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림성(加林城) 4) 가림성(加林城) 가림성(加林城)은 사적 제4호로서 현재는 성흥산성(聖興山城)이라 한다. 충청남도 부여군 장암면과 임천면 군사리에 있다. 가림산에 석축한 성으로 남쪽 통로의 요새지였으며 길이는 약 1km이다. 문무왕 11년(671) 당의 세력이 장악했던 백제의 옛 땅을 쟁취할 때 죽지랑은 이 가림성으.. 화랑유적지 2009.02.13
황산벌(黃山伐) 3) 황산벌(黃山伐) 황산벌(黃山伐)은 충청남도 논산군 연산면 일대의 넓은 평야지대이다. 연산면 관동리와 표정리 사이에 북산성 또는 황산성으로 부르는 성터가 있는데, 이 산성은 백제 수도 사비성의 중요한 방어선이고 요총지였다. 여기에서 남쪽으로 내려다보면 연산면 일대와 황산벌이 한 눈에 들.. 화랑유적지 2009.02.13
내사지성(內斯只城) 2) 내사지성(內斯只城) 대전시 서구 구성동 유성온천 동쪽 약 4km의 낮은 구릉 위에 있는 구성리 산성(九城里山城)은 삼국사기에나오는 내사지성(內斯只城)으로 추정된다. 토축산성이어서 거의 본래 모습을 찾기 힘들지만 둘레가 약 460m 정도되는 규모이다. 백제가 멸망한지 2년 뒤인 662년(문무왕 2년) 8.. 화랑유적지 2009.02.13
삼년산성(三年山城) 1) 삼년산성(三年山城) 삼년산성은 사적 제235호로서 보은읍에서 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어암리와 대야리 및 성주리 사이의 오정산 위에 있다. 해발 325.5m의 높지 않는 산이지만 보은 분지 동쪽에 있어서 평지에 자리잡은 언덕 위에 있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성안의 산꼭대기에서 여러 방면을 멀리 바.. 화랑유적지 2009.02.13
관산성(管山城) 11) 관산성(管山城) 관산성(管山城)은 충북 옥천군 군서면에 있는 환산성(環山城)으로 추정하고 있다. 환산성은 일명 고리산성(古利山城)이라고도 한다. 일본서기에는 함산성(函山城)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 성은 신라와 백제가 한강 유역의 주도권 쟁탈을 위하여 일대 격전을 벌였던 곳이다. 551년 백제.. 화랑유적지 2009.02.13
조천성(助川城) 10) 조천성(助川城) 조천성(助川城)은 충청북도 영동군 학산면에 있는 대왕산성(大王山城)에 비정되고 있다. 대왕산성은 대양산성이라고도 한다. 문화유적총람에 보면 대왕산성은 학평(鶴坪)부락 북방 약 1km인 대왕산(大王山 : 387.8m) 산정을 감고 있는 석축산성으로 현재는 완전히 무너졌으며, 신라와 .. 화랑유적지 2009.02.13
낭비성(娘臂城) 9) 낭비성(娘臂城) 낭비성(娘臂城)은 충북 청원군 북이면 토성리와 광암리 및 부연리의 경계에 있는 해발 250m의 산 위에 축조한 석성(石城)이다.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남쪽이 트인 ㄷ자 모양의 산 위에 축성하였다. 성 안은 서쪽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북쪽과 동쪽이 높은 반면, 남쪽은 낮은 계곡.. 화랑유적지 2009.02.13
병무관터 8) 병무관터 병무관(兵武館)은 진천군 만승면(万升面)에 있는 작은 마을인 구암리(鳩岩里)의 동쪽에 있다. 지금부터 10여 년 전에 이곳에서 금귀걸이 등이 나왔다고 한다. 이 부근에는 신라시대의 기와편들이 많이 발견되었는데, 병무관을 여기에 세우고 활과 화살 등 무기를 간직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화랑유적지 2009.02.13
화랑벌 7) 화랑벌 진천군 만승면(万升面) 광혜원리(廣惠院里)의 광혜원중고등학교 옆의 넓은 들을 화랑벌이라 한다. 진천에서 16km 떨어진 이곳은 김유신장군이 화랑도를 거느리고 맹훈련을 했던 곳으로 전해 오고 있다. 김유신은 35세 때 낭비성싸움에 참전하였다. 전세가 불리하였을 때 김유신은 부친 서현장.. 화랑유적지 2009.02.13
모산성(母山城, 大母山城) 6) 모산성(母山城, 大母山城) 모산성은 속칭 할미성이라고 하는데, 진천군 덕산면(德山面) 상신리(上新里)에 있다. 흙으로 쌓은 성으로 현재는 모두 무너졌다. 내성과 외성으로 되어 있는데 내성은 길이가 약 500m, 외성은 약 800m 정도였다. 삼국사기에는 백제군이 이 성을 공격한 기록이 있다. 김유신이 .. 화랑유적지 2009.02.13
