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퇴로리이씨고가(密陽退老里李氏古家) 밀양퇴로리이씨고가 (密陽退老里李氏古家.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12호.경남 밀양시 부북면 퇴로리 319) 부북면 퇴로리에 거주하는 여주(麗州) 이씨(李氏)의 종택(宗宅)으로 조선조 후기인 1890년에 항재(恒齋) 이익구(李翊九)가 건립하여 100여년 동안 5대에 걸쳐 보존된 전통적인 고가(古家.. 경남 2012.06.19
천진궁 (天眞宮) 천진궁 (天眞宮.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7호.경남 밀양시 내일동) 영남루 경내에 있는 건물로 원래 이곳은 요선관이 있던 자리이다. 효종 3년(1652)에 지었으며 공진관이라 부르기도 한다. 영조 15년(1739)에 불탄 것을 영조 25년(1749)에 다시 지었으며, 헌종 10년(1844)에 크게 수리하였다. 1952년.. 경남 2012.06.19
밀양읍성 (密陽邑城) 밀양읍성 (密陽邑城.경상남도 기념물 제167호.경남 밀양시 내일동 36-1외 3필) 읍성이란 군이나 현의 주민을 보호화고, 군사적·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을 말한다.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읍성은 성종 10년(1479)에 만든 것으로, 다른 읍성들을 임진왜란 직전에 만들기 시작한 것에 비하.. 경남 2012.06.18
밀양 월연대 일원 및 월연정 (月淵亭) 밀양 월연대 일원(명승 제87호.경남 밀양시 용평동 2-1번지 등) 밀양 월연대 일원은 조선조 중종 때 지조와 청명(淸名)으로 빛나는 월연(月淵) 이태 선생이 만년에 관직을 물러나 세상의 미련을 버리고 자연으로 귀의하려는 의지로 조성한 별서이다. 밀양강과 동천이 합류되는 지점에 위치.. 경남 2012.06.18
박진전쟁기념관(朴津戰爭記念館) 박진전쟁기념관(朴津戰爭記念館.경남 창녕군 납지읍 월하리 624) 1950년 6월 25일 새벽, 전차를 앞세우고 기습 남침한 북한 공산군은 일거에 38선을 돌파하여 3일만에 서울을 점령한 후 한강을 넘어 남으로 침공을 계속하였다. 이에 국군과 유엔군은 힘을 모아 혈전을 거듭하면서 이를 저지하려 하였으나 군사력이 열세하여 눈물을 머금고 후퇴를 계속하다가 개전 40여일이 경과한 8월초에는 마침내 낙동강을 끼고 최후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에 더 물러설 곳도 없는 절박한 상황에서 왜관-상주-영덕을 연하는 전선은 국군이, 현풍-창녕-진동을 연하는 전선은 유엔군이 방어하게 되었다. 이곳 박진지역은 부산을 점령하기 위해 낙동강을 도하하여 최후의 발악을 하던 북한공산군과 미군이 2주간 사투를 벌였던 격전지이다. .. 경남 2012.05.19
양파 시배지(경남 창녕군 대지면 석리) 양파 : 부추과 부추속에 속한 식물이다. 부추속은 보통 부추과에 분류되지만 백합과로 분류하는 사람도 있다. 알리움 세파를 백합과 파속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알리움 세파(Allium cepa)라는 학명은 부추속에 속한 양파 중에서도 영어로 garden onion, bulb onion, shallot이라고 부르는 것을 말한다... 경남 2012.05.19
창녕 영산 석빙고 (昌寧 靈山 石氷庫) 창녕 영산 석빙고 (昌寧 靈山 石氷庫.보물 제1739호.경남 창녕군 영산면 교리 산10-2) 화강석으로 쌓은 조선 중기의 얼음창고이다. 정확한 축조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지도서』와 조선 후기의 읍지에 따르면 현감 윤이일이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들어가는 입구가 높고 뒤로 갈수록 낮은,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다. 내부는 거칠게 다듬은 큰 돌로 쌓은 네모진 형태이다. 창고가 있는 곳에서 바라다보면 빙고 뒤쪽 끝으로 개울이 있는데 지금은 개울에 물이 말랐지만, 이는 상류에 제방을 쌓았기 때문이며 옛날에는 수량이 풍부했다고 한다. 다른 석빙고에 비해 약간 작은 규모이나, 쌓은 수법은 같다.(문화재청 자료) ※(영산석빙고 → 창녕 영산 석빙고)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환기.. 경남 2012.05.19
