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매산 철쭉 2015년 5월 6일 촬영한 사진입니다.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하늘과 맞닿을 듯 드넓은 진분홍빛 산상화원이 매년 5월이면 황매산에 펼쳐집니다. 황매산(1,108m)은 소백산과 바래봉과 함께 철쭉 3대 명산으로, 만물의 형태를 갖춘 모산재의 기암괴석과 북서쪽 능선의 정.. 경남 2015.05.06
산청군 반공유격전적비 경남 산청군 반공유격전적비 제막식이 2011년 6월 6일 시천면 사리마을에서 강순경 시천면장과 조성환 군의원, 손성환 시천면경우회회장, 박태열 시천면이장단 회장, 경우회회원과 유가족, 지역주민 등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반공유격전적비는 한국전쟁 당시 마을을 지키기 .. 경남 2014.10.26
국화향 가득한 지리산 피아골 연곡사(鷰谷寺) 위치 :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피아골로 774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에 있는 연곡사는 544년(백제 성왕 22년)에 화엄사종주 연기조사가 창건하였으나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습니다. 1981년부터 복원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경내에는 동부도, 북부도가 국보로 연곡사삼층석탑, 현.. 경남 2014.10.25
산청 전 구형왕릉(山淸 傳 仇衡王陵). 산청 덕양전(山淸 德讓殿) 산청 전 구형왕릉(山淸 傳 仇衡王陵.사적 제214호.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산16번지) 가야 10대 임금인 구형왕의 무덤으로 전해지고 있는 돌무덤으로, 구형왕은 구해(仇亥) 또는 양왕(讓王)이라 하는데 김유신의 증조부이다. 521년 가야의 왕이 되어 532년 신라 법흥왕에게 영토를 넘겨줄 .. 경남 2014.10.25
거창 사선대(四仙臺) 거창 사선대(四仙臺)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월성리(월성계곡) 거창에서 30㎞거리에 있는 사선대는 옛 원학동 산수의 백미다. 월성에서 황점가는 중간 도로변에서 사선담을 굽어보는 모습은 마치 자연이 창출해 낸 삼층석탑 같다. 석탑의 아래 기단에 해당되는 곳에는 전서체로 사선대.. 경남 2014.09.22
거창 가섭암지 마애여래삼존입상(居昌 迦葉庵址 磨崖如來三尊立像) 위천면 상천리 금원산(1353m) 지장암골 어귀의 문바위는 가섭사 일주문에 해당하는 바위이다. 절을 수호하는 신장바위인 것이다. 바위 크기를 고층아파트에 비교한다면 아파트 3층 높이쯤 된다. 국내에서는 단독바위로서 제일 큰 바위로 알려져 있다. 바위의 모양새도 아름답고 위엄스러.. 경남 2014.09.21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居昌 上林里 石造菩薩立像) 거창 상림리 석조보살입상(居昌 上林里 石造菩薩立像. 보물 제378호. 경남 거창군 거창읍 미륵길 19-61 (상림리))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전체 높이 3.5m의 거대한 보살상으로 연꽃이 새겨진 8각의 대좌 위에 서 있다. 이 부근에 건흥사라는 절이 있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그 절에서 모시던 보살.. 경남 2014.09.20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居昌 陽平里 石造如來立像)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居昌 陽平里 石造如來立像. 보물 제377호.경남 거창군 거창읍 노혜3길 6-33 (양평리)) 이 불상이 서 있는 부근에 금양사(金陽寺) 혹은 노혜사(老惠寺)라고 부르는 절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불상의 주위에 주춧돌이 남아 있고, 불상 앞에 석등 재료가 흩어져 있는 것.. 경남 2014.09.20
