) 천왕문 천왕문 현판 천왕문 내의 사천왕상 고불전 고불전 내의 석불 가운루 가운루 현판 가운루의 내부 가운루 내부의 가운루 현판 가운루 밑의 디딜방아 종각 고.. 경상북도/의성 2009.04.05
안동소호헌 (安東蘇湖軒) 안동소호헌(安東蘇湖軒보물 475호) 조선 중종 때 문신 서해(徐해) 선생이 서재로 쓰기 위해 명종(재위 1545∼1567) 때 지은 별당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부속된 방은 지붕 양식이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 경상북도/안동 2009.04.05
석굴암 석굴암 범종각 석굴암 일주문 석굴암 일주문의 현판 석굴암의 불상 우리는 무엇보다도 잊어서 안 될 작품으로 경주의 불상을 갖고 있다. 영국인은 인도를 잃어버릴지언정 세익스피어를 버리지 못하게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에게 무엇보다도 귀중한 보물은 이 석굴암의 불상이다. 고유섭..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동리목월문학관 불국사 정문에서 동리목월문학관으로 들어가는 길에 목련이 지천으로 피어 있습니다. 동리목월문학관 신라 천년 고도 경주가 배출한 소설가 김동리와 시인 박목월의 생애와 문학을 기려, 그 문학 정신을 가까이 느끼게 하는 곳으로, 2006년 3월 개관했습니다. 동리목월 영상관은 영상실과 창작교실, 자..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신라를 빛낸 인물관 아사달의 혼(魂) 사랑탑 건립문 화랑과 사진을 촬영하는 곳 신라인의 얼굴 신라장군의 모자 천마총 출토 금관 아도화상 위촉(이차돈) 안함 혜숙 의상 자장 혜공 원효 사파(사복) 표훈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김유신장군묘 김유신장군묘 가는 길의 벗꽃나무와 개나리 흥무문 김유신장군묘(사적 제21호 ) 경주 송화산 동쪽 구릉 위에 자리잡고 있는 신라 장군 김유신장군의 무덤이다. 김유신(595∼673)은 삼국통일에 중심 역할을 한 사람으로, 김춘추(후에 태종무열왕)와 혈연관계를 맺으며 정치적 발판을 마련하..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경주 석빙고(石氷庫) 석빙고 출입구 위의 석빙고(石氷庫) 각자 경주석빙고 내부 경주석빙고(慶州石氷庫 보물 제66호 ) 석빙고는 얼음을 넣어두던 창고로, 이 석빙고는 경주 반월성 안의 북쪽 성루 위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하고 있다. 남쪽에 마련된 출입구를 들어가면 계단을 통하여 밑으로 내려가게 되어 있..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경주월성 경주월성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 경주월성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 해자 해자 경주월성의 성안 경주월성(慶州月城 사적 제16호) 월성은 신라 궁궐이 있었던 도성이다. 성의 모양이 반달처럼 생겼다하여 반월성·신월성이..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4.01
만어사를 답사하고 만어산 등산 후 만어사 답사(동행이 즐거운 우리 일행. 삼랑진 작원관지- 만어산-만어사-영남루-박시춘선생 옛집-아랑각-무봉사를 답사하다)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기타/우리들의 증명사진 2009.03.25
밀양 영남루 밀양영남루(密陽嶺南樓 보물147호 ) 영남루가 최초로 창건된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1365년(고려 공민왕 14년)에 그 전부터 있었던 작은 누각을 철거하고 규모를 크게하여 개창하였다고 하며, 현재의 건물은 1834년(순조 34년)에 실화로 불타버린 것을 1844년(현종 10년)에 재건한 것으로 평양의 .. 경남 2009.03.25