창녕 영산 만년교 (昌寧 靈山 萬年橋) 창녕 영산 만년교 (昌寧 靈山 萬年橋.보물 제564호.경남 창녕군 영산면 원다리길 42 (동리)) 마을 실개천 위에 무지개 모양으로 만들어 놓은 돌다리로, 실개천이 남산에서 흘러내린다 하여 ‘남천교(南川橋)’라고도 불리운다. 개천 양쪽의 자연 암반을 바닥돌로 삼고 그 위에 잘 다듬어진 화강암 석재를 층층이 쌓아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를 이루고 있다. 그 위로는 둥글둥글한 자연석을 쌓아 올리고 맨 위에 얇게 흙을 깔아 다리 위로 사람이 다닐 수 있는 길을 만들어 놓았다. 노면은 곡선을 그리며 양 끝을 길게 늘이고 있어 다리의 분위기를 한결 아늑하게 해준다. 조선 정조 4년(1780)에 처음 쌓은 것을 고종 29년(1892)에 다시 쌓아 놓은 것으로, 지금도 마을 사람들이 통행할 만큼 튼튼하여 홍수 등에.. 경남 2012.05.19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국보 제34호.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 경남 2012.05.19
밀양 위량못(密陽位良못)<양야제(陽也堤)> <양양지(陽良池)>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밀양 위량못(密陽位良못)<양야제(陽也堤)> <양양지(陽良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67호.경남 밀양시 부북면 위양리 293, 294) 부북면 위양리의 동쪽에 있는 양양지(陽良地 : 일명 위양못)는 신라시대에 축조된, 제방(堤防.. 경남 2012.05.08
청학동 삼성궁(三聖宮) 청학동 삼성궁 민족의 성조인 환인, 환웅, 단군을 모신 배달민족 성전으로 민족의 정통 도맥인 선도를 지키고 신선도를 수행하는 민족의 도장으로 여러 모양의 돌탑이 완경사를 이룬 골짜기 여기저기에 푸른 하늘과 맞물려 솟아 있다. 이 고장 출신 한풀선사가 1983년 고조선 시대의 소도.. 경남 2012.04.17
하동 쌍계사(河東 雙磎寺) 쌍계사 석문(雙磎寺 石門) 쌍계사일주문 (雙磎寺一柱門.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86호) 지리산 기슭에 있는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3년(723)에 삼법이 처음 지었고, 임진왜란(1592)으로 불타 없어진 것을 인조 19년(1641)에 다시 지었다. 절의 입구에 세워져 있는 일주문은 속세를 떠나 부처의 세.. 경남 2012.04.17
김해 구지봉 (金海 龜旨峰) 김해 구지봉(金海 龜旨峰. 사적 제429호. 경남 김해시 구산동 산81-2번지 일원 ) '삼국유사(三國遺事) 가락국기' 편 기록에 의하면 서기 42년 김수로왕이 하늘에서 탄강(誕降)하였고, 아도간, 유천간 등 9간과 백성들의 추대에 의해 가락국의 왕이 되었다는 가야의 건국설화를 간직한 곳이다. .. 경남 2012.03.25
파사석탑 (婆娑石塔) 파사석탑 (婆娑石塔.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27호. 경남 김해시 가락로 190번길 1) 수로왕의 비 허왕후, 黃玉이 東漢建武 24년 갑신에 서역 아유타국에서 머나먼 바다를 건너올 때 파신의 노여움을 잠재우기 위해 함께싣고 왔다고 삼국유사 등 고서에 기록되어 있음. 파사석탑은 옛 호계사 .. 경남 2012.03.25
김해 수로왕비릉 (金海 首露王妃陵) 김해 수로왕비릉 (金海 首露王妃陵.사적 제74호. 경남 김해시 구산동 120) 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왕비무덤이다. 『삼국유사』「가락국기」에 의하면, 왕비는 성이 허, 이름은 황옥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인도 아유타의 공주로 16세에 배를 타고 와서 수로왕의 왕비가 되었다고 한다. 9명.. 경남 2012.03.25
두룡포기사비 (頭龍浦記事碑) 忘戰必危 전쟁을 잊으면 반드시 위태롭다 두룡포기사비 (頭龍浦記事碑.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경남 통영시 문화동 62) 통영시 세병관(국보 제305호) 경내 수항루 뒤편 팔작지붕 비각안에 있는 비로, 제6대 수군통제사였던 이경준이 수군 본영을 이곳에 건설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세.. 경남 2012.03.24
통영(統營) 문화동(文化洞) 벅수 통영(統營) 문화동(文化洞) 벅수( 중요민속문화재 제7호. 경남 통영시 문화동 95-123 ) 세병관(국보 제305호)으로 오르는 길가 오른쪽에 서 있는 돌장승이다. 장승은 민간신앙의 한 형태로 마을이나 사찰 입구 등에 세워져 경계를 나타내기도 하고 잡귀의 출입을 막는 수호신 역할도 한다. 남.. 경남 2012.03.24
창녕석리성씨고가 (昌寧石里成氏古家) 창녕석리성씨고가 (昌寧石里成氏古家.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355호. 경남 창녕군 대지면 석리 322 ) 성씨 고가는 대지 내에 안채, 사랑채, 창고 2동, 대문채, 화장실 등 총 6동의 건물이 ‘튼ㅁ자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안채를 중심으로 앞에 사랑채와 중문채를 두고, 안마당 좌우에 토담.. 경남 2012.03.02
