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관덕동삼층석탑(義城觀德洞三層石塔).의성관덕동석조보살상 관덕리 사운사 터(觀德里獅雲寺址.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 886전) 관덕리 사운사 터의 정확한 창건 연대를 알 수 없지만, 절터에 남아 있는 삼층 석탑과 석조 보살 좌상으로 보건대 통일 신라 시대에 창건된 사찰로 추정된다. 사찰의 이름을 명확히 밝혀줄 유물은 없으나, 구전에 .. 경상북도/의성 2009.06.08
의성 석탑리방단형적석탑(義城石塔里方壇形積石塔) 의성 석탑리방단형적석탑(義城石塔里方壇形積石塔. 경상북도유형문화재 301호. 경북 의성군 안평면 석탑리 산208 ) 불규칙한 모양의 자연석을 쌓아 만든 고려시대의 석탑이다. 탑에 대한 기록은 물론 주변에 관한 기록도 전하지 않는다. 탑은 건물터 만큼 넓게 낮은 단을 마련하여 그 위에.. 경상북도/의성 2009.06.08
의성 옥련사(옥련사 목조 아미타여래좌상) 옥련사 소재지 : 의성군 안평면 삼춘리 1011 안평면 삼춘리 일월산 낙맥의 鳳頭山 기봉 남편에 위치한 이 절은 의상조사가 창건하였다 함. 옥련사란 이름은 본 사찰 아래에 있는 연못에서 연꽃이 구슬같이 아름답게 피어난데서 옥련사라 부르게 되었다. 현존하고 있는 법당인 극락전은 높이가 7m, 폭이 6.. 경상북도/의성 2009.06.08
만장사(의성 만장사 석조여래좌상) 만장사 가는 길에서 만난 화목대장군 행복여장군 그리고 솟대 만장사(卍長寺) 소재지 : 비안면 산제리 1429 화장산(華臧山) 중턱에 자리 잡은 만장사는 오묘한 산세와 수려한 경관으로 이름난 기도도량이다. 사찰은 “화장사”로 불려지다가 약 30년 전 대관스님이 중창하면서 사명을 새롭게 “만장사.. 경상북도/의성 2009.06.08
다부동 전승비(Memorial of the "BOWLING ALLEY VICTORY") 한국전쟁 최초의 대전차전을 승리로 이끌어 다부동전선의 붕괴위기를 막아낸 미 제 27연대(연대장 John H. Michaelis대령)의 전공을 기리기 위해 1971년 2군사령부가 당시의 격전지에 건립하였다. 볼링액리 전투로 세계전사에 기록될만큼 미군의 포탄공격은 볼링핀을 쓰러뜨릴 때처럼 정확하고 맹렬하였다... 경상북도/칠곡 2009.06.08
김용사 김용사 일주문 보장문 천왕문 석조로 된 사천왕상 천왕문 내부 천장에 있는 용 조각 사천왕에게 잡힌 악마 김용사 소재지 : 문경시 산북면 김용리 410 상세설명 : 개산조 운달조사가 창건한 후 지금의 김룡사가 큰절의 초창은 인...more --> 개산조 운달조사가 창건한 후 지금의 김룡사가 큰절의 초창은 인.. 경상북도/문경 2009.05.24
대승사 윤필암 위의 사진을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윤필암에 대하여는 「 상산지 」· 「 대승사사적 」·「 동문선 」등에 비교적 자세한 기록이 있다. 먼저 「 대승사사적 」에 따르면 윤필암은 1380년(우왕 6) 각관대사가 창건하였다 하였으며, 「 동문선 」의 이색기에는 이때 각관과 함께 찬성 김.. 경상북도/문경 2009.05.24
대승사 대승사 일주문 대승사 일주문(뒷편) 대승사 삼층석탑 대승사 삼층석탑 일층 옥신의 감실 대승사 사적비 사불산 대승사는 아름다운 창건설화와 함께 비교적 풍부한 사적을 보우하고 있다. 본래의 산명은 공덕산이었으나 <삼국유사>권3<사불산 #8228; 굴불산 #8228; 만불산 >의 내용에 따르면 “죽.. 경상북도/문경 2009.05.24
신무동마애불좌상(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8호) 부인사 계곡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이 불상은 지상에 노출된 큰 바위 위에 돋을새김한 불상이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길쭉한 얼굴은 풍만감을 주고 있다. 어깨는 당당하며 양 어깨를 감싸고 있는 옷에는 경직된 모습의 옷주름이 표현되었다. 손은 오른손을 위로 들어.. 경상북도/팔공산 2009.05.17
