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마 기념관 산방산 입구에 자리 잡은 청마기념관은 인간생명의 의지를 추구한 1930년대 문학인, 생명파 대표 시인인 청마 유치환 선생의 문학정신을 기리고 그 업적을 고양하기 위하여 2008년에 건립되었다. 그 옆에는 1908년 당시의 모습 그대로 복원한 아담하고 포근한 초가집의 청마생가가 자리 잡고 있다. 청마.. 경남 2009.05.21
청마 유치환선생 생가 청마는 서기 1908년 7월14일(음력)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507번지(당시 통영군)에서 태어났다. 둔덕면은 진주 유(柳) 씨 집성촌으로서 청마의 8대 조부가 둔덕에 이주해 정착함으로서 촌락을 이뤘다. 청마의 부친 유준수(柳焌秀) 씨는 둔덕면 방하리에서 한약국을 경영하던 박현석 씨의 박약.. 경남 2009.05.21
거제도 산방산 비원 거제도 산방산 산방산은 둔덕면 산방리 뒷산으로 507.2m의 정상에는 큰 바위산 세 개가 하나의 산봉우리를 이루고 있으며, 삼봉이 우뚝 솟아 괴암괴석이 만물상을 이루고 가을 단풍이 곱게 물들면 천태만상의 대자연의 경관과 멀리 바라다 보이는 다도해의 한산섬과 서산 낙조, 멀리 보이.. 경남 2009.05.21
관룡사 위의 사진을 클릭하시면 원본사진이... 해발 739m의 관룡산 서남에 위치하고 있는 관룡사는 산내에 전하는 석조불상 등으로 미뤄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되지만 그 창건 경위에 대해서는 자세하지 않다. 이후 조선 태종 원년(1401)에 대웅전이 건립되어 있었으나 임진왜란.. 경남 2009.05.21
창녕 영산 법화암과 다층석탑 창녕 영산 법화암을 품은 영축산 법화암 현판 영산 법화암 다층석탑(靈山法華庵多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69호 (창녕군)) 법화암 경내에 있는 고려시대 다층석탑으로, 통일신라말에서 고려초에 유행한 청석탑(靑石塔) 또는 와탑(瓦塔)의 형태를 띠고 있다. 본래 영취산 위 보림사 소속 암자에 있던 것.. 경남 2009.05.20
개혁가 신돈이 태어나고 자란 옥천사지(창녕 화왕산 관룡사 입구에 있음) 신돈이 자랐다는 전하는 옥천사지는 언제 창건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신돈이 처형되자 마자 이 절도 함께 폐사 되었다. 절은 폐사 되었으나 그 당시 절의 규모가 매우 큰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넓은 터에는 현재도 여러 석재들이 발견되고 있다. 옥천사지의 연화문 대석 옥천사지의 폐탑재 옥천사지.. 경남 2009.05.20
영산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 靈山九溪里 石造如來坐像 도유형문화재 제9호) 영산 구계리 석조여래좌상 ( 靈山九溪里 石造如來坐像 도유형문화재 제9호) 불상과 광배가 하나의 석재로 조각된 이 석불좌상은 적조사(寂照寺)의 유물로 추측된다. 마멸(摩滅)이 심해 구별이 어려우나, 큼직한 육계(肉髻)와 얼굴에 나타난 코가 특색이며, 처진 두 어깨, 좁은 무릎과 폭, 입체감 없는 .. 경남 2009.05.19
영산석빙고(靈山石氷庫 사적 제169호 ) 영산석빙고(靈山石氷庫 사적 제169호 ) 화강석으로 쌓은 조선 중기의 얼음창고이다. 정확한 축조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지도서』와 조선 후기의 읍지에 따르면 현감 윤치일이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들어가는 입구가 높고 뒤로 갈수록 낮은,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다. 내부.. 경남 2009.05.19
영산만년교(靈山萬年橋 보물 제564호 ) 영산만년교(靈山萬年橋 보물 제564호 ) 마을 실개천 위에 무지개 모양으로 만들어 놓은 돌다리로, 실개천이 남산에서 흘러내린다 하여 ‘남천교(南川橋)’라고도 불리운다. 개천 양쪽의 자연 암반을 바닥돌로 삼고 그 위에 잘 다듬어진 화강암 석재를 층층이 쌓아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를 이루고 .. 경남 2009.05.19
창녕군 영산면의 연지 연산면의 연지 위의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사진이... 풍수지리설에 의하여 영산의 화재를 막으려고 오래 전에 영산현의 서쪽에 못을 조성하여 내려왔는데 고종 29년(1892) 현감 신관조공이 만년교를 중수하고 못의 넓이를 지금의 크기로 확장하였다. 연지의 주변 못둑에 수영버들을 심고 못에는 5개의 섬.. 경남 2009.05.19
