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계사의 단풍 단풍(丹楓.red leaves) : 가을철 잎이 떨어지기 전에 초록색 엽록소가 파괴되어 엽록소에 의해 가려져 있던 색소들이 나타나거나, 잎이 시들면서 잎 속에 있던 물질들이 그때까지 잎 속에 없던 색소로 바뀌기 때문에 일어난다. 가을철 낮·밤의 온도차가 심한 곳에서 볼 수 있는 단풍은 남반.. 경남 2013.11.23
하동송림(河東松林) 하동송림(河東松林.천연기념물 제445호.경남 하동군 하동읍 광평리 443-10) 하동송림은 조선 영조 21년(1745) 당시 도호부사였던 전천상이 강바람과 모래바람의 피해를 막기 위하여 심었던 소나무숲으로, 모두 750그루의 소나무가 자라고 있다. 노송의 나무껍질은 거북이 등과 같이 갈라져 있.. 경남 2013.11.23
남해 항도전망대(미조항과 물건리 마을 중간 지점) 항도전망대(미조항과 물건리 마을 중간 지점) 미조항에서부터 10km가량 해안을 따라 길을 달리면 닿는 곳은 '물건리'. 이곳으로 가는 길이 드라이브 코스로는 남해에서 제일이다. 초전-항도-가인포-노구-대지포-은점-물건으로 이어지는 이 도로는 흔히 '물미해안도로'라고 불린다. 물건리.. 경남 2013.11.13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河東 雙磎寺 眞鑑禪師塔碑.국보 제47호) 통일신라 후기의 유명한 승려인 진감선사의 탑비이다. 진감선사(774∼850)는 불교 음악인 범패를 도입하여 널리 대중화시킨 인물로, 애장왕 5년(804)에 당나라에 유학하여 승려가 되었으며, 흥덕왕 5년(830)에 귀국하여 높은.. 경남 2013.11.07
남해 충렬사 (南海 忠烈祠) 1948년 정인보가 쓴 것을 경남도청에서 세운「충렬사비(忠烈祠碑)」 남해 충렬사(南海 忠烈祠.사적 제233호.경남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350) 임진왜란이 끝나던 해 노량해전에서 순국한 충무공 이순신의 충의와 넋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사당이다. 통영의 충렬사와 함께 충열(忠烈)이란 액.. 경남 2013.11.05
대방진굴항(大芳鎭掘港)의 가을 대방진굴항(大芳鎭掘港.경남 문화재자료 제93호.경남 사천시 대방동 251) 대방진 굴항은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연안을 빈번히 침범하던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설치한 구라량의 진영이 있던 곳이다. 그 뒤 구라량이 폐쇠되어 쇠퇴했던 것을 조선 순조(재위1801∼1834) 때 진주 병마절도사.. 경남 2013.11.04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南海 昌善島 왕후박나무) 남해 창선도 왕후박나무 (南海 昌善島. 왕후박나무천연기념물 제299호.경남 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669-1외 8필) 후박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며 제주도와 울릉도 등 따뜻한 남쪽 섬지방에서 자라는 나무로 일본, 대만 및 중국 남쪽에도 분포하고 있다. 주로 해안을 따라 자라며 껍질과 열매.. 경남 2013.11.04
김해 수로왕릉(金海 首露王陵) 김해 수로왕릉(金海 首露王陵.사적 제73호. 경남 김해시 가락로93번길 26 (서상동)) 김해의 상징적 문화유적으로서 가락국(AD 42~532년) 시조대왕의 수로왕릉(首露王陵)을 찾아볼 수 있는데 김해 김씨, 허씨, 인천 이씨의 시조이며 가락국을 창건한 수로왕을 모신 능침이다. 수로왕은 알 중에.. 경남 2013.08.18
작원관지(鵲院關址) 작원관지(鵲院關址.경남 문화재자료 제73호.경남 밀양시 삼랑진읍 검세리) 낙동강변의 절벽에 위치하여 부산 동래에서 한양에 이르기 위해서는 문경의 조령관과 함께 반드시 통과해야하는 교통 및 국방상의 2대 관문이었다. 임진왜란 때 밀양 박진장군이 300여명의 병졸로 소서행장이 이.. 경남 2013.08.17
김해 은하사(金海銀河寺) 김해시 삼방동의 신어산(神魚山) 서쪽 자락에 있다. 신어산의 옛 이름이 은하산인 것으로 전해진다. 사찰의 창건연대는 불분명하다. 전설에 따르면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왕후인 허황옥 오빠 장유화상이 창건했다고 하며, 당시의 이름이 서림사(西林寺)였다 한다. 그러나 전설 속의 창건 .. 경남 2013.08.17
