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남문(豊南門) 풍남문(豊南門 보물 제308호 ) 조선시대(朝鮮時代) 관찰사(觀察使)의 소재지(所在地)였던 전주에는 시가지를 둘러싼 성곽(城郭)이 초기부터 있었으며, 그 성곽에는 동서남북(東西南北)에 각각 문(門)이 있었는데 선조(宣祖) 30년(1597) 정유재란(丁酉再亂)때에 모두 파괴되었다. 성곽과 성문이 다시 수축(.. 전북 2008.11.22
전주 전동성당 전주전동성당(全州殿洞聖堂 사적 제288호 ) 이 성당은 1908년 본당의 보드레 윤신부가 성전을 짓기 위하여 저축한 돈으로 서울의 명동성당(당시 종현성당) 내부설계자인 박신부(Victor Poisnel)에게 의뢰하여 설계도를 마련하고, 중국인에게 청부를 주어 공사감독하여 기공한지 7년만인 1914년에 준공되었다... 전북 2008.11.22
경주삼랑사지당간지주(慶州三郞寺址幢竿支柱) 경주삼랑사지당간지주(慶州三郞寺址幢竿支柱 보물 제127호 ) 절에 행사가 있을 때 절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이 깃발을 달아두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며, 장대를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삼랑사터에 남아 있는 이 당간지주는 서로 멀리 떨어져 세워져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8.11.19
장산 토우총 장산 토우총 부근의 고분들 장산토우총음 경주시 서악동의 장산 남동쪽 구룡 끝에 부분에 위치하고있으며 이유적은 통일 신라시대 의 돌방무덤 으로 봉분의 지름은 10cm 높이가.7m이다. 여기에서 출토된 유물은 항아리와 사발 토기종류 가 대부분이고 특히 널방의 바닥 네모서리에 나온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8.11.18
보경사 보경사는 웅장하고 수려한 중남산을 등에 업고 좌우로 뻗어난 내연산 연봉에 둘러싸여 있으며, 12폭포로 이름난 그윽한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시냇물을 껴안고 포근하게 배치되어있다. 신라 진평왕 25년(602)에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온 대덕지명 법사가 왕께 아뢰어 「동해안의 명산에서 명당을 찾.. 경상북도/포항 2008.11.18
구황동 목탑지 구황동 목탑지(경주시 구황동 482번지) 경주 낭산의 서북쪽에 1965년 신라문화동인회에서 발견한 목탑지가 있다. 목탑지는 높이 약 1m, 1변이 약 12m의 평탄한 방형 토단을 마련하고 그 위에 자연석으로 상부를 8각형으로 다듬은 심초석을 놓았다. 심초석은 상면에 연화문을 장식하고, 가운데 너비 27cm, 깊이 5cm의 방형 턱과 그 안에 지름 17cm, 깊이 23cm의 사리공을 두었다. 이 목탑지를 발견할 당시에는 석등대석과 기와조각들이 흩어져 있었으나 지금은 정비되어 흔적이 없다.(慶州市史3) 2020.12.22 구황동 목탑지 경주/경주인근자료 2008.11.18
경주 황복사지(慶州 皇福寺址) 경주구황리삼층석탑(慶州九黃里三層石塔 국보 제37호 ) 신라 신문왕이 돌아가신 후 그 아들인 효소왕이 아버지의 명복을 빌고자 세운 탑으로, ‘황복사지석탑’으로 불리기도 한다. 2단의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며, 감은사지삼층석탑(국보 제112호)이나 고선사지.. 경주/경주인근자료 2008.11.18
오도재(지리산 제1문) 마천면 삼정리 영원사(靈源寺) 도솔암에서 수도하던 청매(靑梅) 인오조사(印悟祖師)(서기1548~1623년의 西山의 弟子)께서 이 고개를 오르내리면서 득도한 연유로 오도재라는 이름을 얻었다. 오도재(773m)는 삼봉산(1,187m)과 법화산(991m)이 만나는 지리산 관문의 마지막 쉼터로 예로부터 영남학.. 경남 2008.11.18
장보고유적지 청해진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사적 제308호 )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섬인 장도에 있다. 당시 이곳은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장보고(?∼846)는 평민 출신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장군.. 전남 2008.11.18
