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강서원충열사 및 14의사묘정비(龍岡書院忠烈祠 및 14義士廟庭碑) 용강서원충열사(龍岡書院忠烈祠) 용강서원충열사 및 14의사묘정비(龍岡書院忠烈祠및14義士廟庭碑.경상북도 기념물 제129호.경북 청도군 이서면 모산길 45-4 (학산리) ) 고려 때 문신으로 청도에 터전을 잡아 밀양 박씨의 시조가 된 박익(1332∼1398)과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14의사의 충절을 .. 경상북도/청도 2014.07.03
청도삼베짜기(淸道삼베짜기) 청도삼베짜기(淸道삼베짜기.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4호. 경북 청도군 운문면 정상길 21-12 (정상리)) 삼베는 베라고도 불리며 한자어로는 마(麻)·마포(麻布)·포(布)라고도 한다. 삼베는 신석기시대의 궁산패총에서 뼈로 된 바늘에 마사가 감긴 것이 출토된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사용된.. 경상북도/청도 2014.07.03
금호서원(琴湖書院).이운룡 선무공신교서 및 관련고문서.이운룡장군영정(李雲龍將軍影幀).식성군문적(息城君 門籍).의령 오천리 이운룡장군 묘 금호서원(琴湖書院.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08호.경북 청도군 이서면 홍선리 44외 3필) 동계 이운룡 장군과 향산 이백신을 기리기 위해 세운 서원이다. 이운룡(1562∼1610)은 선조 18년(1585)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 때 많은 공을 세워 경상우수사 겸 3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이 서원.. 경상북도/청도 2014.07.02
용천사대웅전(湧泉寺大雄殿) 신라 문무왕 10년(670)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이 절은 최치원에 의해 화엄십찰(華儼十刹) 중 하나로 기록되고 스님만 수천 명에 이르는 대가람으로 위상을 떨쳤다고 한다. 고려 원종 2년(1261)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 스님에 의해 중창된 유서깊은 곳이다. 창건 당시 이름은 옥천사였고 일.. 경상북도/청도 2014.07.01
청도읍성(공북루) 밖의 가시연꽃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읍성 공북문(공북루) 밖의 연못 청도읍성 공북루 학명 : Euryale ferox Salisb. 분포 : 아시아. 서식지 : 늪지대. 연못 크기 : 약 20cm~2.0m. 꽃말 : 청정. 신성, 순결, 번영, 장수, 그대에게 행운을 큰 잎은 지름이 200㎝에 이른다. 잎 표면.. 경상북도/청도 2012.09.03
청도 이호우·이영도 생가 (淸道 李鎬雨·李永道 生家) 청도 이호우.이영도 생가 (淸道 李鎬雨.李永道 生家.등록문화재 제293호.경북 청도군 청도읍 유천길 46,(내호리)) 1910년 경에 건축된 근대기 단층 한옥 집으로 시조 시인 이호우.이영도의 생가안채와 사랑채는 'ㄱ자형'으로 지어져 있다..전통 시조형식에 현대적인 감각과 정서를 담아낸 이.. 경상북도/청도 2012.05.09
적천사 대웅전 (磧川寺大雄殿) 적천사 대웅전 (磧川寺大雄殿.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321호.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리 981) 적천사는 신라 문무왕4년(664년)에 원효대사(元曉大師)가 토굴로 창건하였으며 신라 흥덕왕3년(828년)에 흥덕왕(興德王)의 셋째 아들인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중창하였다. 고려 명종5년(1175년)에는.. 경상북도/청도 2012.05.08
적천사 목조 사천왕의좌상 (磧川寺木造四天王椅坐像) 적천사 목조 사천왕의좌상 (磧川寺木造四天王椅坐像.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53호. 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리 981) 사천왕문은 불국토를 지키는 동서남북의 사천왕상을 모시는 문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외호신(外護神)으로 사악한 마군(魔軍)을 방어한다는 뜻에서 세워졌다. 사천왕이란 수미산(須彌山)중덕에 살면서 동서남북을 지키고 불법을 수호하는 신을 가리킨다. 적천사(象川寺) 목조 사천왕의좌상(四天王椅坐像)은 임진왜란 당시에 병화(兵火)로 소실된 절을 현종5년(1664년)에 사액(賜額)으로 중수(重修)할 때 사천왕문(四天王門)에다 조성(造成)하였다고 전해져오며 그 크기가 각각 높이 348cm 어깨폭 95cm. 높이 34,8cm 어깨폭95cm. 높이380cm 어깨폭 87cm. 높이340cm 어깨폭 90cm 의 4軀로.. 경상북도/청도 2012.05.08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靑道 磧川寺 은행나무) 청도 적천사 은행나무 (靑道 磧川寺.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402호.경북 청도군 청도읍 월곡안길 28-293 (원리)) 은행나무는 살아 있는 화석이라 할 만큼 오래된 나무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중국에서 유교와 불교가 전해질 때 같이 들어온 것으로 전.. 경상북도/청도 2012.05.08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 (磧川寺掛佛幀및支柱) 적천사 괘불탱 및 지주 (磧川寺掛佛幀및支柱.보물 제1432호.경북 청도군 청도읍 원동길 304, 적천사 (원리)) 적천사괘불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오른 어깨로 비켜 올려 연꽃가지를 들고 서 있는 보살 형태의 독존도 형식 그림으로, 다른 인물이나 배경을 전혀 표현하지 않은 단순한 구성.. 경상북도/청도 2012.05.08
