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산성(北漢山城) 2) 북한산성(北漢山城)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영동과 경기도 고양군 신도읍 북한리에 있는 북한산성(北漢山城)은 사적 제162호이다. 백제가 하남위례성에 도읍을 할 때 도성을 지키는 북방의 성으로 개로왕 5년(132)에 축성하여 고구려의 남진 세력을 막는 구실을 했다. 그 후 근초고왕 때는 백제의 북정군.. 화랑유적지 2009.02.12
북한산(北漢산山) 장의사(莊義寺)터 1) 북한산(北漢산山) 장의사(莊義寺)터 서울특별시 종루구 신영동에 있는 세검정(洗劍亭)에서 계곡을 따라 잠시 상류 쪽으로 올라가면 왼쪽으로 넓은 대지 위에 세검정초등학교가 있다. 이 학교가 바로 장의사(蔣義寺)터이다. 현재는 학교 안에 화강암으로 된 당간지주 1기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형태는.. 화랑유적지 2009.02.12
태종대(太宗臺) 9) 태종대(太宗臺) 태종대(太宗臺)는 부산광역시 영도(影島)에 있는 명승지이다. 영도의 남단에 위치하여 기암절벽과 울창한 송림은 바다와 어우러져 해금강을 방불케 하는 절경이다. 지금은 이곳에 약 4km에 달하는 순환관광도로가 있고 관광객을 위한 전망대가 마련되어 멀리 바다 건너 대마도를 볼 .. 화랑유적지 2009.02.12
영랑재(永郞재) 8) 영랑재(永郞재) 영랑재는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지리산 천황봉에 이르는 중도에 있는데 그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 영랑재의 이름은 신라 사선(四仙) 중의 영랑(永郞)에서 따온 것이다. 영랑을 비롯한 사선의 풍류가 전국에 걸쳐 이르지 않은 곳이 없었다. 그러므로 신라 5악(五嶽)의 하나요, 민족의.. 화랑유적지 2009.02.12
거열성(居列城) 7) 거열성(居列城)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동(上洞)에 있는 거열성(居列城)은 백제가 멸망된 후, 그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벌이면서 쌓은 성이다. 둘레 약 2km, 높이 3m, 폭5m의 석성이다. 덕유산, 지리산 등 산악지대에 구축된 성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성으로, 이 성안에는 200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동.. 화랑유적지 2009.02.12
대야성(大耶城) 6) 대야성(大耶城) 대야성(大耶城)은 경상남도 합천군 합천읍 황강변의 나직한 산봉우리에 위치한 토성이다. 이 성의 성벽은 산비탈을 깎아내려 가파르게 만든 삭도법을 써서 다듬었으며 현재의 높이는 약 1m 정도이다. 진흥왕 23년(562) 장군 이사부(異斯夫)가 대가야를 평정하고 나서 이곳을 요새로 삼.. 화랑유적지 2009.02.12
창녕비(昌寧碑) 5) 창녕비(昌寧碑) 진흥왕 22년(561)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는 창녕비는 진흥왕척경비(眞興王拓境碑)중 가장 먼저 세워진 것으로 진흥왕순수비(眞興王巡狩碑)라고도 한다. 이 비는 진흥왕이 대가야(大伽倻) 영역 깊숙히 영토를 개척하고 그 기념으로 세웠다. 창녕읍과 고암면의 경계에 솟.. 화랑유적지 2009.02.12