상림 상림(천연기념물 제154호 ) 상림은 함양읍 서쪽을 흐르고 있는 위천의 냇가에 자리잡은 호안림이며 신라진성여왕때 고운 최치원 선생이 함양태수로 있을 때에 조성한 숲이라고 전한다. 당시에는 지금의 위천수가 함양읍 중앙을 흐르고 있어 홍수의 피해가 심하였다고 한다. 최치원선생이 뚝을 쌓아 강.. 경남 2008.11.18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 녹우당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사적 제167호) 고산 윤선도가 살았던 집으로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3)이 연동에 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집터 뒤로는 덕음산을 두고, 앞에는 벼루봉과 그 오른쪽에 필봉이 자리잡고 있는 명당 자리에 위치하고 있다. 대문을 .. 전남 2008.11.18
상족암 군립공원 상족암 군립공원 하이면 덕명리, 월흥리에 위치한 상족암군립공원은 남해안 한려수도를 한눈에 바라볼 수 있고 해면의 넓은 암반과 기암절벽이 계곡을 형성한 자연경관이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루고 있는데 우리 나라의 8대 불가사의 중 하나인 이곳은 바위가 밥상다리 모양을 하고 있다는 데서 그 이.. 경남 2008.11.15
천전리 공룡발자국 화석과 반고사지(磻高寺址)의 폐탑 천전리각석 부근 천전리각석 부근 반고사지(磻高寺址)의 폐탑 반고사는<삼국유사> '낭지승운 보현수(朗智承雲 普賢樹, 낭지의 구름을 부르는 지위와 보현수) 조에 "원효가 반고사에 있을 때..."라는 구절에 나오는 그 반고사로 추정되는 절. 반고사지에서 발견된 불상은 부산대학교로.. 울산 2008.11.15
신숭겸장군 유적지 파계사 방면으로 401번 버스가 지나다가, 파군재 삼거리에서 파계사쪽으로 120여m쯤 가면 조그만 지묘교 다리가 보인다. 다리 건너 우측 동화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면 우뚝 솟은 홍살문이 이곳이 유적지임을 알려준다. 또한, 뒤편으로 가는 길은 104, 105, 131번을 타고 파군재 삼거리를 지.. 대구 2008.11.14
식영정(息影亭) 식영정(息影亭 지방기념물 제1-1호)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으로 특이한 것은 한쪽 귀퉁이로 방을 몰아 붙이고 전면과 측면을 마루로 두고 있다. 명종 15년(1560) 서하당 김성원(棲霞堂 金成遠, 1525-1597)이 창건하여 장인(丈人)인 석천 임억령(石川 林憶齡, 1496-1568)에게 증여한 것이다. 식영정 바로 곁.. 전남 2008.11.14
송강정(松江亭) 송강정(松江亭 지방기념물 제1-2호) 송강 정철은 선조17년(1584)에 대사헌(大司憲)이 되었으나 동인들이 합세하여 서인을 공박함이 치열해지자 마침내 양사(兩司)로부터 논척(論斥)을 받아 다음해 조정을 물러나자 이곳 창평으로 돌아와 4년 동안을 평범한 인간으로서 또한 시인으로서 조용한 은거생활.. 전남 2008.11.14
면앙정 면앙정(지방기념물 제6호) 면앙정 송순(宋純)(1493-1583)의 자(字)는 수초(守初), 호(號)는 기촌(企村), 면앙정으로 성종 24년(1493) 담양군 봉산에서 출생하였다. 중종 14년(1519) 별시문과(別試文科) 을과(乙科)에 급제하여 이후 명종2년(1547) 주문사(奏聞使)로 북경에 다녀왔으며 이후 개성부유수(開城府留守).. 전남 2008.11.14
담양읍 오층석탑 담양읍오층석탑 (潭陽邑五層石塔 보물 제506호) 담양읍에서 순창으로 향한 도로를 따라 1km쯤 올라가다 보면 평지가 전개되는데 광활한 지역에 경영된 가람(伽藍)으로 짐작된 들 가운데에 절터의 흔적은 찾아 볼 길이 없고 다만 이 오층석탑만 남아 있다. 탑의 형태는 1층 기단에 오층석탑으로 일반형과.. 전남 2008.11.14
담양읍 석당간 담양읍 석당간 (潭陽邑 石幢竿 보물 제505호) 담양읍에서 동쪽으로 순창행 도로를 따라 1km쯤 가면 논 가운데 오층석탑(보물 제506호)이 있고 그 왼편으로 석당간 1기가 양호한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 단층 기단 위에 지대석을 겸하는 장방형으로 상면이 약간 경사졌을 뿐 측면에 아무런 조식이 없으며 정.. 전남 2008.11.14
평사리 최참판댁 평사리의 들판(무딤이들)지리산 거대한 능선이 남으로 가지를 친 남부능선의 대미에 해당되는 성제봉 아래 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진다. 미점리 아미산 아래에서 동정호까지의 넓은 들판, 만석지기 부자를 서넛은 낼만 한 악양 '무딤이들'이 그것이다.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토지」의 .. 경남 2008.11.12
표충비와 홍제사 조선 영조 때(1742년) 사명대사 5대 법손이 당대의 명재상과 명유를 찾아다니며 비문과 글씨를 얻어 경주산의 검은 대리석에 사명대사의 한평생 행적과 임란시 구국의 충렬을 찬양한 내용, 서산대사, 기허대사의 공적과 사적을 새긴 비각이다. 국가의 큰 사건이 있을때를 전후하여 .. 경남 2008.10.26