달집 태우기(청도 대보름축제) 정월대보름달맞이 정월대보름날 저녁달이 동쪽에서 솟아 오를때면, 사람들은 달맞이를 위하여 뒷동산에 올라간다. 한 겨울이라 춥기는 하지만 횃불에 불을 붙여 가지고 될 수 있는대로 먼저 달을 보기 위해서 산길을 따라 뒷동산에 오르는 것이다. 동쪽 하늘이 붉어지고, 대보름 .. 경상북도/청도 2012.02.06
청도도주줄다리기 18세기(1759)부터 도주줄이라하여 화양읍성 북문밖 강지땅의 원혼들을 달래기 위해 시작하였다. 19세기(1838)에는 영남줄이라 하여 밀양, 창녕 등지에서도 많은 주민들이 참가하여 전국적인 규모를 자랑했으며 20세기(1914)에는 일제시대가 되자 읍내줄로 그세가 약해졌다. 이후 1948년.. 경상북도/청도 2012.02.06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소장문적(密城朴氏三友亭派宗中所藏文籍) 임호서원 경의사(景義祠) 밀성박씨 삼우정파 종중소장문적(密城朴氏三友亭派宗中所藏文籍.보물 제1237호.경북 청도군 금천면 명포길 294-5 임호서원 ) 이 유물들은 밀성박씨문중의 삼우정 박경신(三友亭 朴慶新)과 그의 두 아들인 지남(智男)·철남(哲男)에게 내린 포상 문서인 선.. 경상북도/청도 2011.12.21
청도임당리 김씨고택(淸道林塘里 金氏故宅)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임당리 김씨고택(淸道林塘里 金氏故宅.대한민국중요민속자료 제245호.경북 청도군 금천면 임당리 631) 임당리(林塘里)에는 조선시대 궁중내시(宮中內侍)로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의 관직에까지 올랐던 김일준(金馹俊:1863∼.. 경상북도/청도 2011.12.20
선암서원(仙巖書院)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선암서원(仙巖書院.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79호.경북 청도군 금천면 선암로 455-27) 이 서원은 동창천 물이 굽이쳐 흐르는 선암(仙巖)에 자리잡고 있다. 삼족당 김대유(三足堂 金大有:1479∼1552)선생과 소요당 박하담(逍遙堂 朴河淡:15.. 경상북도/청도 2011.12.20
청도 박곡동 석조석가여래좌상(淸道 珀谷洞 石造釋迦如來坐像) 청도 박곡동 석조석가여래좌상(淸道 珀谷洞 石造釋迦如來坐像.보물 제203호.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리 653) 이 불상은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높이 약1.35m이다. 불상은 전체가 화강암(花崗巖)으로 만들어져 높이 약1.2m의 연화대(蓮花臺)위에 있으며 지금.. 경상북도/청도 2011.12.20
대비사(大悲寺)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대한불교조계종 대비사(大韓佛敎曹溪宗 大悲寺.경북 청도군 금천면 박곡길 590) 이곳 사찰은 신라 진흥왕 18년(557년)에 한 신승이 호거산(虎踞山)에 들어와 3년 동안 수도 후 560년(眞興王 21년)부터 절을 짓기 시작하여 7년 동안 5갑.. 경상북도/청도 2011.12.20
오누이 공원. 항일독립의거추모탑 소공원에 건립된 이호우 시비는 화강석(거창석, 오석)으로 높이 3m, 폭 5.5m, 두께 80㎝, 이영도 시비는 높이 3m, 폭 4m, 두께 80㎝ 규모로 4천만원의 사업비가 투입됐다. 오누이 시비는 청도출신 이호우∙이영도 남매가 우리나라 현대 시조문학사에 큰 업적을 남긴 것을 기리기 위한 기념공원으로 2003.. 경상북도/청도 2011.08.31
새마을운동 발상지 청도 신도마을(신거역. 대통령 전용객차) 신거역 내부 대통령 전용 객차 대통령 전용열차는 신도마을 앞 경부선 신거역 철로 위에 재현돼 멈춰 서 있다. 열차 안은 대통령 집무실이 재현돼 단체 관람객이 언제든 둘러볼 수 있다. 1등 전망차 이용하신 덕혜옹주 대통령 전용 객차(大統領 專用 客車.등록문화재 제419호.경기 의왕시 월암동 374-1(철도박물관) ) 1927년 일본에서 제작되고 조선총독부 철도국 경성공장에서 조립된 객차(승객용 차량)로 1955년 서울공작창에서 대통령 전용으로 개조하여 이승만 대통령부터 박정희 대통령까지 이용했던 차량이다. 객차 내에 각종 시설·설비가 갖추어져 있고 화려한 의장이 돋보이는 등 전직대통령 관련 유물로서 역사적·사료적 가치가 큰 차량이다. (문화재청 자료) 역전 광장에는 실물 크기의 박 전 대통령 동상이 원형 .. 경상북도/청도 2011.08.31
새마을운동 발상지 청도 신도마을(신도정미소) 신거역사 오른쪽에는 신도정미소가 복원돼 있다. 69년 건립돼 박정희 전 대통령 방문 때도 있던 건물이어서 당시 정미소 기계 등을 그대로 보존했다.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 바로가기 : http://www.새마을발상지.kr/ 경상북도/청도 2011.08.31
