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은사와 대안탑 대자은사 정문 대자은사 현판 자은사 당고종(唐高宗:628∼683년)이 그의 어머니 문덕(文德)황후를 위해 648년에 세운 사찰이다. 이 사찰에서 유명한 것은 대안탑(大雁塔)으로 높이 64m, 7층의 누각식으로 지어졌다. 대안탑은 현장 (玄奬)이 645년에 인도에서 가지고 온 1,335권의 경문을 번역하.. 나라 밖(국외)/중국 2007.08.11
석탈해왕탄강유허비 석탈해왕탄강유허비(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한수원 후문에 있는 나아공원 내) 신라석탈해왕탄강유허비 비각 내의 석탈해왕탄강유허비 석탈해왕유허비 - 신라 석탈해왕의 탄강지에 세운 비로 조선 고종때 석씨(昔) 문중 에서 세웠는데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542-1번지에 있다. 삼국사기에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8.01
정다산유적지(다산초당) 정산유적지 입구 다산초당 가는 길 다산초당 다산초당 강진만이 한눈으로 굽어 보는 만덕산 기슭에 자리한 다산초당은 다산 정약용 선생이 강진 유배 18년중 10여년 동안을 생활하시면서 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등 500여권에 달하는 조선조 후기 실학을 집대성 하였던 곳이다. 다산.. 전남 2007.07.26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고산유물관 세연정 모형 가야금 교지 녹우당 들어가는 문 녹우당 해남윤씨녹우단(海南尹氏綠雨壇 사적 제167호) 고산 윤선도가 살았던 집으로 윤선도의 4대 조부인 효정(1476∼1543)이 연동에 터를 정하면서 지은 15세기 중엽의 건물이다. 집터 뒤로는 덕음산을 두고, 앞에는 벼루봉과 그 오른쪽에 필봉이.. 전남 2007.07.25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청해포구촬영장 청해진유적(淸海鎭遺蹟 사적 제308호)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섬인 장도에 있다. 당시 이곳은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장보고(?∼846)는 평민 출신으로 당나라에 건너가 장군이 되었으나, 해.. 전남 2007.07.25
동천석실.곡수당 동천석실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사적 제368호) 고산< 孤山 > 윤선도< 尹善道 >(1587-1671)는 여러 차례에 걸쳐 정치적 다툼으로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가 고향인 해남< 海南 >에 있을 때 병자호란< 丙子胡亂 >의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강화도< 江華島 >에 이르렀으나.. 전남 2007.07.25
세연정 보길도윤선도유적(甫吉島尹善道遺蹟 사적 제368호) 고산< 孤山 > 윤선도< 尹善道 >(1587-1671)는 여러 차례에 걸쳐 정치적 다툼으로 유배생활을 하게 되었다. 그가 고향인 해남< 海南 >에 있을 때 병자호란< 丙子胡亂 >의 소식을 듣고 배를 타고 강화도< 江華島 >에 이르렀.. 전남 2007.07.25
미황사 자하루 클릭하시면 원본 사진(파노라마)이 ... 미황사대웅전(美黃寺大雄殿 보물 제947호) 미황사 사적비(事蹟碑)에 의하면 의조화상(義照和尙)이 신라 경덕왕(景德王) 8년(749)에 창건하였다고 한다. 임진왜란(1592)으로 전화(戰禍)를 입은 후 조선 선조(宣祖) 31년(1598) 중창하였으며, 그후 영.. 전남 2007.07.25
지리산제일문 오도재에 있는 지리산제일문 공사 중인 지리산제일문 휴게 시설 지리산제일문에서 본 마천면 쪽 오도재 산신각 오도산령신지위 성벽에 있는 나방이 아름답게 보여서 촬영 경남 2007.07.24
함양상림(咸陽上林) 함양상림(咸陽上林 천연기념물 제154호) 함양읍(咸陽邑)의 서쪽을 흐르고 있는 위천(渭川)가를 따라서 조성(造成)된 호안림(護岸林)이다. 소나무 측백나무 및 노간주나무 등의 나자식물(裸子植物)을 비롯하여 임관(林冠)을 형성(形成)하고 있는 수종(樹種)은 다음과 같다. 갈참나무, 갈졸참.. 경남 2007.07.24
신라흥덕왕릉(新羅興德王陵) 흥덕왕릉 신라흥덕왕릉(新羅興德王陵.사적 제30호. 경북 경주시 안강읍 육통리 산42 ) 신라 제42대 흥덕왕(재위 826∼836)의 무덤으로 무덤제도가 잘 갖추어진 왕릉이다. 흥덕왕의 본명은 김수종(경휘)이며, 제41대 헌덕왕의 아우이다. 장보고로 하여금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서해를 방어..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7.11
