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암 죽정리 국장생(靈岩竹亭里國長生) 영암죽정리국장승(靈岩竹亭里國長生. 전라남도 민속문화재 제18호. 전남 영암군 군서면 도갑리 산114-4번지) 구림리에서 도갑사쪽으로 1㎞쯤 되는 북쪽 숲속에 자리하고 있는 장승으로, 장승이 서 있는 이곳이 도갑사로 가는 옛길로 전하고 있어 절의 영역을 표시하는 기능을 했던 것으로 .. 전남 2017.12.04
목포의 눈물 노래비 목포의 눈물 노래비 이순신 장군의 동상과 오포대를 뒤로 하고 40m만 올라가면 바윗돌 위에 목포가 낳은 국민가수 이난영(본명 이옥례)의 '목포의 눈물 노래비'가 있다. 노래비에는 사시사철 이난영의 노래를 들을 수 있도록 녹음 장치를 해놓았다.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전남 2017.12.04
목포오포대(木浦旿砲臺) 목포오포대(木浦旿砲臺.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8호. 전남 목포시 만호동 1-56번지) 오포대는 목포시 유달산 입구의 이충무공 동상 남서쪽에 있다. 예전에 오포는 포탄 없이 화약만 넣고 포를 쏘아, 시민들에게 정오가 되었음을 알려주는 기능을 하였다. 처음의 포는 조선식 선입포로 현.. 전남 2017.12.04
목포 도로원표 목포 -> 신의주 939km (판문점까지의 거리 498km) 골목길 지나 한 길로, 고갯길 넘어 바른 길 찾아서 남쪽으로 내달리면 뱃길과 찾길이 만나는 곳! 목포에 늘 처음처럼 길머리에 시작을 알려주는 도로 원표가 있다. 목포시 대의동에 위치해 있는 도로원표는 특별한 의미가 있습니다. 1번 국.. 전남 2017.12.02
목포진지(木浦鎭址) 목포진지(木浦鎭址.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37호. 전남 목포시 만호동 1-56번지) 목포진은 조선시대 수군의 진영(鎭營)이며 목포영·목포대라고 불렀고 만호(萬戶)가 배치되었다고 해서 만호영·만호진·만호청이라 부르기도 했다. 지리상으로 볼 때 목포는 영산강 하구를 안고 있으며, .. 전남 2017.12.02
강진 무위사(康津 無爲寺) 무위사 일주문 무위사는 사적기에 의하면 신라 진평왕 39년(서기 617) 원효대사에 의해 당초 관음사로 창건되었다고 하나 명확한 근거는 없다. 다만 신라시대부터 무위갑사란 이름으로 불려 왔던 사실은 경내에 현존하고 있는 선각대사편광탑비명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무위사에 현존하.. 전남 2017.12.02
무위사 삼층석탑(無爲寺三層石塔) 무위사 삼층석탑(無爲寺三層石塔.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76호.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월하리) ) 무위사 극락전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는 탑으로, 전체의 무게를 지탱하는 기단(基壇)을 2층으로 두고, 그 위로 3층의 탑신(塔身)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기단은 각 층의 4면마다 기둥 .. 전남 2017.12.02
강진 무위사 미륵전(康津無爲寺彌勒殿) 미륵전(彌勒殿) 석불(石佛) 극락보전 북서쪽 비켜 선 미륵전에는 흔히 보는 시골 동네 아줌마 같은 석불이 모셔져 있다. 부근의 수양리 수암마을에 있던 것을 무위사로 옮겨 모셨다고 전한다. 전남 2017.12.02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康津 無爲寺 先覺大師塔碑.보물 제507호. 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무위사는 전라남도 강진의 월출산 동남쪽에 있는 사찰이다. 신라의 명승 원효(元曉)가 창건하여 ‘관음사’라 하였고, 명종 5년(1550) 태감(太甘)이 4번째로 세우면서 무.. 전남 2017.12.02
강진무위사극락보전(康津無爲寺極樂寶殿).아미타여래삼존좌상(阿彌陀如來三尊坐像).아미타여래삼존벽화(阿彌陀如來三尊壁畵).백의관음도(白衣觀音圖)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康津 無爲寺 極樂寶殿.국보 제13호.전남 강진군 성전면 무위사로 308, 무위사 (월하리)) 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 전남 2017.12.02