용암정(龍巖亭) 및 거창 용암정 일원(居昌 龍巖亭 一圓) 용암정(龍巖亭)으로 답사 가는 사람들 용암정(龍巖亭.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53호. 경남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 63번지) 용암정은 조선 순조 1년(1801)에 용암 임석형(1751∼1816) 선생이 바위 위에 지은 정자이다. 임석형이 지은 『용암정 창건기』와 이휘준의 『중수기』에 기록된 내용을 보.. 경남 2014.09.19
밀양 박익 벽화묘(密陽 朴翊 壁畵墓) 밀양 박익 벽화묘 (密陽 朴翊 壁畵墓) 밀양 박익 벽화묘(密陽 朴翊 壁畵墓.사적 제459호.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 산134번지 내) 경남 밀양시 청도면 고법리의 밀성박씨 묘역의 능선 경사면에 위치하고 있는 밀양 고법리 박익 벽화묘는 석인상, 갑석, 호석을 갖춘 방형분으로서, 봉분은 가.. 경남 2014.07.14
밀양연꽃단지 밀양연꽃단지(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78번지) 밀양연밭은 밀양연극촌 주변 70,772제곱미터 규모의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사업 일환으로 아름다운 가산숲과 밀양연극촌의 상생효과를 높이고 시민과 관광객에게 편안한 쉼터와 연꽃·수변식물·수서곤충 관찰 및 연잎·연실·연근.. 경남 2014.07.13
합천영상테마파크 위치 : 경남 합천군 용주면 가호리 418, 합천영상테마파크 (새주소) 경남 합천군 용주면 합천호수로 757, 합천영상테마파크 2004년도에 건립한 합천영상테마파크는 1920년대에서 1980년대를 배경으로 하는 국내 최고의 특화된 시대물 오픈세트장으로 드라마 <각시탈>, <빛과 그림자>, &.. 경남 2014.06.25
보리암전(前)삼층석탑-"자기난리(磁氣亂離)". 방위가 사라지는 곳 보리암전(前)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74호.경남 남해군 상주면 보리암로 665 (상주리) ) 보리암이라는 암자와 가까운 남해금산 꼭대기에 자리하고 있어, ‘보리암전(前)삼층석탑’이라 불리고 있는 3층 석탑으로, 주변의 경치가 너무나 빼어나 더욱 유명해졌다. 2층 기단(基壇) 위.. 경남 2014.06.21
옥포대첩기념공원 거제시 옥포 2동에 위치한다. 1592년 4월 13일 왜군의 침공에 의해 시작된 임진란 초기에는 왜군의 파죽지세로 진행되나, 5월 7일 전라 좌수사였던 이순신 장군이 경상우수사 원균과 함께 현재 대우조선이 위치한 옥포만에서 침략 행위중이던 왜선 50여척 중 26척을 격침시켰다. 이른바 옥포.. 경남 2014.05.31
거제도에서 본 해금강(갈도.칡섬)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 해금강마을 남쪽 약 500m 해상에 위치한다. 두개의 큰섬으로 연접한 거제해금강은 한려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1971년 명승2호로 지정되었다.원래 이름은 갈도(칡섬)로서 지형이 칡뿌리가 뻗어내린 형상을 하고 있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며 갈도보다 남해의 금강산을 .. 경남 2014.05.29
거제도 도장포마을의 신선대 도장포 마을 우측에 폐교된 초등학교 분교 옆 오솔길로 내려가면 신선대가 나온다. 신선대는 바닷가에 큰 바위가 자리를 틀어잡고 있는 형상인데 그 주변의 해안경관과 더불어 경치가 아름다운 곳이다. 연흔(漣痕):연흔(漣痕)은 지질학에서 해류나 파도, 바람에 의해 생기는 퇴적 구조 경남 2014.05.29
거제도의 바람의 언덕 경남 거제시 남부면 해금강마을 가기 전 도장포 마을이 있다. 좌측으로 내려가면 도장포 유람선선착장이 있어 외도.해금강 관광을 할 수 있으며, 매표소에서 바라다 보이는 언덕이 바람의 언덕이다. 이곳은 잔디로 이루어진 민둥산이며 바다가 시원스레 바라다 보이는 전망이 좋은 곳이.. 경남 2014.05.28
옥전 M1호분 출토 로만글라스(Roman glass. 유리잔琉璃盞) 삼국시대에 유리는 팔찌와 목걸리용의 장신구, 그리고 의식기(儀式器)나 사리장치로도 사용되었다. 유리잔은 주로 신라의 대형 무덤에서 출토되는데, 경주 금관총에서는 2점의 유리잔이, 금령총에서는 2점의 유리주발이, 서봉총에서는 암청색의 반투명 기포유리로 된 유리주발과 유리제.. 경남 2014.05.18
광암정(廣巖亭) 광암정(廣巖亭.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 101호.경남 합천군 대병면 회양리 805-8, 700-19) 조선 고종 21년(1884) 매와거사 권정기가 중추원 의관을 지낸 아버지 권병덕을 위하여 지은 정자로, 아버지의 호를 따서 광암정이라 하였다. 원래는 경관이 수려한 황강변의 자연암반 위에 운치있게 서 있.. 경남 2014.05.17