반구대(盤龜臺) 4) 반구대(盤龜臺) 명산대천을 찾아 수련하던 화랑들의 자취가 가장 뚜렷이 남아 있는 곳이 바로 울산광역시 반구대 일원의 유적지이다. 백운산(白雲山)에서 발원한 태화강(太和江)의 지류인 대곡천(大谷川)은 주위의 깊은 계곡과 기암절벽 사이를 돌아 내려 오면서 아름다운 경관을 자아낸다. 이 중 반.. 화랑유적지 2009.02.12
율포(栗浦) 3) 율포(栗浦) 박제상이 눌지왕의 동생 미사흔(未斯欣)을 구하기 위하여 일본으로 떠났던 발선처는 율포(栗浦)였다. 율포는 현재의 울산광역시 강동면 정자리의 조그만한 포구이다. 이 정자9리의 포구에는 이를 기념하는 비석이 서 있다. 작은 포구이지만 멀리서 바라 볼 때 아늑한 항촌(港村)임을 느끼.. 화랑유적지 2009.02.12
치술령(鵄述嶺) 2) 치술령(鵄述嶺) 치술령(鵄述嶺)은 박제상부인 금교김씨(金校金氏)와 관련된 유적지이다. 해발 765m의 높은 산으로 경주시와 울산시의 경계인 동시에 경상북도와 울산광역시의 도계를 이루고 있다. 신모사당지(神母祠堂址)가 있는 산 정상에서 맑은 날씨에는 울산만을 건너 멀리 대마도가 어렴풋이 보.. 화랑유적지 2009.02.12
열박산(咽薄山) 1) 열박산(咽薄山) 열박산(咽薄山)은 김유신의 수련 유적지이다. 김유신이 중악의 석굴에서 수도한 다음 해, 18세 때 다시 열박산에 들어가서 수도하였다고 한다. 삼국사기 권42 김유신 열전에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의 기사가 있다. 진평왕 건복 29년(612)에 이웃나라 적들이 번번히 침략하므로 공은 드디.. 화랑유적지 2009.02.12
월송정(越松亭) 9) 월송정(越松亭) 월송정은 경상북도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에 동해에 면하여 푸른 소나무와 흰 모래를 배경으로 하여 건립된 누각이다. 관동팔경의 하나로서 소나무 숲 가운데에 위치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월송정 주변에 화랑과 낭도들이 심었다고 전해지는 1만여그루의 소나무가 있었다고 한다. 일.. 화랑유적지 2009.02.12
금돌성 8) 금돌성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 98번지에 있는 금돌성은 도지정 문화재 제131호로서 삼국통일 이전 김흠이 쌓은 성이라 전해 오고 있다. 성은 둘레가 약 20km, 높이 4m, 폭 3.6m의 석성이다. 동국여지승람(상주고적조)에는 ‘백화산에 옛날 석성이 있었는데 둘레가 1,940척이고 성내에는 내(川)가.. 화랑유적지 2009.02.12
화랑재 7) 화랑재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도리원)에서 상주로 향하는 도로를 따라 약 20km쯤 가면 비안면에 이르게 된다. 비안면의 서부동에서 다시 서쪽으로 약 1km 지점에 화랑재란 고개가 있다. 평평하고 넓직한 이곳은 신라의 화랑들이 삼국통일의 민족적 대과업을 이루는 힘을 기르기 위해 수련하던 곳이.. 화랑유적지 2009.02.12