창녕 탑금당치성문기비 (昌寧 塔金堂治成文記碑 ) 창녕 탑금당치성문기비(昌寧 塔金堂治成文記碑. 보물 제227호. 통일신라(헌덕왕2년: 810년)) 일명 인양사(仁陽寺) 비상(碑像)이라고도 하는데, 인양사의 금당(金堂) 후편에 세워진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이 일대의 전답에서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로 인정되는 문양의 기와 조각이 많이 발.. 경남 2009.05.19
신무동마애불좌상(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부인사 계곡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이 불상은 지상에 노출된 큰 바위 위에 돋을새김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길쭉한 얼굴은 풍만감을 주고 있다. 어깨는 당당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경직된 모습의 옷주름이 표현되었다. 손은 오른손을 위로 들어.. 경상북도/팔공산 2009.05.17
하회마을 주차장 근처에 있는 하회마을 식당가 및 기념품 가게 주차장에서 하회마을 가는 오솔길 엘리자베스여왕 방문 기념관 여왕의 생일상 여왕의 사인(봉정사의 기와) 하회마을 초입 안동하회마을(安東河回마을 중요민속자료 제122호 ) 풍산 유씨의 씨족마을로 유운룡·유성룡 형제 대(代)부터.. 경상북도/안동 2009.05.14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 제260호 ) 만대루에서 본 입교당(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 제260호 )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 경상북도/안동 2009.05.13
내원사 클릭하면 원본사진이... 대한불교조계종 제15교구의 본사인 통도사(通度寺)의 말사이다. 6·25전쟁 때 완전히 소실된 것을 1955년부터 주지 수옥(守玉)이 13동의 건물을 재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 당우로는 선나원(禪那院)·심우당(尋牛堂)·불유각(佛乳閣) 등이 있다. 전국의 대표적인 비구니 .. 경남 2009.05.12
박제상 유적지(시도기념물 제1호. 울주군) 위치 : 울산 두동면 만화리 산30-2 이곳은 신라 충신(忠臣) 박제상(朴堤上)과 그의 부인을 기리기 위해 세웠던 사당의 터이다. 박제상은 신라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의 후예이다. 눌지왕(訥祗王 : 재위 417∼458)이 임금이 된 후,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잡혀 있던 두 동생을 몹시 보고 싶어했다. .. 울산 2009.05.11
오릉 오릉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신라오릉정화사업기념비 신라오릉(新羅五陵 사적 제172호 ) 경주시내 평지 서남쪽에 위치한 4기의 봉토무덤과 1기의 원형무덤이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시조 박혁거세와 제2대 남해왕, 제3대 유리왕, 제5대 파사왕 등 신라 초기 4명의 박씨 임금과 혁거세.. 경주/경주인근자료 2009.05.03
부처님오신 날의 통도사(2009.5.2) 부처님 오신 날의 통도사 이모 저모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통도사 괘불 통도사 괘불 대웅전 참배하기 위하여 줄도 서고 ... 금강계단의 헌다례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통도사 옛 사진(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이 ...) 통도사.만어사.사명대사 생가 동영상 경남 2009.05.03
상족암 군립공원 위의 사진 클릭시 원본사진 위의 사진 클릭시 원본사진 위의 사진 클릭시 원본사진 위의 사진 클릭시 원본사진 상족암 보행렬이 긴 용각류 공룡발자국 초식공룡 조각류 발자국 암맥 병풍바위 주상절리 공란구조 상족암 연흔구조(물결자국) 층리 초식공룡인 용각류 발자국 상족암 선녀탕 상족암의 상.. 경남 2009.04.27