장수굴 5) 장수굴 진천군 이월면(梨月面) 사지부락(沙谷里) 뒷산 중턱에 장수굴이 있다. 장수굴은 위에서 내려온 흙과 모래로 많이 메워져서 현재는 높이 2.7m, 넓이 7m만 남아 있으며 굴 옆에 커다란 바위가 우뚝 솟아 있는데 거기에 마애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조각상은 3.8m 정도만 남아 있고 아랫 부분은 흙에 .. 화랑유적지 2009.02.13
도당산성(都堂山城) 4) 도당산성(都堂山城) 진천읍 벽암리(壁岩里)에 있는 도당산성에 대하여 동국여지승람에는 ‘진천 서쪽 3km 지점에 있는데 돌로 쌓았다. 주위는 1,836척(약 6230m)이 된다. 성 안에 우물이 두 곳 있었는데 현재는 없어졌다.’라고 되어 있다. 충청대관(忠淸大觀)을 보면 김유신장군이 당나라의 소정방(蘇定.. 화랑유적지 2009.02.13
이흘산성(伊訖山城) 3) 이흘산성(伊訖山城)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연곡리(蓮谷里) 비선골(碑立洞)에 있는 이흘산성은 만노산성(萬弩山城)이라고도 한다. 보련골(寶蓮洞)과 백곡면(佰谷面) 양백리(兩白里). 대문리(大門里) 사이에 있는 만노산(萬弩山)은 진천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이 성은 신라시대에 변방을 지키기 위하.. 화랑유적지 2009.02.13
김유신장군 생가(生家)터 2) 김유신장군 생가(生家)터 충청북도 진천군 상계리(上桂리里) 계양부락(桂陽部落)은 김유신장군이 탄생한 곳이다. 김유신장군은 서현(舒玄)과 진흥왕의 질녀 만명 사이에 태어났다. 성골(聖骨)인 만명의 집안에서 서현과 만명 사이의 사랑을 알고 이를 반대하여 만명을 감금하였다. 때마침 태풍과 홍.. 화랑유적지 2009.02.13
적성산성(赤城山城)과 적성비(赤城碑) 적성산성(赤城山城)과 적성비(赤城碑) 적성산성(赤城山城)은 사적 제265호로 충북 단양읍 하방리에 있다. 1978년 이 성안에서 신라 적성비(赤城碑)가 발견되어 유명해진 성이다. 적성비의 비문에 ‘적성(赤城)’이라는 글자가 3번이나 나와서 이 성의 이름이 적성산성으로 밝혀졌다. 이곳은.. 화랑유적지 2009.02.13
우두벌 7) 우두벌 강원도 춘천시 우두동은 삼국통일기의 화랑 죽지랑(竹旨郞)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해 오는 곳이다. 그의 부친 술종공(述宗公)이 삭주도독사(朔州都督使)였기에 그는 이곳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우두동의 우두벌은 죽지랑이 말 타는 법을 익혔던 벌판이라고 전하고 있으나 유적은 남.. 화랑유적지 2009.02.12
영랑호(永郞湖) 6) 영랑호(永郞湖) 영랑호(永郞湖)는 강원도 속초시 북쪽에 위치한 큰 석호(潟湖)이다. 석호란 사주(砂洲)에 의하여 바다의 일부가 바깥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를 말한다. 주위가 약 7.8km, 수면의 넓이가 111만평방미터이며, 영랑동(永郞洞), 동명동(東明洞), 장사동(章沙洞)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최근.. 화랑유적지 2009.02.12
오대산(五臺山) 5) 오대산(五臺山) 오대산은 금강산 설악산과 함께 관동의 3대 명산이다. 강릉에서 대관령을 거쳐 오대산에 이르는 노정도 화랑들이 즐겨 찾는 수련지였다. 삼국유사에는 오대산을 찾은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신문왕 때 왕자인 보천(寶川), 효명(孝明) 두 형제가 각각 1천명의 무리를 거느리고 명주(.. 화랑유적지 2009.02.12
화부산사(花浮山詞) 4) 화부산사(花浮山詞) 강릉시 교동(校洞)에 위치한 화부산사는 신라의 명장 김유신장군을 모신 곳이다. 태종무열왕 8년(661) 백제를 평정한 직후였다. 말갈족이 침입하여 신라의 북쪽 경계가 되는 강릉지방을 자주 침법하여 괴롭혔다. 김유신장군은 곧 군사를 이끌고 와서 강릉 북쪽의 화부산 밑에 진을.. 화랑유적지 2009.02.12
설원랑(薛原郞)의 명주기념비(溟州記念碑) 3) 설원랑(薛原郞)의 명주기념비(溟州記念碑) 명주(溟州)는 강릉의 옛 이름이다. 명주를 비롯한 동해안 일대는 일찍부터 신라의 영역으로 자리잡았다. 157년 아달라왕은 명주를 순행하고 군사를 위로했다. 300년 기림왕 때에는 태백산에 망제를 지냈으며, 이 때 북변으로는 비열흘(比烈흘 : 지금의 안변).. 화랑유적지 2009.02.12