경주오야리삼층석탑 소광사 대웅전과 오야리삼층석탑 오야리삼층석탑(문화재자료 제93호 경주시 천북면 오야리 산 31) 이 탑은 천북면 독담산 중복의 소광사 경내에 있는데 너비 5.5m*7.3m, 높이 3.6m의 자연 암반을 지대석으로 하여 세워져 있다. 전탑을 모방한 삼층의 모전석탑으로 탑재 일부는 결실되었으며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7.07
경주안압지 옆 연밭에 연꽃이 아름답습니다. 클릭하시면 큰 사진이 나옵니다.(파노라마 사진) 원산지 : 인도로 추정하나 확실치 않다. 이집트라는 의견도 있다 잎 : 잎은 근경에서 나오고 엽병이 길며, 물 위에 높이 솟고 둥근 방패모양이며 백록색이고 엽맥이 사방으로 퍼지며 지름 40cm정도로서 물에 잘 젖지 않고 엽병은 원주형이며..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7.06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比安面自樂洞石造如來坐像) 석불사의 석굴암 법당 비안면자락동석조여래좌상 (比安面自樂洞石造如來坐像) : 경상북도유형문화재 56호 해망산 일명 굴암산 중턱의 병풍처럼 둘러싸인 암벽에 자연동굴이 있고 그 안에 불상이 있다. 연꽃무늬가 새겨진 4각의 대좌(臺座)위에 양 발을 무릎 위로 올린 모양으로 앉아있는데, 신체는 전.. 경상북도/의성 2007.06.18
하회마을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하회마을 방문 기념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하회마을 방문 기념관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생일상(하회마을 방문일이 생일이었음) 김치담는 모습 관람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하회마을 방명록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 봉.. 경상북도/안동 2007.06.18
병산서원 병산서원의 병산(산세가 7폭의 병풍과 같다하여 병산이라 함) 병산서원(사적 제260호)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 경상북도/안동 2007.06.18
울진기미만세기념비 이 기념탑과 비는 1989년 4월 11일에 기공하여 1991년 8월 15일에 세워진 것으로 1919년 3.1운동 당시 전국 방방곡곡에서 대한독립만세의 함성이 메아리 칠 때, 이 고장에도 군민의 대다수가 4월 11일을 기하여 독립만세를 외쳤다. 그 당시의 거룩한 충성심을 영세(永世)에 기리기 위해 군민의 치.. 경상북도/울진 2007.06.15
만고의 열녀 성춘향의 묘 춘향전의 줄거리 : 성춘향(成春香)은 1675년(조선 제19대 숙종) 음력 4월 8일, 남원부의 퇴기(退妓) 월매와 성씨라는 양반 사이에서 태어났다. 16세가 되던 단오(端午)에 사또 자제 이몽룡(李夢龍)과 광한루에서 처음 만나 사랑을 맺는다. 이도령이 한양으로 영전해 가는 부친을 따라 떠난 후 춘향은 후임 .. 전북 2007.06.15
용담사지 용담사는 백제 성왕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는 사찰로, 전설에 의하면 용담천 깊은 물에 이무기가 살면서 온갖 행패를 부리자 이를 막기위해 신라말 도선국사가 절을 창건하여 용담사라 이름을 지으니, 그 뒤로는 이무기의 나쁜 행동이 없어졌다고 한다. 전설을 뒷받침하듯 절 안의 대웅전은 북쪽을 .. 전북 2007.06.15
문경 새재 경상북도 100주년 타임캡술 경상북도 100주년 타임캡술 과거길 교구정지 표석 산불조심 표석 문경새재 민요비 제1관문(주흘관) 문경관문(제1,제2,제3관문 및 부속성벽) (聞慶關門(第1,第2,第3關門및附屬城壁)) 사적 제147호) 영남지방과 서울간의 관문이자 군사적 요새지이다. 이곳은 고려 초부터 조령이라.. 경상북도/문경 2007.06.15
비안 향교 비안향교 (比安鄕校) 경상북도문화재자료 263호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께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비안향교는 원래 관아 소재지였던 비안현 소재지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없어졌다. 광해군 2년(1610) 지금 있는 자리에 복원하였다. 임진왜란 때는 이 지역 사람인 손복이 향교의 위패를 산중 굴속에 숨겨 무사히 피해를 면했다고 전한다.지금 남아 있는 건물로는 제사 공간인 대성전과 동무·서무, 교육 기능을 수행하는 강당인 명륜당, 삼문 등이다. 대성전에는 공자를 비롯한 그 제자와 우리나라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관풍루 대성전 명륜당 하마비 경상북도/의성 2007.06.15