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靑磁 堆花文蟾形 硯)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靑磁 堆花文蟾形 硯.보물 제1782호.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0 (용해동,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청자 퇴화문두꺼비모양 벼루는 태안 대섬 해저에서 대접, 접시, 완, 발우, 주자, 향로, 도기, 목간과 함께 출토되었다. 특히 목간에서 ‘탐진현재경대정인수호부사기.. 전남 2017.12.02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靑磁 象嵌菊花牡丹柳蘆竹文 梅甁 및 竹札)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 및 죽찰(靑磁 象嵌菊花牡丹柳蘆竹文 梅甁 및 竹札.보물 제1783호.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6-0 (용해동,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청자 상감국화모란유로죽문 매병과 죽찰은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마도에서 마도2호선이라 명명된 고려시대 선박에서 출토.. 전남 2017.12.02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新安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 신안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新安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천연기념물 제535호.전라남도 목포시 남농로 135-0 (용해동, 목포자연사박물관 자연사관동) ) 전남 신안군 압해도 수각류 공룡알 둥지 화석은 둥지 지름이 2.3m, 높이가 약 60cm, 무게가 3톤인 국내 최대 규모의 공룡 .. 전남 2017.12.02
목포 갓바위 (목포 갓바위) 목포 갓바위 (목포 갓바위.천연기념물 제500호. 전남 목포시 용해동 86-24번지 인접해역 ) 목포 갓바위는 해수와 담수가 만나는 영산강 하구에 위치해 풍화작용과 해식작용의 결과로 형성된 풍화혈(風化穴; tafoni)로서 삿갓을 쓴 사람의 특이한 형상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풍화혈은 노출암.. 전남 2017.12.02
백제불교도래지 2012년 9월에 촬영한 사진 법성포 좌우두는 인도승 마라난타가 A.D 384년에 중국 동진을 거쳐 백제에 불교를 전하면서 최초로 발을 디딘곳으로 법성포의 법(法)은 불교를 성(聖)은 성인인 마라난타를 뜻하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부용루, 탑원, 간다라 유물전시관, 4면 대불상을 건립하였고 .. 전남 2017.09.17
담양 삼지천마을 옛 담장 담양 삼지천마을 옛 담장(등록문화재 제265호.전남 담양군 창평면 삼천리 82-1 등) ­돌과 흙을 사용한 토석담으로 비교적 모나지 않은 화강석 계통의 둥근 돌을 사용하였고, 돌과 흙을 번갈아 쌓아 줄눈이 생긴 담장과 막쌓기 형식의 담장이 혼재되어 있다. S자형으로 자연스럽게 굽어진 .. 전남 2017.07.27
담양 분향리 석불입상(潭陽分香里石佛立像) 담양 분향리 석불입상(潭陽分香里石佛立像.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44호.전남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산15번지)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에 있는 석불입상이다. 둥글고 풍만한 얼굴에는 미소를 띠고 있어 보는 사람들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한다. 굴곡이 있는 신체는 사실적으로 표.. 전남 2017.07.26
담양 송강정(潭陽 松江亭) 담양 송강정(潭陽 松江亭.전라남도 기념물 제1호.전라남도 담양군 송강정로 232 (고서면) ) 정송강 유적은 조선 중기 학자이자 정치가인 정철(1536∼1593)이 성산에 와 있을 때 머물렀던 곳으로, 송강정과 식영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철은 호가 송강으로, 명종 16년(1561) 27세의 나이로 과거에.. 전남 2017.04.09
면앙정(俛仰亭) 면앙정(俛仰亭.전라남도 기념물 제6호. 전남 담양군 봉산면 면앙정로 382-11 (제월리)) 면앙정은 중종 28년(1533)에 면앙정 송순(1493∼1582)선생이 관직을 떠나 선비들을 가르치며 여생을 보내던 정자로, 퇴계 이황을 비롯한 유명인사들과 학문에 대해 토론하던 곳이다. 조선 중기 문신인 송.. 전남 2017.04.09
진도 남도진성(珍島 南桃鎭城) 진도 남도진성(珍島 南桃鎭城.사적 제127호.전남 진도군 임회면 남동리 149번지11) 고려 원종(재위 1259∼1274), 삼별초가 진도에서 몽골과 항쟁을 벌일 때 해안지방을 방어하기 위해 쌓은 성으로, 삼별초가 제주도로 옮겨갈 때 이곳에서 출발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백제 때 진도에는 3개의 .. 전남 2015.11.28