한송정(寒松亭) 2) 한송정(寒松亭) 한송정(寒松亭)은 경포대와 더불어 강릉지방에서 화랑의 유적지로 알려진 곳이다. 사선(四仙)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인 이곡(李穀)의 동유기(東遊記)에는 경포대에 돌아궁이가 있고, 한송정에는 돌아궁이와 두 개의 돌샘이 옆에 있는데 이것은 사선이 차(茶)를 달이던 도구였을 것.. 화랑유적지 2009.02.12
경포대(鏡浦臺) 1) 경포대(鏡浦臺) 강원도 강릉시에서 동북쪽으로 약 7km 가면 동해에 면하여 경포호(鏡浦湖)가 있고 그 가장자리에 경포대가 있다. 둘레 약 8km의 경포호수와 솔밭, 동해의 창파에 떠도는 백조, 추석 달맞이 등은 훌륭한 가경(佳景)으로 옛부터 칭송되어왔다. 이곳 경관은 관동팔경(關東八景) 중에서 첫 .. 화랑유적지 2009.02.12
백령도(白翎島) 7) 백령도(白翎島) 고려시대에 화랑도를 추앙하는 사람들은 신라시대의 수많은 화랑 중에서 사선(四仙)이 가장 훌륭했고 그들의 무리가 가장 번성했다고 믿었다. 사선이 실제의 인물이었던지 여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들 사선이 순유했던 유적은 도처에 남아 있다. 남곤(南袞 : 조선 중종.. 화랑유적지 2009.02.12
마니산 참성단(摩尼山 塹星壇) 6) 마니산 참성단(摩尼山 塹星壇) 강화도가 마니산으로 이루어진 섬인 것은 제주도가 한라산으로 이루어진 것과 다를 바 없다. 해발 480m의 마니산은 강화도의 남쪽에 솟아 있다. 강화군 강화읍 흥왕리(興王里)에 있는 이 산은 우리 나라 땅의 중심에 위치하여 남쪽의 한라산까지와 북쪽의 .. 화랑유적지 2009.02.12
호로고루(瓠蘆古壘) 5) 호로고루(瓠蘆古壘) 호로고루(瓠蘆古壘)는 옛 장단군의 장단면 원당 재미산과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건너편 언덕인 연천군 적성면 장좌리 작은 언덕 위에 위치하고 있다. 임진강은 이 지방에서 호로하(瓠蘆河)라 불렀는데 이 고루는 삼국시대 말 임진강을 제압하기 위해 쌓은 것으로 보인다. 삼.. 화랑유적지 2009.02.12
칠중성(七重城) 4) 칠중성(七重城) 칠중성은 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지역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이다. 이 지역은 백제의 난은별(難隱別)이었는데, 고구려와 신라는 칠중성이라 하였으며 경덕왕 때 중성(重城)이라 했다. 성의 둘레가 약 590~680m의 석축산성으로 성 안에 우물도 한 군데 있었다. 서울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 화랑유적지 2009.02.12
매소성(買소城) 3) 매소성(買소城) 매소성은 삼국사기 지리지에 나오는 고구려 매성현(買城縣) 즉 지금의 경기도 양주로 비정하는 것이 통설이나 이 성의 정확한 위치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이 매소성에서 문무왕 15년(675)에 신라군이 당군을 크게 무찔러 나당전쟁에서 당나라에 결정적 타격을 주고 마침내 삼국.. 화랑유적지 2009.02.12
남천정(南川停 : 설봉산성) 2) 남천정(南川停 : 설봉산성) 설봉산성은 경기도 이천군 이천읍 관고리의 설봉산(雪峰山)위에 있다. 해발 325m의 아랫봉우리를 둘러싸는 1.8km의 길이를 갖는 성터가 남아 있다. 해발 394m의 설봉산 윗봉우리를 감싸는 작은 산성이 하나 더 있다. 이 두 산성을 잇는 좁은 말잔등 처럼 놓여 있는 산 능선에는 .. 화랑유적지 2009.02.12
당항성(黨項城) 1) 당항성(黨項城) 당항성(黨項城)은 남양반도의 서신(西新) 송도(松山) 마도(麻道) 3개면의 경계선이 만나는 중심 가까이에 자리한 구봉산(九峰山)에 쌓은 성이다. 산 위에서 서쪽으로 많은 섬들이 그림과 같이 펼쳐지는 서해를 한 눈에 바라 볼 수 있는 곳이다. 성 전체의 둘레가 1030m이고 산성의 동쪽 .. 화랑유적지 2009.02.12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3)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는 국보 제3호로 해발 556m의 북한산 비봉(碑峰) 정상부에 있었으나 중앙국립박물관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으며 원래의 그 자리에는 모조 비석이 서 있다. 화강석으로 된 비는 높이 155cm, 폭은 71cm이다. 신라 제24대 진흥왕 때(540~576)에 왕의 북한산 순행.. 화랑유적지 200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