2009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에서 수영함(퇴역함) 공개 수영함(LST-677)은 대한민국 해군 상륙함이다. 수영함은 구 미해군 케인 카운티(USS LST-853)이다. 1944년 미국에서 건조돼 2차 세계대전 당시 오키나와 상류작전 등에 참전했고, 지난 1964년부터 월남 파월장병을 수송해 오다 2005년 12월 말 퇴역한 전장 99m, 폭 15.3m, 4080t 규모의 군함인 수영함을 해군으로부터 .. 경남 2009.04.27
2009 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 주 제 : "놀라운 공룡세계 상상" 기 간 : 2009. 3. 27 ~ 6. 7(73일간) 장 소 경남 고성군 회화면 당항포관광지 (특별행사장 : 상족암 군립공원) 개장시간 09:00 ~ 19:00, 금.토.일 09:00 ~ 20:00 주 최 : 경상남도 고성군 주 관 : (재)경남고성공룡세계엑스포조직위원회 후원기관 교육과학기술부, 외교통상부, 행정안전부.. 경남 2009.04.27
팔공산 은해사의 일명 돌구멍 절이라 불리는 중암암 중암암 들어가는 길 좁은 돌구멍(천왕문)을 통과하면 중암암 중암암에서 본 광경 일명 돌구멍 절이라 불리는 중암암은 삼국을 통일한 김유신 장군이 수련한 곳이다. 세 살 먹은 어린이가 흔들어도 흔들린다는 건들바위, 만년을 살았다는 만년송, 우리나라에서 제일 깊다는 해우소, 이런 것들이 유명하.. 경상북도/팔공산 2009.04.22
영천 은해사의 운부암 운부암은 711년 성덕왕 10년에 의상 스님이 창건하였다. 천년 전에 창건할 당시 상서로운 구름이 일어났다고 하여 그렇게 명명되었다는 운부암은 어쩌면 면벽참선 (벽을 향하여 앉아서 수도하는 방법)하는 수도 방법을 통하여 속세의 모든 영욕을 저 뜬구름에다 비유하고 스스로가 해탈하.. 경상북도/팔공산 2009.04.22
읍내동(안양동) 마애불 대구 북구 읍내동(안양동) 마애불 화강암(花崗岩)으로 병풍처럼 된 바위에 불상(佛像)과 함께 왼쪽에는 탑(塔), 오른쪽에는 관음보살상(觀音菩薩像) 협시보살 성중 비구 등을 조각해 놓았다. 신라시대(新羅時代)의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는 조각된 상태가 분명하지 못하다. 원래는 이곳이 못이었는데 .. 대구 2009.04.21
마곡사 백련암 백범 김구선생이 머무시던 곳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백련암 백련암 현판 백련암 관세음보살(향 우측에 백범 김구선생의 사진이 있음) 산신각 산신탱화 백범 김구선생 은거지 백련암 마애불(한가지 소원은 꼭 이루어진다는 전설이 있음) 마애불에서 백련암.. 충남 2009.04.17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805호) 보수 공사 중 북지장사의 벗꽃 구경가니 대웅전(보물 제805호) 보수공사 중... 북지장사 정문 1980년대 촬영한 사진 북지장사대웅전(北地藏寺大雄殿 보물 제805호 ) 북지장사는 신라 소지왕 7년(485)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조선 인조 원년(1623)에 지은 건물로 원래 극락전 또는 지장전.. 경상북도/팔공산 2009.04.17
백촌 김문기선생 유적비와 태충각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 태충각의 정면인 유의문 유의문 현판 태충각(대구 북구 노곡동 201) 특성 : 비각은 정면 3칸 측면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조선시대 단종 때 충신인 백촌 김문기선생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충의공 김백촌 유적비를 세우면서 비의 보호하기 위해 1900년(고종 37.. 대구 2009.04.14
천년고찰 환성사 성전암 환성사의 屬庵이다. 本寺에서 북쪽으로 난 산로를 따라 400m 오르면 산허리를 잘라 동서로 길게 담장을 두르고 전각이 배치되어 있다. 법당 안에는 2축의 퇴락한 幀畵가 걸려있는데 1축은 後佛幀畵로 畵記에 「光武三年己亥三月二十日奉安環城寺聖殿菴…」의 墨書가 있고 다른 1축이 탱.. 경상북도/경산 2009.04.12
천년 고찰 환성사 환성사 일주문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흥덕왕 10년(835)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했다. 고려 말에 불탄 것을 인조 13년(1635) 신감대사(神鑑大師)가 중건하였고 광무 1년(1897) 亘月大師가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대지를 크게 3단으로 .. 경상북도/경산 2009.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