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목련 서암정사(경남 함양군 마천면 광점길 27-79. 지번: 마천면 추성리 279-2)의 황목련 황목련 ㅇ원산지-북미 ㅇ분류-목련과 / 목련속 ㅇ생장형태-낙엽 활엽 교목 ㅇ학명-Magnolia acuminata L. ㅇ꽃-5~6월경 가지끝에 녹색을 띈 노란색꽃이 피며 꽃잎은 6장으로 바깥쪽 3장은 짙은 녹색이 들어간 노란.. 경남 2019.05.25
겁외사(劫外寺) 성철대종사생가(겁외사劫外寺): 경남 산청군 단성면 성철로 125 퇴옹 성철(退翁性徹 1912~1993년) 퇴옹 성철 큰 스님은 출가한 곳 해인사 백련암에서 1993년 10월 4일 7시30분 열반에 들었다. 그는 어지럽던 한국불교를 제자리로 돌려놓은 가야산 호랑이었고 우리 한국 불교의 얼굴이었다. 타종.. 경남 2019.05.06
산청 남사마을 옛 담장 산청 남사예담촌 남사마을은 수많은 선비들이 과거에 급제하여 가문을 빛냈던 학문의 고장으로, 공자가 탄생하였던 니구산(尼丘山)과 사수(泗水)를 이곳 지명에 비유할 만큼 예로부터 학문을 숭상하는 마을로 유명합니다. 2003년 농촌전통 테마마을로 지정된 “남사 예담촌”은 고즈넉한.. 경남 2019.05.06
산청 목면시배유지(山淸 木棉始培遺址) 산청 목면시배 유지(山淸 木棉始培 遺址. 사적 제108호. 경남 산청군 단성면 목화로 887((지번) 단성면 사월리 105-1) 선생은 서기1331년 2월 8일 고려 강성현 지금의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 배양에서 남평문씨 충정공 문숙의 아들로 태어나 성품이 총명하고 온후하며 어릴적부터 재주가 뛰어나 .. 경남 2019.05.04
산천재山天齋 · 남명매南冥梅 · 여재실如在室 위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산천재(山天齋)는 조선 중기 유학자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 선생이 이순(耳順)을 넘긴 나이에 천왕봉이 바라보이는 지리산(智異山, 頭流山, 方丈山) 자락으로 옮겨 노년을 보낸 곳이다., 德山卜居 (덕산에 살면서) 春山底處無芳.. 경남 2019.05.03
산청 덕천서원 (山淸 德川書院) 산청 덕천서원 (山淸 德川書院. 도지정문화재.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면 남명로137번길 4) 남명 조식(1501∼1572)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그가 학문을 닦던 곳에 세운 서원이다. 조선 선조 9년(1576)에 지었고, 광해군 원년(1608)에 사액서원이 되어 나라의 공인과 지원을 받았다. 고종(재위 1863∼.. 경남 2019.05.03
단속사 정당매(政堂梅) 단속사 정당매(政堂梅)(산청 3매.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운리) 정당매는 통정 강회백(1357~1402)이 심은 매화나무로서 꽃의 색깔은 백색이 홑꽃이다.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지리산 줄기가 힘차께 뻗어 내려오다가 멈춘 옥녀봉 아래 남향으로 자리한 단속사 절터에는 동.서의 삼층석탑.. 경남 2019.05.03
단속사지 동·서 삼층석탑(斷俗寺址 東·西 三層石塔) 단속사지 동·서 삼층석탑(斷俗寺址 東·西 三層石塔. 보물 제72 단속사지 동·서 삼층석탑(斷俗寺址 東·西 三層石塔) 산청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山淸 斷俗寺址 東 三層石塔. 보물 제72호. 경남 산청군 단성면 운리 303-2번지) 단속사 터의 금당터 앞에는 동서로 두 탑이 서 있는데 그 중 .. 경남 2019.05.02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사적 제514호.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129 등) 창녕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진한의 12개 나라 중 하나인 불사국으로, 비사벌이라고 불리던 곳이다.창녕읍 교리 및 송현리 일대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대형 고분군으로, 1911년 일본인 .. 경남 2019.02.24