만어사(萬魚寺)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만어사(萬魚寺.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로 776) 해발 674m의 만어산 8부능선에 위치하고 있는 만어사는 가락국 수로왕이 창건하였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고대 불교의 남방 전래설을 뒷받침해주는 .. 경남 2013.07.30
이원수(李元壽) 선생 유물(양산유물전시관) 양산유물전시관 이원수(李元壽.1911. 11. 17 경남 양산~ 1981. 1. 24 서울.아동문학가) : 저서(작품) : 고향의 봄|헌 모자|보리방아 찧으며|교문 밖에서|찔레꽃|이삿길|양말사러 가는 길|숲속나라|오월의 노래|아동문학입문|어머니|라일락언덕|신의 합창 대표관직(경력) : 경희여자초급대학 강사|.. 경남 2013.07.16
사천선진리왜성(泗川船津里倭城) 사천선진리왜성(泗川船津里倭城. 경남 문화재자료 제274호. 경남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402외) 사천읍에서 서남쪽 약 7㎞ 지점, 남북으로 길게 뻗은 사천만의 동안(東岸)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구릉의 지형을 이용하여 구축(構築)한 평산성식(平山城式)의 토축(土築)으로 된 창성(倉城)이다. .. 경남 2013.06.01
사천 조명군총(泗川朝明軍塚) 사천조명군총(泗川朝明軍塚.경상남도 기념물 제80호. 경남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402) 조명군총(朝明軍塚)은 조선조 선조(宣祖) 30년(1597) 1월에 왜적이 재침하여 일어난 정유재란 당시 선진리성(당시는 신채라고 함)에 포진하고 있던 왜적을 몰아내기 위해 조명연합군이 최후의 결전을 벌.. 경남 2013.06.01
대방진굴항(大芳鎭掘港) 대방진굴항(大芳鎭掘港.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93호. 경남 사천시 대방동 251) 대방진굴항은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연안을 빈번히 침범하던 왜구의 노략질을 막기 위해 설치한 구라량의 진영이 있던 곳이다. 그 뒤 구라량이 폐쇠되어 쇠퇴했던 것을 조선 순조(재위1801∼1834) 때 진주 병마절.. 경남 2013.06.01
세종대왕태실지(世宗大王胎室地) 세종대왕태실지(世宗大王胎室地.경남 기념물제30호 곤양면 은사리 산27) 곤명면 은사리 소곡산에 있으며, 일명 태봉(胎峯)이라고도 한다. 이 태실지는 세종 임금이 왕위에 오르던 해인 1418년에 곤양군의 전신인 옛 곤명현(昆明縣) 소곡산이 전국에서 가장 좋은 길지(吉地)라 하여 임금(세.. 경남 2013.06.01
단종태실지(端宗胎室地) 단종태실지(端宗胎室地. 경상남도 기념물 제31호. 경남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산438) 단종태실지는 세종대왕이 임금자리에 오른지 23년(1441)에 그의 애손(愛孫)인 단종이 태어나자 자신의 태실 앞산에 태실을 안치(安置)토록 어명을 내려 곧 그해에 조영(造營)하였다. 임진란 때 왜적이 몰려.. 경남 2013.06.01
밀양 위량못(密陽位良못)<양야제(陽也堤)> <양양지(陽良池)> 밀양 위량못(密陽位良못)<양야제(陽也堤)> <양양지(陽良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67호.경남 밀양시 부북면 위양리 293, 294) 부북면 위양리의 동쪽에 있는 양양지(陽良地 : 일명 위양못)는 신라시대에 축조된, 제방(堤防)의 둘레가 4.5리(里)에 달하는 저수지였으나 원래의 모습은.. 경남 2013.05.12
남해유배문학관의 서포김만중(西浦金萬重) 남해유배문학관 : 국내 최초 및 최대 규모의 문학관으로, 유배와 유배문학에 관한 종합적인 정보습득을 위한 전문공간이다. 주제별 전시관을 통해 유배문학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와, 다양한 체험전시와 학습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이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남해유배문.. 경남 2012.12.23