사명대사생가터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일대는 학계 등 전문가들의 고증을 통해 “사명대사 유적지”로 선정되어 지난 1992년 10월 지방기념물 제11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은 수백년 동안 풍수사(風水師)들이 찾아와 전하기를 뒷산은 천리를 달려온 목마른 말이 엎드려 물을 먹는 형상이요, 주.. 경남 2008.10.26
영산정사 영산정사는 무안면 가례리에 위치한 조계종 사찰로 탑의 형태로 지어진 7층 성보박물관이 있으며,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는 유물은 진신사리 100만과와 10만 패엽경 그리고 2천여점의 각국의 불상이 전시되어 있어 불교에 관한 많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곳입니다. 그리고 높이 3.9m, 둘레가 8.5m, 무게 27톤.. 경남 2008.10.26
사명대사 유적지(사명대사 기념관) 밀양시 무안면 고라리 399번지 일대는 학계 등 전문가들의 고증을 통해 “사명대사 유적지”로 선정되어 지난 1992년 10월 지방기념물 제11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이곳은 수백년 동안 풍수사(風水師)들이 찾아와 전하기를 뒷산은 천리를 달려온 목마른 말이 엎드려 물을 먹는 형상이.. 경남 2008.10.26
밀양호 밀양시 단장면 고례리 밀양 다목적댐은 밀양시 동쪽 16km 지점인 밀양강 지류 단장천에 콘크리트 차수벽형 석괴댐으로 밀양,양산 및 창녕지역의 용수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홍수조절을 위해 개발한 다목적 댐입니다. 댐의 유역면적은 95.4㎢으로 1991년 11월에 착공하여 2000년도에 완공하였으며 아름다.. 경남 2008.10.26
금시당 백곡재(今是堂栢谷齋) 금시당백곡재(今是堂栢谷齋. 문화재자료 제228호 (밀양시)) 금시당과 백곡재 2채로 된 건물이다. 금시당은 조선시대 문신인 금시당 이광진 선생이 말년에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을 교육시키기 위해 지은 건물이다. 이광진(1517∼?)은 명종 1년(1546)에 문과에 급제하여 『중종실록』, 『인.. 경남 2008.10.26
추원재(점필재 김종직선생 생가) 추원재(追遠齋 문화재자료 제159호 (밀양시) ) 조선 전기 문신이자 학자인 김숙자(1389∼1456) 선생이 터를 잡고 그의 아들인 김종직(1431∼1492) 선생이 평생을 보낸 집터이다. 김숙자 선생은 12세 때부터 길재에게 글을 배우고 세종 1년(1419) 문과에 급제한 뒤 현감 등의 벼슬을 지냈다. 16세기 성리학을 보급하고 사림이 확립한 도통(道統)의 계보에서 길재의 학문을 그의 아들인 김종직으로 하여금 잇게 하였으며, 김종직은 현재 성리학의 거두(巨頭)로 인정받고 있다. 이 건물은 여러 차례 전쟁을 겪으면서 파손된 것을 순조 10년(1810) 사림들과 그의 후손들이 다시 고쳐 세운 것이다(출처 : 문화재청) 고령 대가야박물관에 있는 점필재 김종직선생 관련 유물 김종직선생의 유품으로는 당 후일기.. 경남 2008.10.26
우포늪 우포늪은 다양한 습지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우리나라 최대의 내륙 자연늪으로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연중 1m - 2m의 낮은 수심을 유지하는 곳으로 면적에 비해 종다양성이 대단히 높은 지역이다. 이러한 원인은 정수 환경원인 우포, 목포, 사지포, 쪽지벌의 늪지와 토평천이 있으며 각 늪.. 경남 2008.10.17
망우당 곽재우장군 생가.의령 세간리 현고수.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宜寧 世干里 懸鼓樹(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493호.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1000 )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마을에는 .. 경남 2008.10.17
충익사 의병교를 건너면 양쪽 기둥을 세워 둥근 고리로 층층이 쌓은 의병탑이 남산의 푸른 숲을 뚫고 그 위용을 자랑한다.1972년 군민의 성금으로 건립하였으며, 탑의 18개 백색고리는 곽재우장군과 17장령을 상징하고, 양기둥은 전의충전하는 의병의 햇불을 상징함 충의문 다포팔작식 목조건물.. 경남 2008.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