장군당(將軍堂) 6) 장군당(將軍堂) 장군당(將軍堂)은 경북 군위군 효령면 장군동에 있는 사당이다. 660년 김유신 장군이 백제를 공략하기 위하여 금성을 출발하여 사비성으로 향하던 중 영천 신령 소계(현재의 효령면 화계동)를 거쳐 이 곳 장군동에 진을 치고 군사를 주둔시켰다. 삼국통일의 대업을 앞둔 사기충천한 군대는 이 지역의 백성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 군위(軍威), 장군동(將軍洞) 등의 지명은 이때에 생긴 것이다. 또 이 사실을 기리기 위해 고려 말엽 이 곳 사람들이 산 위에 조그만한 사당을 지어 장군당이라 하고 김유신 장군의 위패를 모셨다. 매년 단오날이면 사당 주위에 많은 기치 창검을 둘러 세우고 북을 치며 현감 이하 여러 관원들과 지방민들이 제사를 지냈다. 현재의 사당은 1970년대에 퇴락한 이전의 목조건물.. 화랑유적지 2009.02.12
주산성(主山城) 5) 주산성(主山城) 경북 서남단에 자리잡고 있는 고령읍에 주산성(主山城)터가 있다. 고령읍은 옛 대가야(大伽倻)의 도읍지이다. 고령읍내 향교 자리에 ‘고대(高臺)’ 혹은 ‘대거대’로 불리는 왕성(王城)터가 있다. 여기가 대가야를 세운 이진아시왕으로부터 16대 도설지왕에 이르기까지 520년간 내려.. 화랑유적지 2009.02.12
압량주 연병장 4) 압량주 연병장 경북 경산시 압량면 압량리와 내리, 선화리의 3개소에 신라시대의 연병장터가 있어 1971년 4월 사적 제218호로 지정되었다. 이들 연병장은 경사가 완만한 야산을 활용하여 조성되었다. 압량리의 연병장은 높이 7m 직경 약 90m 정도의 고대(高臺) 모양의 원형광장 형태였는데 현재는 모두 .. 화랑유적지 2009.02.12
중악(中嶽) 석굴(石窟) 3) 중악(中嶽) 석굴(石窟) 경상북도 영천 은해사(銀海寺)에서 백흥암(白興庵)를 거쳐 팔공산(八公山) 정상을 향하여 올라가면 중암암(中巖庵)에 이른다. 이 절은 9세기경에 세워졌는데 이 절 뒤에는 천연의 석굴이 있다. 이 석굴은 2층으로 형성된 것으로 넓이는 겨우 한 사람이 들어갈 정도이나 특이한 .. 화랑유적지 2009.02.12
골화(骨火 : 지금의 영천) 2) 골화(骨火 : 지금의 영천) 경상북도 영천시 완산동(完山洞) 일대는 신라의 호국 3신에 제사하던 3산(三山) 중의 하나였다. 즉 이 곳은 신라 시대에 국가에서 대신을 보내 골화산신(骨化山神)에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다고 한다. 완산1동(내완산동)에서 뒷 고개를 넘어 완산2동(외완산동)으로 갈 때, 고개.. 화랑유적지 2009.02.12
가슬갑사(嘉瑟岬寺)터 1) 가슬갑사(嘉瑟岬寺)터 청도군 운문면 신원동의 삼계리 계곡에 가슬갑사터가 있다. 이 유적지는 원광법사(圓光法師)가 세속오계(世俗五戒)의 계율을 전수하여 후일 삼국통일의 바탕이 되었던 화랑들의 정신적 지주가 형성된 곳이다. 가슬갑사는 고려초기에 없어진 것으로 추측된다. 13세기 말엽 일연.. 화랑유적지 2009.02.12
인용사지(仁容寺址) 27) 인용사지(仁容寺址) 인용사(仁容寺)는 신라통일의 일익을 담당하였던 김인문(金仁問)을 위해서 지은 절이다. 김인문의 자(字)는 인수(仁壽)고, 태종무열왕(太宗武烈王)의 둘째 아들이다. 즉, 삼국통일의 대업을 성취시킨 제30대 문무왕(文武王)의 동생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한학(漢學).. 화랑유적지 2009.02.12
장육산(將六山), 말먹이벌. 말먹이못 26) 장육산(將六山), 말먹이벌. 말먹이못 단석산(斷石山)은 청도군의 운문산(雲門山)과 연결되어 세속오계(世俗五戒)의 발상지인 가슬사에 이른다. 장유산에는 신라 군사나 화랑들의 조련장이었음직한 자취가 남아 있다. 이를테면 알굴이 열 군데나 되고 집회소, 목욕터, 돌베게나 돌침대가 흩여져 있.. 화랑유적지 2009.02.12