사천시 항공우주박물관 자유수호관에 전시된 김일성 승용차 사천시 항공우주박물관 자유수호관에 전시된 김일성 승용차 자유수호관에 전시된 김일성 승용차는 1948년 소련의 스탈린이 북한의 김일성에게 선물한 승용차로서 6.25 한국전쟁 당시 1950년 10월 22일 한국육군 제6사단 수색대가 평안북도 영변북방 25㎞ 거리의 신흥동에서 노획한 것을 1951.. 경남 2012.12.22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 (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사적 제232호.경남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 산125) 노량해전으로 더 잘 알려진 임진왜란의 마지막 격전지로 충무공 이순신이 순국한 곳이다. 선조 31년(1598) 조선과 명나라의 수군이 도망가는 왜적들을 무찌르다 관음포 앞바다에서 최.. 경남 2012.12.22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천연기념물 지정 천연기념물 지정 개요 1. 지정명칭 :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2. 지정종별 : 천연기념물 제541호(식물-노거수) 3. 소 재 지 : 경남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산1-1 4. 지정 가치 ㅇ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는 신라말기 대학자이자 문장가인 최치원과 관련된 문헌기록(<동국여지승람(東國輿.. 경남 2012.11.14
밀양 향교 (密陽鄕校) 밀양향교 (密陽鄕校.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4호.경남 밀양시 교동) 이 밀양향교(密陽鄕校)는 서기 1100년경에 창건되었다고 전하고 있는데, 밀성(密城) 손(孫)씨 집성마을로 전통가옥이 밀집해 있는 교동(校洞)마을 뒤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다. 선조 25년(1602년) 현재의 위치에 부사(府使) .. 경남 2012.07.31
교동 손씨고가(校洞 孫氏古家) 교동 손씨고가(校洞 孫氏古家.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61호.밀양시 밀양향교3길 17(교동)) 밀양시 교동 밀성(密城) 손씨(孫氏) 고택(古宅) 가운데 "만석(萬石)군집"으로 불린 99칸의 저택인데, 숙종연간(1659-1674)에 인묵재(認默齋) 손성증(孫聖曾)이 지은 것으로 전해지므로 약 300년의 역사를 .. 경남 2012.07.31
밀양 관아지 (密陽 官衙址) 밀양 관아지 (密陽 官衙址.경상남도 기념물 제270호. 경남 밀양시 내일동 376 외) 조선시대 밀양부 관아의 창건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며, 본래 있던 건물은 임진왜란으로 전부 불타버렸는데 1612년에 원유남 부사가 부임하여 원래 자리에 관아를 재건하였다. 고종32년(1895년)에 지방관제 .. 경남 2012.07.31
일본 가가미진자 고려 수월관음도(통도사 성보박물관에서 ‘고려수월관음도’ 특별 전시회) 작품명 : 일본 가가미진자(鏡神社) 수월관음도 제작시기 : 고려(1310년), 비단에 채색 작품크기 : 419.5×252.2cm, 일본 중요문화재 소장처 : 원) 사가현(佐賀縣) 카라츠시(唐津市) 가가미(鏡) 1827번지 가가미진자(鏡神社), 현재) 사가현(佐賀縣) 현립박물관 기탁보관중 통도사 옛 사진 최대 고려.. 경남 2012.07.17
영원사지보감국사부도 (瑩源寺址寶鑑國師浮屠) 영원사지보감국사부도 (瑩源寺址寶鑑國師浮屠.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2호.경남 밀양시 활성동 112번지) 영원사터라고 전하는 곳에 각 부분이 흩어져 있던 것을, 1974년 11월 현재의 자리로 옮겨 세운 것으로, 고려 시대 승려인 보감국사의 부도(사리탑)로 추정된다. 8각의 평면을 기본형으.. 경남 2012.06.20
영원사지보감국사묘응탑비 (瑩源寺址寶鑑國師妙應塔碑) 영원사지보감국사묘응탑비 (瑩源寺址寶鑑國師妙應塔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호.경남 밀양시 활성동) 영원사터에 남아 있는 보감국사의 탑비로, 주변에 흩어져 있던 여러 부재를 수습해 놓은 것이다. 보감국사(1251∼1322)는 고려 일연스님의 제자로, 충렬왕 때 대선사(大禪師)가 되었.. 경남 2012.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