강진 남미륵사(南彌勒寺) 위치: 전남 강진군 군동면 풍동1길 6 세계 불교 미륵대종 총본산인 남미륵사는 1980년에 석 법흥 스님이 창건하였다. 이후 법흥스님이 30여 년 동안 새로운 건물을 중창하고, 꽃과 나무로 사찰 안팎을 가꾸어 현재의 웅장하고도 아름다운 경관을 갖게 되었다. 현재 남미륵사에는 동양 최대 .. 전남 2015.11.09
나주(羅州) 남고문(南顧門) 나주 남고문(南顧門.전남 나주시 남내동 2-20) 나주읍성은 대부분의 조선시대 읍성과 마찬가지로 평지와 구릉을 이용하여 축조한 평산성으로 배후에는 금성산성을 이루고 있다. 전체 성벽의 크기를 복원해 보면 둘레가 3.679m 면적은 974.390㎡이다. 그러나 현재는 대부분이 훼철되어 부분적.. 전남 2015.10.29
「청주 명암동 출토‘단산오옥’명 고려 먹」보물 지정 예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고려 시대 먹 - 「청주 명암동 출토‘단산오옥’명 고려 먹」보물 지정 예고 - 현존하는 가장 오래 된 고려 시대 먹 -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청주 명암동 출토 ‘단산오옥’명 고려 먹(淸州 明岩洞 出土 ‘丹山烏玉’銘 高麗 墨)」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청주 명암동 출토 ‘.. 전남 2015.08.30
금빛 범자로 장식된 고려 시대 목관, 극락왕생의 염원을 담다 - 순창 농소고분 출토 목관에서 금가루로 쓰인 300여 자의 범자 확인 - 금빛 범자로 장식된 고려 시대 목관, 극락왕생의 염원을 담다 - 순창 농소고분 출토 목관에서 금가루로 쓰인 300여 자의 범자 확인 -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상준)는 지난해 12월 전라북도 순창 운림리 농소고분에서 출토된 관곽(棺槨)을 조사한 결과, 관곽의 내관(內棺)인 .. 전남 2015.08.30
다시 볼 수 없는 미황사 석조에 비친 달마산 미황사 석조에 비친 달마산과 미황사 대웅보전 (현재 이 석조는 자하루 뒤편 축대 아래로 옮겨져 있어 위의 광경을 볼 수 없습니다) 2007년 7월22일 오후 늦은 시각에 달마산 미황사 답사에서 석조에 비친 달마산 경치에 취하여 달마산 한 번 쳐다보고, 석조 한 번 쳐다보고 ... ... ... ..., 시.. 전남 2015.07.23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 尹善道 園林)-곡수당. 낙서재-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 尹善道 園林.명승 제34호.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200번지 등) 조선 중기 문신이며, 시인인 고산 윤선도(1587~1671)가 병자호란 때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울분을 참지 못하고 제주도로 향하다, 보길도의 자연경관에 감동하여 머물렀다고 한다. 보길도는 .. 전남 2015.07.20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 尹善道 園林-세연정-)의 여름 풍경 보길도 윤선도 원림(甫吉島 尹善道 園林.명승 제34호.전남 완도군 보길면 부황리 200번지 등) 조선 중기 문신이며, 시인인 고산 윤선도(1587~1671)가 병자호란 때 왕이 항복했다는 소식을 듣고 울분을 참지 못하고 제주도로 향하다, 보길도의 자연경관에 감동하여 머물렀다고 한다. 보길도는 .. 전남 2015.07.20
미황사 설봉당(雪峯堂) 승탑(부도) 및 탑비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우리나라 육지의 최남단에 있는 절로서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하였다 부도전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大興寺)의 말사이다. 우리나라 육지의 최남단에 있는 절로서 749년(경덕왕 8) 의조(義照)가 창건.. 전남 2015.07.19
오산(鼇山) 사성암(四聖庵) 사성암(四聖庵.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33호.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사성암길 303 (죽마리, 사성암)) 해발 500m의 오산에 있는 암자로 고승들이 수도하던 곳이다. 오산 꼭대기에 있는데 원효·의상·도선·진각 등 네 명의 고승들이 이곳에서 수도했다하여 ‘사성암’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전남 2015.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