만어사 밀양시 삼랑진읍 용전리 산 4번지 해발 670m 삼랑진읍 만어산(674m) 8부 능선에 위치하고 있는 만어사는 갖가지 신비한 현상을 간직하고 있습니다.만어사가 있는 계곡을 따라 수많은 바위들이 일제히 머리를 산 정상으로 향하고 있는 이 바위들은 오랜 옛날(가락국 시대) 이곳에 살던 나찰녀.. 경남 2009.03.25
밀양아리랑비(밀양시 내일동. 영남루와 인접) 밀양아리랑(송소희)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 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정든 임이 오시는데 인사를 못해 행주 치마 입에 물고 입만 방긋 아리아리랑 쓰리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고개로 넘어간다 울 너.. 경남 2009.03.24
사명대사 동상(밀양시 내일동 소재) 사명대사 동상(소재지 :밀양시 내일동. 밀양 영남루와 인접) 사명대사 유적지(http://tour.miryang.go.kr/01/04_01.php?pT_idx=15)에서 사명대사 일대기.사명대사 구비서사물. 사명대사 이야기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남 2009.03.24
파리장서(Paris長書) 비(碑) 파리장서비(Paris長書) 비(碑) 파리장서(Paris長書) 사건 : 1919년 1월에 세계평화회의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한국 유림대표 137명이 김창숙(金昌淑)으로 하여금 한국의 실정과 일본의 침략을 국제사회에 호소하기 위해서 글을 보낸 사건 경남 2009.03.24
밀양 천진궁 천진궁의 만덕문 천진궁 천진궁 현판 천진궁(天眞宮)은 영남루 경내의 북쪽에 있는 건물이다. 이 자리는 본래 현종 6년(1655년)에 부사(府使) 홍성구(洪聖龜)가 창건한 요선관(邀仙官)이었는데 이 건물은 본래 전패(殿牌)를 봉안한 공진관(拱辰館)의 부속 건물로서 경종 2년(1722년)경부터 공진관(拱辰館).. 경남 2009.03.24
아랑각 아랑의 억울한 죽음을 애도하고, 장미꽃보다도 더 검붉은 아랑 낭자의 정열을 연민하며 영남루 아래 죽림 속에 사당을 세워 혼백을 위로하는 곳입니다. 매년 밀양아리랑대축제 행사를 통하여 선발된 모범 규수들이 제관(祭官)이 되어 이곳 아랑각에서 음력 4월 16일 제향을 올리고.. 경남 2009.03.24
작곡가 박시춘선생 옛집 작곡가 박시춘선생 옛집 박시춘 [朴是春/1913.10.28~1996.6.30 본명 박순동(朴順東). 초기 필명 김상화(金尙和)] 트럼페터, 바이올리니스트, 색소포니스트, 기타리스트, 작사가, 작곡가. 경상남도 밀양 출생. 1929년 우라타[浦田] 연예단 시절 〈몬테카를로의 갓난이〉·〈어둠 속에 피는 꽃〉 등의 곡들을 발.. 경남 2009.03.24
작원관지 낙동강변의 절벽에 위치하여 부산 동래에서 한양에 이르기 위해서는 문경의 조령관과 함께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교통 및 국방상의 2대 관문이었다. 임진왜란 때 밀양 박진장군이 300여명의 병졸로 소서행장이 이끄는 18,000여명의 왜적을 맞아 작원관의 천험적인 지리를 이용하여 치열한 혈전을 벌이다 중과부적으로 패배한 처절한 역사의 전적지로 지금도 항전의 고함소리가 들려 올 듯한 애닯고도 유서깊은 전적지이다. (출처 : 밀양시청자료) 작원관 전투 : 1592년 임진왜란 초 부산진성과 동래성을 함락한 소서행장의 정예 제1군 18,700명은 낙동강을 따라 밀양으로 진군하였다. 4월 18일 밀양부사 박진은 300여명의 병졸과 약간의 수병, 지역주민들의 지원을 받아 이곳에 방어진을 구축하여 결사항전하였고 더 이상 북진.. 경남 2009.03.24
밀양 무봉사 영남루에서 무봉사로 가는 길 무봉사 비석군(가운데 비가 신라천년고찰무봉사사적비) 무봉사 일주문 무량문 무봉사 대웅전 강언덕에 우뚝 솟은 영남루와 밀양강과의 조화로 그림같은 풍경을 지닌 운치있는 사찰로 예로부터 시인 묵객들의 발걸음이 그치지 않았으며 경내에 소재한 보물.. 경남 2009.03.23