새마을운동 발상지 청도 신도마을(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 1969년 8월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수해를 당한 경남지역을 시찰하게 위해 전용열차를 타고 부산으로 향했다. 가는 도중에 경북 청도군 청도읍 신도마을의 수해 복구가 말끔히 이뤄진 것을 보고 인근 역(신거역)에 열차를 세우라고 했다. 그는 신도마을 주민들이 복구를 위해 합심하는 모습을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았다. 당시 박 대통령이 새마을운동을 구상한 계기였다. 새마을운동 발상지 기념관 바로가기 : http://www.새마을발상지.kr/ 경상북도/청도 2011.08.30
청도 장연사지 동ㆍ서 삼층석탑(淸道 長淵寺址 東ㆍ西 三層石塔) 청도 장연사지 동.서 삼층석탑(淸道 長淵寺址 東.西 三層石塔.보물 제677호. 경북 청도군 매전면 장연리 108-1 ) 낙동강 지류로 흐르는 냇가의 낮은 구릉에 동·서로 두 탑이 세워져 있다. 거의 같은 양식을 보여 주는데, 서탑은 일찍이 무너졌던 것을 1979년 12월 원래의 자리에 복원해 놓은 .. 경상북도/청도 2011.08.30
불령사 전탑(佛靈寺塼塔) 불령사전탑(佛靈寺塼塔) 현재의 상태 불령사전탑(佛靈寺塼塔.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94호.경북 청도군 매전면 용산리 산98 ) 불령사(佛靈寺)는 용산리 불령계곡 깊숙이 호랑산 기암절벽 아래에 645년(선덕왕14년)원효대사가 창건하였다. 그 후 1912년 봉주스님이 중건하고 1930년부터 지금까.. 경상북도/청도 2011.08.30
자계서원<영귀루,동.서재>(紫溪書院<詠歸樓,東.西齋>)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영귀루 ( 영귀루는 서원에서의 여러 행사를 하고, 학생들이 모여 시를 짓고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탁영 김일손 선생 문학비 푸른 물결 넘실넘실 노젓는 소리 부드러워 옷소매 가득찬 맑은 바람 가을인양 서늘하다. 머리 돌려 다시 보니 정말 .. 경상북도/청도 2011.06.28
청도향교(淸道鄕校)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사락루(思樂樓) 명륜당에서 본 사락루 사락루 천장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향교(淸道鄕校.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07호. 경북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 48)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 경상북도/청도 2011.06.28
청도범곡리지석묘군(淸道凡谷里支石墓群)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범곡리지석묘군(淸道凡谷里支石墓群.경상북도 기념물 제99호. 경북 청도군 화양읍 범곡리 507-5 외 13필 )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무덤으로 고인돌이라고도 부르며 주로 경제력이 있거나 정치권력을 가진 지배층의 .. 경상북도/청도 2011.06.27
청도 석빙고(淸道 石氷庫)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 석빙고(淸道 石氷庫.보물 제323호.경북 청도군 화양면 동천리 285)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하기 위해 땅을 파고 만들어둔 창고이다. 양쪽 벽을 이어주던 반원아치 형태의 홍예(虹霓)가 4군데 남아있을 뿐 천장은 완전히 무너져 .. 경상북도/청도 2011.06.27
청도읍성(淸道邑城)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청도문헌고에는 왜적의 침략에 대비해 동래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놓인 읍성을 더 높이 쌓으라는 선조의 어명에 따라 착공 2년만인 1592년에 완성된 것으로 기록돼 있다. 읍성둘레는 1천570보(약 1천880여m), 높이 5자5척(약1.65m),.. 경상북도/청도 2011.06.27
도주관(道州館).청도척화비(淸道斥和碑) 아래 모든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보입니다. 도주관(道州館.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경북 청도군 화양읍 서상리 15-10) 조선시대 청도군의 객사로, 청도군을 ‘도주’라고도 부른다. 객사 안에는 수령이 초하루와 보름에 임금을 상징하는 위패에 절하는 곳인 정청과 중.. 경상북도/청도 2011.06.27
와인 터널(Wine Tunnel) 와인 터널은 과거 일제강점기 때 만든 경부선 철로의 일부 터널을 개조한 것으로, 1904년(1816~1904)에 완공돼 길이는 1015m, 폭4.2m, 높이는 5.3m에 달한다. 경상북도/청도 201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