창녕 영산 서리유적 서구(西丘) 15호 석실무덤 창녕 영산 서리유적 서구(西丘) 15호 석실무덤 유적명 : 창녕 영산 서리농공단지 조성부지 내 유적 유적면적 : 215,118㎡ 조사기간 : 2010. 2. 16 ~ 11. 15 조사기관 : (재)삼강문화재연구원 경남 창녕 영산 서리유적은 영산 서리농공단지 조성사업 부지 내에 위치한다. 발굴조사에서 조선시대 무덤.. 경남 2019.02.23
창녕 계성고분군 Ⅱ지구 1호분 - 창녕박물관으로 이전·복원 - 국도 5호선 확장구간에 포함되어 1988년 호암미술관에 의해 발굴조사된 계성고분군의 Ⅱ지구 1호분은 영축산에서 서쪽으로 뻗어 내린 구릉의 정상부에 자리 잡은 대형봉토 석실무덤이다. 이 고분은 이미 도굴된 상태였음에도 불구하고 금제큰고리귀걸이(金製太環耳飾) 등 중요한 유물이 .. 경남 2019.02.23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배 경남 창녕 비봉리 고분에서 신석기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배(木舟)가 출토됐다. 발굴팀은 고고학적 퇴적층위로 미뤄 이 배의 제작 연대를 8천여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이는 지금까지 출토된 선사시대의 배로는 최고(最古)연대다. 가공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불에 그을린 흔.. 경남 2019.02.23
국산 1호 항공기 부활(復活) 사천에서 개발된 국산1호 항공기 부활 1953년 공군이 국내 최초로 자체 설계, 제작한 소형 동력항공기. 한국전쟁으로 인해 피폐한 국민의 자존심 회복을 위해 이승만 대통령이 “復活”이라는 친필 휘호를 하사 국산 1호 항공기 부활 (등록문화재 제411호.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 경남 2019.01.03
진주晉州 성전암聖殿庵 성전암聖殿庵 : 경상남도 진주시 이반성면 장안로65번길 291 풍수지리의 개산조인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백두산의 정기는 동해를 끼고 남북으로 뻗은 거맥이 한강 이북에는 삼각산에 머물고, 한강 이남에는 여항산에 맺혔다 하고 성인이 계시는 대찰이라 성전암으로 이름하여 창건하였다.. 경남 2018.09.30
호암(湖巖) 이병철(李秉喆) 생가 호암 이병철 생가(경상남도 의령군 정곡면 호암길 22-4) 대대로 유학을 숭상하며, 부유한 선비의 집안에서 태어나 유복한 소년시절을 보냈지만 음식을 남기는 것을 아주 싫어했을 정도로 낭비에 대해서는 용인하지 않았던 호암 이병철선생의 생가이다. 남서향으로 지어진 일자형 생가는 .. 경남 2018.08.13
창녕지구 전승비(UN전적비) 국가 보훈처 지정 현충시설 (관리번호: 42-2-26) 동족상잔의 비극인 한국전쟁 중이던 1950년 8월 7일 함양과 거창을 점령한 북한군은 이곳 창녕과 현풍을 탈취한 뒤 대구를 포위 공격하려는 계획으로 낙동강 돌출부인 남지읍 박진나루, 오항나루, 유어면 부곡리를 건너 교두보를 확보하기 위.. 경남 2018.08.12
창녕척화비(昌寧斥和碑) 창녕척화비(昌寧斥和碑. 문화재자료 제218호.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 높이 1.23㎝, 폭46㎝, 두께 20㎝ 화강암제로서 「洋夷侵犯非戰則和主和賣國」(양이침범비전척화주화매국-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해를 하자는 것이니, 화해를 주장함은 나라를 파는 것이다.).. 경남 2018.08.12
창녕객사(昌寧客舍) 창녕객사(昌寧客舍. 시도유형문화재 제231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22번지) 객사는 조선시대의 지방 관아건물로 고을 수령이 임금의 위패를 모시고 예를 올리는 정당과 중앙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머물렀던 좌·우헌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어진 시기는 알 수 없고 1924년 군수 이장.. 경남 2018.08.12