창녕 송현동 석불좌상 큰 바위에 앞면을 돌출되게 조각한 마애불(磨崖佛)로 바위 자체를 몸 전체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光背)로 이용하고 있다. 민머리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머리(육계)가 있으며, 둥근 얼굴에는 살이 통통하게 올라 온화한 인상을 풍긴다. 어깨는 넓게 떡 벌어져 있고, 팔과 가슴은 넓고 풍만하.. 경남 2009.03.18
창녕 교동고분군 창녕교동고분군(昌寧校洞古墳群 사적 제80호) 창녕읍 동쪽 목마산 부근 송현리 구릉에서 북쪽 교리에 걸쳐 있는 가야 무덤들로, 1918년 일본사람들이 일부 발굴하여 보고서도 없고 유물도 잃어버렸다. 1993년에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목마산 기슭 무덤 5기를 발굴조사하였다. 내부시설은 .. 경남 2009.03.18
창녕 만옥정공원(객사.진흥왕척경비.척화비.퇴천3층석탑.전승비. 현감비석) 바위에 창녕공원이라 각자 창녕객사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국보 제33호 ) 빛벌가야(지금의 창녕)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진흥왕이 이곳을 순수(巡狩:두루 돌아다니며 순시함)하며 민심을 살핀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당시 빛벌가야는.. 경남 2009.03.18
창녕석빙고 창녕석빙고(昌寧石氷庫 보물 제310호) 창녕군 명덕초등학교 맞은편 도로변에 언덕처럼 보이는 것이 이 석빙고이다.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해 두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로, 주로 강이나 개울 주변에 만들어진다. 서쪽으로 흐르는 개울과 직각이 되도록 남북으로 길게 위치하고 있으며,.. 경남 2009.03.18
창녕 직교리당간지주 창녕 직교리당간지주 직교리당간지주(直橋里幢竿支柱 문화재자료 제17호 (창녕군))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당이라는 깃발을 걸어두는데, 이 깃발을 다는 길다란 장대를 당간이라 하며,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드물.. 경남 2009.03.18
술정리서삼층석탑 창녕 술정리서삼층석탑 통일신라 석탑으로 2중기단 위에 세운 3층석탑이다. 상층기단(上層基壇)의 면석(面石) 중앙은 별도의 석재로 문비(門扉)가 새겨져 있으며, 위에는 양 우주(隅柱)가 조각되고 옥개(屋蓋)받침은 5단이다. 상층기단의 각 면석의 조각은 곡선의 아름다운 안상(眼象)이 새.. 경남 2009.03.18
청암사 청암사 일주문 일주문의 현판 불령산 청암사 청암사 사적비 청암사 사적비의 이수 대운당 비각. 회당 비각 회당 비 회당 비의 귀부 대운당 비 비석군 청암사 천왕문 청암사 천왕문의 사천왕탱 나무아미타불 각자 대방광불화엄경 각자 극락교 청암사 다층석탑 청암사 주지 대운대사가 청.. 경상북도/김천 2009.03.18
청암사 가는 길(경북 김천시 증산면) 선바위 사인암 쌍계사지(법당의 주춧돌. 증산면 소재지 일원이 쌍계사 절터라 함. 증산면사무소 뒷편) 김천시 증산면에는 쌍계사(雙溪寺)지가 있다. 증산면 면사무소와 면소재지 일원이 쌍계사지이다. 도선 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쌍계사는 청암사와 수도암을 산내 암자로 거느렸던 대.. 경상북도/김천 2009.03.17
1.21무장공비침투로 고랑포에서 서남쪽으로 3.5km지점에 위치한 무장공비침투로는 1968년 1월 17일 23시 북한군 제 124군 소속 김신조 외 30명이 남방 한계선을 넘어 침투한 곳이다. 북한은 당시 김신조 외 30명의 무장공비를 1968년 1월 21일 서울로 잠입시켜 대통령 관저(청와대) 폭파와 요인 암살 및 주요 기관 시.. 경기도 2009.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