영산 3.2민속축제 풍물놀이 쓰레기 줍는 길 위의 천사 남들은 모두 흥겁게 놀이 할 동안 열심히 홍보 활동을 하고 오후에는 쓰레기를 줍고 또 줍는 길 위의 천사 경남 2012.03.02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중요무형문화재 제25호.영산쇠머리대기보존회)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중요무형문화재 제25호.영산쇠머리대기보존회) 영산 쇠머리대기는 일종의 편싸움 놀이로, 마을을 동·서로 갈라 두 패로 편을 짜는데 이긴 편 마을에는 풍년이 들고 진 편 마을에는 흉년이 든다고 해서 농경의식의 하나로 전해져 왔다. 영산지방에서는 .. 경남 2012.03.01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중요무형문화재 제25호.영산쇠머리대기보존회) 작은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영산중학교) 靈山쇠머리대기 전(前) 행사로 영산중학교 학생들 행사 영산쇠머리대기 (靈山쇠머리대기.중요무형문화재 제25호.영산쇠머리대기보존회) 영산 쇠머리대기는 일종의 편싸움 놀이로, 마을을 동·서로 갈라 두 패로 편을 짜는데 이긴 편 .. 경남 2012.03.01
김영환 장군(金英煥將軍) 팔만대장경 수호 공적비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6·25전쟁가 한창이던 1951년 8월 김영환 장군은 공군 수뇌부로부터 공비 소탕을 위해 경남 합천 해인사를 폭격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끝까지 거부했다. 김영환 장군의 명령 거부가 없었다면 유네스코 등재 세계문화유산과 세계기.. 경남 2012.01.24
표충사 명부전 (表忠寺冥府殿)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표충사명부전 (表忠寺冥府殿.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3호) 명부전은 지옥에 계신 어머니를 구하고 지옥으로 떨어진 모든 자들이 구원될 때까지 지옥세계에 계시겠다는 서원을 세운 지장보살과 죽은 자의 삶을 평가하고 .. 경남 2011.12.06
표충사 관음전(觀音殿) 표충사 관음전(觀音殿) 관음전은 관세음보살을 모셔 놓은 법당이다. 관세음보살은 관자재보살이라고도 하며, 아미타불의 좌보처로서 아미타불의 뜻을 받들어 대자대비를 근본 서원으로 삼아 중생을 보살피고 도와줄 뿐 아니라, 극락정토에 왕생하는 이들을 인도하는 보살이다. 관세음.. 경남 2011.12.06
표충사 대광전 (表忠寺大光殿)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대광전 구역 표충사대광전 (表忠寺大光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31호) 대광전은 표충사의 큰 법당이다. 법당이란 진리로써 가득 채워져 있는 집이라는 뜻이다. 이 법당에는 모든 번뇌와 미혹을 밝혀서 불멸의 생명, 무.. 경남 2011.12.06
표충사 팔상전 (表忠寺八相殿)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표충사 팔상전 (表忠寺八相殿.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1호) 대광전 옆에 나란히 자리잡은 팔상전은 1854년(철종 5년)에 당시 주지였던 환월선사(幻月禪師)가 창건하였으며, 1926년 화재로 소실되어 1929년에 중창한 것이라고.. 경남 2011.12.06
표충사 응진전(應眞殿) 표충사 응진전(應眞殿)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모시고 그 좌우에 석가모니의 제자인 16나한상을 안치한 법당이다. 석가모니의 제자들인 16나한을 모시고 있어 나한전이라고도 한다. 나한은 아라한을 줄인 말인데 존경과 공양을 받아 마땅한 사람으로 진리에 도달했다는 뜻.. 경남 2011.12.06
표충사 만일루 (表忠寺萬日樓)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표충사만일루 (表忠寺萬日樓.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2호) 1985년 11월 14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142호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인 1860년(철종 11)에 월암선사(月庵禪師)가 혜원법사(慧遠法師)의 유풍을 떨치고자 만일(萬日.. 경남 2011.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