무학왕사(無學王師) 출생사적지(出生史蹟址) 및 합천무학대사유허지(陜川 無學大師 遺墟址) 위치 : 경상남도 합천군 대병면 성리 산 31 합천 출생 왕사무학(王師無學) 무학대사는 서기(1327- ) 이곳 탑동에서 출생하였으며 이름은 자초(自超)요 호가 무학이다. 18세에 출가하여 경기도 파평 용문산 용문사에 들어가 헤명국사에게 법을 배운 후 묘향산. 속리산 등 유명한 산사를 순례하.. 경남 2014.05.16
합천임란창의기념관. 창의사(彰義祠) 창의사(彰義祠.합천군 대병면 합천호수로 258-1) 창의사는 임진왜란 때의 합천 지역 의병사를 재조명하고,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왜적을 격퇴했던 의병장 정인홍(鄭仁弘 1535~1623)을 비롯한 의병들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곳으로서 합천군이 사업비 61억 원을 투여해 건립, 2001년 5월 10일 개관.. 경남 2014.05.08
함벽루(涵碧樓) 함벽루(涵碧樓.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9호.경남 합천군 합천읍 죽죽길 80) 합천 8경중 제5경인 함벽루는 고려 충숙왕 8년(서기 1321년)에 합주 지군 김모(金某)가 창건하였으며, 수차에 걸쳐 중건하였다. 대야성 기슭에 위치하여 황강 정양호를 바라볼 수 있게 지어져 오래 전부터 많은 시인.. 경남 2014.05.07
신라 충신 죽죽비(新羅忠臣竹竹碑) 및 합천 대야성(陜川大耶城) 신라 충신 죽죽비(新羅忠臣竹竹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209) 신라 선덕여왕 때에 활동했던 충신 죽죽(?∼642)의 충절을 기리고 있는 비이다. 죽죽은 대야주(지금의 합천) 사람으로, 선덕여왕 11년(642) 대야성이 백제군에 함락될 때 대나무와 같은 절.. 경남 2014.05.07
합천 영암사지(陜川 靈岩寺址) 합천 영암사지(陜川 靈岩寺址.사적 제131호. 경남 합천군) 황매산의 남쪽 기슭에 있는 절터이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정확히 모르나, 고려 현종 5년(1014)에 적연선사가 이곳에서 83세에 입적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홍각선사비.. 경남 2014.05.07
합천 오도리 이팝나무(陜川吾道里이팝나무) 합천 오도리 이팝나무(陜川吾道里이팝나무.경상남도 기념물 제134호. 경상남도 합천군 가회면 오도리) 이팝나무란 이름은 꽃이 필 때 나무 전체가 하얀꽃으로 뒤덥여 이밥, 즉 쌀밥과 같다고 하여 붙여진 것이라고 하며, 여름이 시작될 때인 입하에 꽃이 피기 때문에 ‘입하목(立夏木)’.. 경남 2014.05.06
하동 평사리 최참판댁 지리산 거대한 능선이 남으로 가지를 친 남부능선의 대미에 해당되는 성제봉 아래 넓은 평야지대가 펼쳐진다. 미점리 아미산 아래에서 동정호까지의 넓은 들판, 만석지기 부자를 서넛은 낼만한 악양 '무딤이들'이 그것이다. 박경리 선생의 대하소설「토지」의 무대로 유명한 악양 평사.. 경남 2014.05.04
214급 잠수함 "김좌진함" 진수식 ‘김좌진함’이 2013년 8월 13일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진수됐다. ‘김좌진함’은 1번 손원일함, 2번 정지함, 3번 안중근함에 이은 4번째 214급(1800t) 잠수함이다. 수중에서 300개의 표적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고 대함전, 대공전, 대잠전은 물론 공격기뢰부설 임무 등을 수행할 수.. 경남 2014.01.19
경남 진해에서 4세기경 완벽한 가형토기(家形土器) 출토 경남 진해에서 4세기경 완벽한 가형토기(家形土器) 출토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원장 신용민)은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발굴조사를 하고 있는 경상남도 창원시 석동~소사 간 도로개설구간 유적에 관한 현장설명회를 오는 2014년 1월 7일 오후 2시 30분에 개최한다. .. 경남 201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