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지혜와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마음의 눈으로 보고자, 눈에 보이는 것은 물론 보이지 않는 것까지 기록하고자합니다.

경남 484

충의공(忠毅公) 대소헌(大笑軒) 조종도선생(趙宗道先生) 열녀증정부인(烈女贈貞夫人) 전의이씨(全義李氏) 쌍절각(雙節閣)

조종도(趙宗道) 대소헌(大笑軒)공 조 종 도 (趙 宗 道).1537(중종.32) ~ 1597(선조.30) 조선조중기의문신. 자(字)는 백유(伯由)요 자호를 대소헌(大笑軒)이라 하였으며 어계선생의 오세손이요 참봉공 언(堰)의 장자이다. 어린 시절부터 뛰어나게 총명하여 용모가 빼어나고 도량이 넓었으며 8세에 ..

경남 2016.03.06

김해 수로왕릉(金海 首露王陵)

김해 수로왕릉(金海 首露王陵.사적  제73호.경남 김해시 가락로93번길 26 (서상동)) 가락국(금관가야)의 시조이자 김해 김씨의 시조인 수로왕(재위 42∼199)의 무덤으로, 납릉(納陵)이라고 부른다. 수로왕에 대한 이야기는 『삼국유사』「가락국기」에 전하고 있으나, 무덤이 정확히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알 수 없다. 무덤의 높이는 5m의 원형 봉토무덤인데, 주위 18,000여 평이 왕릉공원으로 되어 있다. 왕릉 구역 안에는 신위를 모신 숭선전과 안향각·전사청·제기고·납릉정문·숭재·동재·서재·신도비각·홍살문·숭화문 등의 건물들과 신도비·문무인석·마양호석·공적비 등의 석조물들이 있다.고려 문종대까지는 비교적 능의 보존상태가 좋았으나, 조선 초기에는 많이 황폐했던 듯하다. 『세종실록』을 보면, 수로왕릉과 수로왕..

경남 2016.03.05

甲冑, 전사의 상징“고대 갑옷에서 전사의 용맹함과 공인의 기술을 살펴보다” 국립김해박물관 2015년 하반기 특별전시

‘삼국사기’에 기록된 수많은 전쟁 기사와 고고학조사로 확인되는 다양한 갑옷은 전쟁의 치열함을 상상하게 한다. 무엇보다 갑옷은 적의 공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장구이다. 더불어 군대를 지휘하는 장수의 용맹함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오늘날 갑옷은 발굴조사와 보존처리, 그리..

경남 2015.10.16

비사벌의 지배자-그 기억을 더듬다-(창녕박물관 공동기획특별전 2015.5.12 - 10.4)

경남 창녕군은 11일 창녕박물관에서 '비사벌의 지배자 그 기억을 더듬다'라는 주제로 특별전 개막식을 가졌다. 국립중앙박물관 등 7개 기관 390점을 출품해 지역 대형고분에서 출토된 화려한 장신구를 비롯한 위세를 뽐내는 무기류와 마구류, 그리고 부를 상징하는 농공구 등을 통해 비사..

경남 201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