선돌(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선돌(경북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 길쭉한 돌을 그대로 또는 약간 손질하여 세운 사람의 의지가 깃들인 돌기둥. 입석(立石 menhir)이라고도 한다. 고인돌과 더불어 대표적인 큰돌문화[巨石文化]에 속한다. 고인돌에 비교하여 볼 때 우리나라에는 많이 분포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선돌 자체가 단순한 구조.. 경상북도/의성 2007.06.15
경천대, 사벌왕릉, 화달리 삼층석탑 상주 경천대 경천대에는 하늘로 우뚝 솟아오른 절벽 위로 송림이 우거져 있고, 반대편에는 금빛 모래사장이 펼쳐져 있으며, 그 사이로 푸르디푸른 강이 흐른다. 이 눈부신 절경을 경천대에서 내려다보면 이곳의 빼어난 경관에 대한 찬양과 명성이 헛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 더해 .. 경상북도/상주 2007.06.15
금오산성 도선굴에서 본 금오산 계곡 금오산 계곡 금오산성(시도기념물제67호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시에 있는 해발 976m의 험준한 금오산의 정상부와 계곡을 감싸 내·외성 2중으로 돌로 쌓아만든 산성이다. 내성은 정상부에 테를 두른 모양으로 쌓았는데 둘레가 10리나 되며, 험한 절벽에는 따로 성벽을 쌓지 .. 경상북도/구미 2007.06.15
백석탄 안덕면 고와리의 백석탄 청송군 안덕면 고와리계곡에 있는 백석탄(白石灘)은 어떻게 보면 그곳에 어울리지 않는 것같은 정교한 예술조각의 유려함을 갖추고 있다. 마치 옥 같은 여울속에 알프스 흰 산맥의 일부를 잘라서 갖다 놓은 것 같은 눈빛 연봉은 방호정 맑은 물에서 목욕을 했다는 선녀의 옷자.. 경상북도/청송 2007.06.15
무심 경주남산 탑곡마애조상군에서 빈마음,그것은 무심이라고 한다. 빈마음이 곧 우리들의 본 마음이다. 무엇인가 채워져 있으면 본 마음이 아니다. 텅 비우고 있어야 거기 울림이 있다. 울림이 있어야 삶이 신선하고 활기있는 것이다. - 물소리 바람소리에서 - 기타/공(空) 2007.06.15
신라 3대 금동불(불국사 비로자나불. 아미타불, 백률사 약사여래상) 신라 3대 금동불 금동비로자나불좌상(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조사상(불국사) 금동약사여래입상(경주 백률사) 불국사 비로전 비로전(毘盧殿)과 금동비로자나불좌상(국보 26호) 비로전은 무설전 뒤쪽 높은 곳에 있으며 관음전 왼쪽 아래에 있다. 건물은 1973년 복원 공사 때 고려 시대의 양식..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6.13
헌덕왕릉 헌덕왕릉(사적 제29호) 경주 북천가에 있는 신라 제41대 헌덕왕(재위 809∼826)의 무덤이다. 헌덕왕의 본명은 김언승이며,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이 되었다. 재위기간 동안에 농사를 권장하고 당나라와 친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나, 김헌창의 난과 김범문의 난이 일어나는 등 국내정세가 ..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6.13
有我無蛙 人生之恨 이규보선생 묘소 이규보(1168~1241) 有我無蛙人生之恨 "나는 있으나 개구리가 없는게 인생의 한이다"란 뜻입니다. 고려 말 시대...유명한 학자이셨던 이규보 선생께서 몇 번의 과거에 낙방하고 초야에 묻혀살 때 집 대문에 붙어있던 글입니다. * 이 글에 대한 유래... 임금이 하루는 단독으로 야행을 나.. 기타/공(空) 2007.06.13
감은사지 감은사지 전경(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감은사지에서 본 대왕암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크기의 사진이 ...) 감은사지 삼층석탑(국보 제112호) 감은사터 넓은 앞뜰에 나란히 서 있는 쌍탑이다.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 경주/경주인근자료 2007.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