화랑(花郞)바위와 급제(及第)바위 25) 화랑(花郞)바위와 급제(及第)바위 경주시 건천읍 꽃안(芳內)마을에서 남쪽으로 향하여 큰 골짜기로 들어가면 장흥사(長興寺)터가 목 속에 있고, 계속 더 올라가면 화랑바위와 급제바위가 있다. 이 바위들은 옛날 화랑들이 이 바위의 안 골짜기에서 심신을 단련하는 수련을 하였다고 해서 붙여진 이.. 화랑유적지 2009.02.12
단석산(斷石山) 신선사(神仙寺) 석굴(石窟) 24) 단석산(斷石山) 신선사(神仙寺) 석굴(石窟) 경주시 건천읍에서 청도행 국도를 따라 서쪽으로 약 6km 정도 가면 해발 827m의 단석산이 길 왼편으로 펼쳐지는데, 이 산은 경주 부근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동경잡기(東京雜記)에 의하면 삼국시대 이래 달래산(月生山)이라 블렀다 한다. 국도.. 화랑유적지 2009.02.12
부산성(富山城)터 23) 부산성(富山城)터 부산성터는 경주시 건천읍 서남쪽 오봉산(五峯山)의 산허리에 있다. 동경잡기(東京雜記)에 의하면 이 산성은 문무왕 3년에 쌓았다고 한다. 성 안에는 큰 창고와 샘이 있었다고 하며 원래의 모습과 같이 잘 남아 있는 남문자리가 있다. 이 부산성에는 화랑 죽지랑(竹旨郞)과 득오곡(.. 화랑유적지 2009.02.12
원원사지(遠願寺址) 22) 원원사지(遠願寺址) (1) 문두루도장(文豆婁道場) 경주에서 약 50리(里) 가량 울산쪽으로 가면 경주시(慶州市) 외동면(外東面) 모화리(毛火里)가 있다. 여기에서 동북(東北) 골짜기로 약 30분 가량 거슬러 오르면 부석사석축(浮石寺石築)과도 비견(比肩)할 만한 석축이 꽤 길게 나타나고 여.. 화랑유적지 2009.02.12
관문산성(關門山城) 21) 관문산성(關門山城) 경주에 남아 있는 성곽(城郭)은, 그 기능으로 보아 산성(山城)과 궁성(宮城)으로 구별된다. 산성은 서라벌 주위에 있는 산에 쌓아서 외적을 방어하고, 궁성은 임금이 사는 대궐을 보호하기 위하여 성을 쌓은 것을 말하는데, 월성(月城)이 바로 그것이다. 경주의 산성은 산과 산을 .. 화랑유적지 2009.02.12
감은사지(感恩寺址) 감은사지 전경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감은사지 전경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감은사지에서 본 대왕암 항공사진(경주시청 자료.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 20) 감은사지(感恩寺址) 2010년4월14일 촬영 서탑 동탑 감은사지는 경주시 .. 화랑유적지 2009.02.12
용담정(龍潭亭) 19) 용담정(龍潭亭) 경주시 북쪽 교외 현곡면 소재지에서 북쪽으로 약간 올라가다가 왼쪽으로 갈라지는 포장도로를 따라 약4km 쯤 가면 용담정이 있다. 이 용담정은 천도교의 총 본산이다. 천도교는 원래 동학(東學)으로서 1860년(철종11) 최제우(崔濟愚)가 창건하였다. 최제우는 화랑들의 활동 무대였던 .. 화랑유적지 2009.02.12
홍효사(弘孝寺)터 18) 홍효사(弘孝寺)터 경주시에서 서쪽으로 약 7km되는 경주시 현곡면에 손순의 효행 설화를 간직한 홍효사가 있었다. 현곡면 남사동의 안골짜기에 북골(鐘洞)이 있는데 이 곳이 돌북이 나온 곳이라 하며, 그 안에 종동사(鐘洞寺)터가 있어 , 그 곳이 홍효사(弘孝寺)터 인 듯 하나 최근 주민들이 밭을 갈다.. 화랑유적지 2009.0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