퇴천삼층석탑(兎川三層石塔) 퇴천삼층석탑(兎川三層石塔. 시도유형문화재 제10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1번지) 원래 창녕읍 퇴천리 398번지에 있었던 것을 1969년 10월에 해체·보완수리하여 현재의 위치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민가 안에 무너져 있던 것을 1969년 10월에 해체, 보수하여 창녕의 만옥정 공원으로.. 경남 2018.08.12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국보 제33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리 28-1번지) 빛벌가야(지금의 창녕군)를 신라 영토로 편입한 진흥왕이 이곳을 순시하면서 민심을 살핀 후 그 기념으로 세운 비이다. 당시 창녕군은 신라가 서쪽으로 진출하는데 있어 마치 부채살의.. 경남 2018.08.12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국보 제34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시장2길 37 (술정리)) 탑이 세워져 있는 창녕군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신라의 영역에 속해 있던 곳이며, 진흥왕 때부터 신라의 정치·군사상의 요지가 되었다. 탑은 2단의 기단(基壇)에 3층의 탑신(塔身)을.. 경남 2018.08.12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西 三層石塔)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西 三層石塔. 보물 제520호. 경남 창녕군 창녕읍 술정서탑길 4-7 (술정리)) 이 탑이 속해 있던 사찰의 이름은 전하지 않으며, 신라식 일반형 석탑으로 2단의 기단(基壇)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이 탑은 아래·위층 기단을 8개의 돌로 구.. 경남 2018.08.12
정암(鼎巖 솥바위) 정암루(鼎巖樓.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남강로 686) 남해 고속도로 군북 IC에서 내려 10분 가량 달리면 충의의 고장 의령의 관문에 다다르고 남강물 유유히 흐르는 철교아래 가마솥을 닮은 바위 하나가 물위에 유유자적 하니 그 이름이 바로 솥바위이다. 물에 드러난 형상만 보고도 금방 .. 경남 2018.08.12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宜寧 世干里 은행나무)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宜寧 世干里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2호.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808외 3필)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 경남 2018.08.10
의령 세간리 현고수(宜寧 世干里 懸鼓樹(느티나무)) 의령 세간리 현고수(느티나무)(宜寧 世干里 懸鼓樹(느티나무).천연기념물 제493호.경남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1000 ) 느티나무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분포하고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열매는 원반모양으로 10월에 익는다. 예전부터 우리나라 마을에는 .. 경남 2018.08.10
일붕사(一鵬寺) 일붕사(一鵬寺.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청정로 1180-42 (궁류면)) 천혜의 자연 요건을 갖춘 봉황산에 소개한 일붕사는 세계 최대 동굴법당으로 영국 기네스북에 등재돼 있으며 서기 727년 신라의 혜초스님이 창건한 성덕암이 현재 일붕사의 전신이다. 일붕사 창건유래 이곳은 약 1330년 전에 .. 경남 2018.08.09
의령 입산리 탐진안씨 종택(宜寧 立山里 耽津安氏 宗宅) 의령 입산리 탐진안씨 종택(宜寧 立山里 耽津安氏 宗宅.문화재자료 제437호 .경상남도 의령군 입산로2길 15-5 (부림면)) 고조부 안영제가 1906년(광무 10, 병오)에 건립한 근대한옥으로, 입산마을에 세거하는 탐진안씨의 종가로 안채의 대청 종도리 받침장여 밑면에 “大韓光武十年丙午....”.. 경남 2018.08.09
의령 안희제 생가(宜寧 安熙濟 生家) 의령 안희제 생가(宜寧 安熙濟 生家.문화재자료 제193호.경남 의령군 부림면 입산로2길 37 (입산리)) 백산 안희제(1885∼1943) 선생의 생가이다. 안희제는 독립운동가로 창남학교, 의신학교 등을 설립하여 신학문 보급에 힘을 썼으며, 민족언론의 선구자 역할도 하였던 분으로 59세로 생을 마.. 경남 2018.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