하회마을 주차장 근처에 있는 하회마을 식당가 및 기념품 가게 주차장에서 하회마을 가는 오솔길 엘리자베스여왕 방문 기념관 여왕의 생일상 여왕의 사인(봉정사의 기와) 하회마을 초입 안동하회마을(安東河回마을 중요민속자료 제122호 ) 풍산 유씨의 씨족마을로 유운룡·유성룡 형제 대(代)부터.. 경상북도/안동 2009.05.14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 제260호 ) 만대루에서 본 입교당(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병산서원(屛山書院 사적 제260호 ) 서애 유성룡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곳으로, 안동에서 서남쪽으로 낙동강 상류가 굽이치는 곳에 화산(花山)을 등지고 자리하고 있다. 유성룡은 도학·글씨·문장·덕행으로 이름을 날렸을 뿐만 아.. 경상북도/안동 2009.05.13
팔공산 은해사의 일명 돌구멍 절이라 불리는 중암암 중암암 들어가는 길 좁은 돌구멍(천왕문)을 통과하면 중암암 중암암에서 본 광경 일명 돌구멍 절이라 불리는 중암암은 삼국을 통일한 김유신 장군이 수련한 곳이다. 세 살 먹은 어린이가 흔들어도 흔들린다는 건들바위, 만년을 살았다는 만년송, 우리나라에서 제일 깊다는 해우소, 이런 것들이 유명하.. 경상북도/팔공산 2009.04.22
영천 은해사의 운부암 운부암은 711년 성덕왕 10년에 의상 스님이 창건하였다. 천년 전에 창건할 당시 상서로운 구름이 일어났다고 하여 그렇게 명명되었다는 운부암은 어쩌면 면벽참선 (벽을 향하여 앉아서 수도하는 방법)하는 수도 방법을 통하여 속세의 모든 영욕을 저 뜬구름에다 비유하고 스스로가 해탈하.. 경상북도/팔공산 2009.04.22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805호) 보수 공사 중 북지장사의 벗꽃 구경가니 대웅전(보물 제805호) 보수공사 중... 북지장사 정문 1980년대 촬영한 사진 북지장사대웅전(北地藏寺大雄殿 보물 제805호 ) 북지장사는 신라 소지왕 7년(485) 극달화상이 세웠다고 전하는 절이다.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조선 인조 원년(1623)에 지은 건물로 원래 극락전 또는 지장전.. 경상북도/팔공산 2009.04.17
천년고찰 환성사 성전암 환성사의 屬庵이다. 本寺에서 북쪽으로 난 산로를 따라 400m 오르면 산허리를 잘라 동서로 길게 담장을 두르고 전각이 배치되어 있다. 법당 안에는 2축의 퇴락한 幀畵가 걸려있는데 1축은 後佛幀畵로 畵記에 「光武三年己亥三月二十日奉安環城寺聖殿菴…」의 墨書가 있고 다른 1축이 탱.. 경상북도/경산 2009.04.12
천년 고찰 환성사 환성사 일주문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다. 흥덕왕 10년(835) 심지왕사(心地王師)가 창건했다. 고려 말에 불탄 것을 인조 13년(1635) 신감대사(神鑑大師)가 중건하였고 광무 1년(1897) 亘月大師가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일주문을 들어서면 대지를 크게 3단으로 .. 경상북도/경산 2009.04.12
설총(薛聰)이 태어나 자란 천년고찰(千年古刹) 반룡사(盤龍寺) 九龍山 아래에 있다. 문무왕 원년(661)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신라 왕을 비롯하여 왕녀가 이 절을 자주 찾아 불공을 드렸는데 그 고개를 ‘왕재’라고 한다. 고려 문종 때 천태종 고승 圓應國師가 중창하였으나 임란 때 大伽藍이 소실되었다. 인조 19년(1641) 戒云·明彦大師가 중창하.. 경상북도/경산 2009.04.08
고운사 등운산 고운사 일주문 일주문의 조계문 현판 일주문의 등운산 고운사 현판 일주문의 기둥(비툴 비툴한 기둥이 아주 멋짐) 천왕문 천왕문 현판 천왕문 내의 사천왕상 고불전 고불전 내의 석불 가운루 가운루 현판 가운루의 내부 가운루 내부의 가운루 현판 가운루 밑의 디딜방아 종각 고.. 경상북도/의성 2009.04.05
안동소호헌 (安東蘇湖軒) 안동소호헌(安東蘇湖軒보물 475호) 조선 중종 때 문신 서해(徐해) 선생이 서재로 쓰기 위해 명종(재위 1545∼1567) 때 지은 별당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2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부속된 방은 지붕 양식이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을 한 맞.. 경상북도/안동 2009.04.05
청암사 청암사 일주문 일주문의 현판 불령산 청암사 청암사 사적비 청암사 사적비의 이수 대운당 비각. 회당 비각 회당 비 회당 비의 귀부 대운당 비 비석군 청암사 천왕문 청암사 천왕문의 사천왕탱 나무아미타불 각자 대방광불화엄경 각자 극락교 청암사 다층석탑 청암사 주지 대운대사가 청.. 경상북도/김천 2009.03.18
청암사 가는 길(경북 김천시 증산면) 선바위 사인암 쌍계사지(법당의 주춧돌. 증산면 소재지 일원이 쌍계사 절터라 함. 증산면사무소 뒷편) 김천시 증산면에는 쌍계사(雙溪寺)지가 있다. 증산면 면사무소와 면소재지 일원이 쌍계사지이다. 도선 국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쌍계사는 청암사와 수도암을 산내 암자로 거느렸던 대.. 경상북도/김천 2009.03.17
이명박대통령고향집 방문 덕성1리는 예로부터 예와 덕을 중시하는 충절의 고장으로 덕이 있는 사람이 사는 마을이라 하여 덕실마을로 불려졌다. 덕실마을은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한 이명박 대통령이 광복과 함께 귀국해 포항으로 이사하기 전에 5살 때부터 3~4년간 거주하였던 곳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어린시절부터 어머니를 .. 경상북도/포항 2009.01.07
보경사 보경사는 웅장하고 수려한 중남산을 등에 업고 좌우로 뻗어난 내연산 연봉에 둘러싸여 있으며, 12폭포로 이름난 그윽한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맑은 시냇물을 껴안고 포근하게 배치되어있다. 신라 진평왕 25년(602)에 진나라에서 유학하고 온 대덕지명 법사가 왕께 아뢰어 「동해안의 명산에서 명당을 찾.. 경상북도/포항 2008.11.18
영덕풍력발전소 안내 : http://korean.visitkorea.or.kr/kor/ti/everywhere_sightseeings/type_sightseeings/list_750.jsp?cid=128765 관광객을 위한 바람개비 노랑나비 바람개비 봉화대 영덕풍력발전소 각종 비행기 전시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나타납니다. 위의 사진 클릭하시면 원본 크기의 사진이 나타납니다. 위의 사진 클릭.. 경상북도/영덕 2008.08.24
영덕해맞이공원 53km 청정해역이 펼쳐지는 강축도로변에 위치하고 있어 교통이 편리하며 전면의 푸른 바다와 뒷면 넓은 초 지, 해송조림지로 열린 공간이 형성되어 있음 .해맞이공원 전면에는 야생꽃 2만 3천여 포기와 향토수종 꽃나무 900여 그루가 심어져 아름다움을 더하고 1천 500여개의 나무계단이 파고라와 파고라.. 경상북도/영덕 2008.08.24
부인사 부인사부도 부인사 부도의 문양 부인사 부도의 동물상 부인사 부도의 문양 부인사 부도의 기단부의 사자상 부인사 부도의 기단부와 중대석 발굴 된 석재 부인(부인)사지(夫人(符仁)寺址 시도기념물 제3호 (동구) ) 이 사찰< 寺刹 >은 신라< 新羅 > 선덕여왕< 善德女王 >의 원당&.. 경상북도/팔공산 2008.07.06
경천대 경천대 입구 인공폭포 충의공 정기룡장군상 우담 채득기 선생이 살던 집터 문보각이 있던 곳 우담 채득기 선생의 비 무우정 말구유와 세수통(충의공 정기룡 장군의 말구유라 함) 전망대에서 낙동강 상류 쪽 전망대 목교 드라마 촬영장 물레방아 물레방아의 방아 경상북도/상주 2008.06.22
군위 삼존석굴(2) 군위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 클릭하면 원본 사진이 보입니다 삼성각 삼성각 내부의 칠성탱화 삼성각 내부의 산신 탱화 삼성각 내부의 나반존자 비로전 비로전 내부의 비로자나불 복을 빌기 위해 암벽에 붙인 동전 군위 삼존불 부근의 양산서원 불교TV 군위삼존석굴 바로가기 : http.. 경상북도/팔공산 2008.06.01
부처님 오신 날의 희양산 봉암사 봉암사에서 약 5Km 밖에서 주차하고 셔틀버스로 봉암사로 이동(길가에 주차 된 차들) 희양산 희양산 봉암사 일주문 희양산 봉암사 현판 1920년대 봉암사 일주문 일주문(안 쪽에서 본 모양) 봉황문 현판 점심 공양을 위하여 줄을 선 모습(사람들이 많아 점심 공양 못했습니다) 대웅보전 대웅.. 경상북도/문경 2008.05.13